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자궁경부암 항암치료 간호과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자궁경부암 개요
1.1. 원인
1.2. 병태생리
1.3. 분류
1.4. 증상
1.5. 진단검사
1.6. 치료
2. 생식기 질환 치료에 따른 간호
2.1. 자궁절제술 환자 간호
2.2. 자궁근종절제술 환자 간호
2.3. 난소수술 환자 간호
2.4. 난관수술 환자 간호
2.5. 외음절제술 환자 간호
2.6. 골반장기제거술 환자 간호
2.7. 기타 시술 및 수술 환자 간호
3. 항암화학요법 환자 간호
3.1. 항암화학요법의 원리
3.2. 항암제 투여
3.3. 항암화학요법의 부작용과 간호
4. 방사선요법 환자 간호
4.1. 방사선치료의 종류와 간호
4.2. 방사선치료의 부작용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자궁경부암 개요
1.1. 원인
자궁경부암은 사람유두종바이러스 감염(Human Papilloma Virus, HPV)을 비롯하여 생활요인과 환경요인 및 유전요인 등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관여하여 발생한다""(1). 사람유두종바이러스는 매우 흔하게 감염되며, 감염되어도 특별한 증상이 없다""(1). 대부분의 경우 특별한 치료 없이 낫는다""(1).
이외의 위험요인으로는 흡연,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 감염, 클라미디어 감염, 과일과 채소의 섭취가 적은 식이, 장기간의 경구피임약 사용, 출산 횟수가 많은 경우가 있다""(1).
성과 관련된 요인으로는 기혼여성에서 발생 빈도가 높고 특히 다산부에서 많으며, 미산부의 발병률은 10%에 불과하다""(2). 또한 성파트너가 많을수록 발병률이 증가한다""(2). 포경수술을 하지 않은 남성이나 음경이 청결치 못한 남성과 성교를 하는 것도 영향을 미친다""(2). 음경의 포경상태 또는 청결하지 않은 상태는 자궁경부암의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데, 이는 포피 밑에 지방샘의 분비물과 박리된 상피세포 등으로 이루어진 치즈 같은 모양의 구지(smegma)가 자궁경부암의 발생에 관여하기 때문이다""(2).
성 전파성 질환과의 관련성도 밝혀져 있다""(2). 매독, 임질, 트리코모나스 감염과 폐렴마이코플라스마에 대한 항체가 있는 경우, 그리고 하부 생식기의 클라미디아 감염과 단순포진 바이러스 감염이 있는 여성에서 발병률이 높다""(2). 특히 단순포진 바이러스 II형(Herpes simplex virus type II) 감염과 자궁경부암의 발생관계를 보면 상피내암이 있는 여성의 92%에서, 경증 이형증(CIN I)환자의 84%에서, Pap 도말검사에서 정상으로 나타난 여성의 74%에서 단순포진 바이러스의 항체를 가지고 있었다""(2).
자궁경부암 발생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인유두종 바이러스 감염이다""(2). 자궁경부암에서 인유두종 바이러스 16, 18, 31 유형이 흔히 관찰되며 16, 18번이 전세계적으로 70% 이상의 자궁경부암에서 발견된다""(2). 따라서 인유두종 바이러스가 자궁경부암 발생의 가장 유력한 요인으로 밝혀졌다""(2).
사회경제적 특성도 자궁경부암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데, 낮은 경제적 수준과 낮은 교육 수준의 사람들은 좋지 않은 위생 습관과 조기발견을 위한 건강행위 이행 등을 하지 않아 자궁경부암 발생에 영향을 미친다""(2).
그 밖에도 정자의 DNA 이상, 구지, 트리코모나스, 클라미디아 및 콘딜로마 등에 노출된 경험과 흡연 등의 발병요인이 있을 때 자연적으로 발생될 수 있다는 역학조사 결과도 있다""(2).
