본문내용
1. 의료 보조기
1.1. 하지 보조기
1.1.1. 고관절 보조기
고관절 보조기는 고관절의 안정성을 높이고 움직임을 제한하기 위해 사용되는 의료 보조기이다. 주로 고관절 전치환술, 고관절 교정 수술 후 대퇴경부의 골절 치유 시, 고관절 탈구 예방을 위해 사용된다. 고관절 보조기는 고관절의 일정한 외전 각도를 유지하여 고관절의 굴곡 기능을 제한한다.
고관절 보조기의 디자인은 환자의 특성과 상태에 따라 다양하게 제작된다. 대표적으로 고정형 보조기와 각도 조절형 보조기가 있다. 고정형 보조기는 고관절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일정한 외전 각도를 유지하는 반면, 각도 조절형 보조기는 점진적인 관절 가동 범위 회복을 위해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고관절 보조기는 주로 플라스틱, 금속 등의 재질로 제작되며, 피부에 직접 닿는 부분에는 편안한 착용감을 위해 패딩 처리가 되어 있다. 또한 보조기 착용 시 활동성을 높이기 위해 벨트나 버클 등의 부착물이 있다. 이를 통해 환자가 일상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한다.
최근에는 고관절 보조기의 기능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예를 들어 고관절 보조기에 센서를 부착하여 관절의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이를 바탕으로 맞춤형 재활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이를 통해 고관절 부상 환자의 빠른 회복을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1.1.2. 무릎 보조기
무릎 보조기는 전방십자인대 재건술, 반월상 연골 봉합술, 반월상 연골 이식술 등의 수술 후 사용된다. 이러한 보조기는 무릎관절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어 수술 후 관절 움직임 범위를 점진적으로 늘릴 수 있다. 예를 들어 ACL Brace의 경우 extension은 0도로 고정하고 flexion을 조절할 수 있어 수술 후 점진적인 관절 가동 범위 회복을 돕는다. 또한 PCL Brace의 경우에도 extension은 0도로 고정하고 flexion을 조절할 수 있어 후방십자인대 재건술 환자의 관절 가동 범위 회복을 도와준다. 이처럼 무릎 보조기는 수술 후 관절 움직임의 점진적인 증진을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한편 Knee limited motion Brace는 수술적 치료 후 슬관절의 신전위를 유지하는 데 사용된다. 이 보조기는 대퇴부와 하퇴를 감싸주어 항시 슬관절의 신전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수술 후 관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