1.2. 병태생리
자궁경부암은 정상 자궁경부상피에서 이상세포가 발생하기 시작하여 경증 자궁경부상피내 종양(정상조직과 암조직의 중간과정)이 되고 중증 자궁경부상피내 종양을 거쳐 상피 내에만 암세포가 존재하는 자궁경부상피내암(자궁경부암 0기)으로 진행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은 오랜 기간을 거쳐서 서서히 진행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정기적으로 자궁경부 세포진 검사를 시행하게 되면 자궁경부암이 되기 이전인 자궁경부상피내 종양 단계에서 발견하여 성공적으로 치료할 수 있다""
자궁경부상피내 종양(cervical intraepithelial neoplasma, CIN)은 침윤성 자궁경부암의 전구질환으로서 비정상적 세포 증식이 상피세포에 국한된다""자궁경부상피내 종양은 정상 편평상피가 이형성 세포로 변이된 정도에 따라서 경증, 중증도, 중증으로 분류한다""CIN I은 경증 이형증(mild dysplasia)으로 상피층 하부 1/3이 유사핵분열과 미성숙세포로 변형된 경우를 말한다""CIN II는 중증도 이형증(moderate dysplasia)으로 상피층의 2/3까지 유사핵분열과 미성숙세포로 변형된 경우를 말한다""CIN III는 중증 이형증(severe dysplasia)과 상피내암을 포함하는 것으로 유사분열과 미성숙세포가 상피층의 상부 1/3 이상 또는 상피세포의 전체가 변형되었으나 표면에는 성숙세포가 존재하는 경우이다""CIS(carcinoma in situ)는 암과 형태학적으로 구별할 수 없는 미분화된 이상세포가 상피세포 전체에 대체되었으나 기저막을 통한 기질이나 임파선 침윤이 없는 경우이다""
1.3. 분류
자궁경부암은 크게 편평상피암, 원주상피암, 선편평암으로 분류된다"" 편평상피암은 자궁경부 외구를 덮고 있는 편평상피에서 발생하며, 약 90%의 발생 빈도를 보인다"" 원주상피암은 자궁경관 내 원주상피에서 발생하며, 나머지 10% 정도를 차지한다"" 선편평암은 편평상피암과 선암이 동시에 발생하는 경우로, 이 경우 예후가 좋지 않아 더 악성으로 간주된다"" 또한 매우 드물게 육종 또는 포도상육종이 발생할 수 있다"" 자궁경부암의 호발부위는 편평원주상피 접합부, 즉 외자궁경부의 변형대이다""
1.4. 증상
자궁경부암의 주요 증상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증상은 질출혈이다. 자궁경부암의 첫 증상은 주로 경미한 출혈이며, 월경 사이의 출혈, 성교 후 또는 심한 운동이나 힘을 들여 대변을 본 후에 접촉출혈이 있는 것이 특징적인 증상이다. 암세포가 경관내막에 있을 경우에는 직접 접촉을 받지 않기 때문에 출혈이 나중에 나타난다"
두 번째 증상은 비정상적인 질분비물이다. 출혈이 있기 전에 담홍색 도는 핏빛을 띤 분비물이 있을 수 있는데 이 증상은 선암에서 많이 나타난다. 병이 진행될수록 출혈과 질 분비물이 많고 궤양이 심하며 이차 감염이 되면 악취가 난다"
세 번째 증상은 통증이다. 암이 상당히 진행되기 전까지는 통증을 느끼지 못하여 자궁경부암을 조기발견하는데 가장 큰 장애물이 된다. 하지만 암이 더 진전된 경우 경부의 궤양, 월경과다가 올 수 있다. 전신증상으로 식욕부진, 체중감소와 출혈이 계속되면 빈혈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국소적 증상으로는 직장에 침윤되거나 압박으로 인한 변비, 직장이급후증(tenesmus), 직장출혈이 있으며 국소 임파절로 침범되면 하지 부종과 하부요통, 서혜부 및 하지 통증이 있을 수 있다. 말기증상은 지속적인 요추천골통, 편측성 임파샘 부종 및 요관 폐쇄증으로 매우 치명적인 예후를 알리는 징후이다"
1.5. 진단검사
자궁경부암의 확진법으로는 조직생검, 원추생검, 경관내소파술과 조기 발견법이 있다"" 조직생검은 비정상 질확대경 소견이 있을 때 최종진단을 내리기 위하여 조직의 일부를 떼어내는 것을 말한다"" 질확대경 검사는 단순히 의심스러운 부위를 규명하는 것이므로 최종적 진단은 조직생검으로 가능하다"" 조직생검의 종류에는 펀치생검, 루프환상투열 원추생검, 레이저 원추생검, 자궁경관내 소파술 등이 시행된다"" 원추생검은 비정상 세포 조직이 있는 자궁 경부를 원추형으로 도려내는 외과적 시술 방법이다"" 경관내소파술은 세포진검사 결과 비정상 소견이나 질확대경검사 결과는 이상 소견이 없는 경우, 미세 큐렛으로 자궁경관 내를 긁어내어 숨은 병변을 발견할 수 있다""
자궁경부암의 조기 발견법으로 자궁경부암은 갑작스럽게 발병하는 것이 아니고 반드시 전암단계를 거치며, 전암단계가 침윤암으로 이행하는 데 7~20년 정도 소요되며 이 기간에 조기진단이 가능하다"" 따라서 전암단계에서의 선별진단검사(screening test)가 매우 중요하다""
재발성 자궁경부암 환자의 종양표지물질은 TA-4(tumor antigen 4)와 이의 추출물인 편평세포항체(sqauamous cell antigen carcinoma associated antigen, SCCA항원) 및 CEA(...
참고 자료
하영수, 김계숙, 김영희, 박혜숙, 정금희, 김경원 외 2명. 여성 모성간호학 I. 서울: 신광출판사; 2016. p.343
양선희, 원종순, 백훈정, 전미양, 조현숙, 김미원 외 4명. 기본간호학 I. 제 2판. 서울: 현문사; 2017. p259-279
양선희, 원종순, 백훈정, 전미양, 조현숙, 김미원 외 4명. 기본간호학Ⅱ. 제 2판. 서울: 현문사; 2017. p259-279
왕희정, 김연미 공저. 2019학년도 임상실습지침서 모성간호학 실습 I,II. 수원: 수원여자대학교; 2018. p. 166-177
김금자, 차영남, 장효순, 한혜실, 정정숙, 윤진, 공은숙, 정여숙, 황성자, 양복순, 심정하, 형희경, 이정옥.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NANDA nursing diagnosis, goals and interventions). 서울: 현문사, 2012. p270
박혜숙. 이윤미. 공경란. 권명진. 김정숙. 나옥희 외. 새로 쓴 병리학. 제 1판, 파주: 수문사. 2018 p. 413
약물정보[internet]. 서울아산병원 http://amc.seoul.kr/asan/healthinfo/druginfo/drugInfo.do
병원 -W 신규간호사 교육 지침서
병원 -W CP환자 간호 지침서
암발생률추세분석[internet]. 국가암정보센터 https://www.cancer.go.kr/lay1/S1T639C643/contents.do
조동숙 외4인‘여성건강간호학I’.2016,수문사.
김금순 외‘성인간호학I’,2017,수문사
공성숙 외,‘정신건강간호학’,2019,군자출판사
‘인유두종 바이러스’,서울대학교병원, http://www.snuh.org/health/nMedInfo/nView.do?category=DIS&medid=AA000277
‘자궁경부암’,세브란스병원, http://sev.iseverance.com/dept_clinic/department/obstetrics_gynecology/disease/view.asp?con_no=20141
‘자궁경부암으로 발전하기 전 단계:CIN2/CIN3“,포미즈여성병원,http://www.iformiz.co.kr/women/cont4
’Cervical Intraepithelial Neoplasia (CIN)‘, MEDEDCafe,http://www.webedcafe.com/extern/program_media/mededcafe.com/2016/hpv_q1_2016/figure.php?present=Mark_Stoler%20MD&figure=16
‘자궁경부암이 궁금해?’,해피문데이,2019년 6월 26일,https://happymoonday.com/blog/37/
한희준,‘자궁경부 선암 발견 어려워… 30세부터 HPV검사 받아야’,헬스조선,2016년 6월 15일, http://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16/06/14/2016061402059.html
‘원추생검’,삼성서울병원, http://www.samsunghospital.com/home/healthInfo/content/contenView.do?CONT_SRC_ID=131&CONT_SRC=HOMEPAGE&CONT_ID=4741&CONT_CLS_CD=001004
‘건강진단에서 시행하는 혈액검사들에 대한 안내’,대한진단검사의학회,http://www.kslm.org/sub01/sub05_4.html
‘절대호중구수’,서울아산병원, http://amc.seoul.kr/asan/healthinfo/management/managementDetail.do?managementId=120&tabIndex=0
나현오,(2020),‘암성통증 관리와 마약성 진통제‘,병원약사회지,제37권 1호
’항암치료와 식사‘,분당차병원, http://bundang.chamc.co.kr/HealthInfo/HealthBoard_View.aspx?menuCode=496&idx=339
’방사선 치료 기간 중 피부의 변화와 관리‘,Cancer Institute NSW, https://www.eviq.org.au/getmedia/4930ddeb-7da2-4370-8d53-4b0e3f5c3d8c/Korean-Skin-changes-and-Skin-Care-During-Radiotherapy.pdf.aspx?ext=.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