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사례 소개
1.1. 일반적 정보
환자는 65세의 여성으로 2019년부터 양측 무릎 관절에 통증과 불편감이 발생하여 개인의원에서 치료를 받아왔다. 최근 들어 통증이 심해지고 무릎이 붓는 등 증상이 악화되어 수술을 위해 본원에 입원하였다. 주요 과거력으로는 2019년 류마티스관절염 진단, 2019년 통풍 진단, 그리고 상세불명의 간질환과 만성위염이 있다. 수술 전 복용 중인 약물로는 항혈전제, 고지혈증약, 당뇨병약, 협심증약, 고혈압약 등이 있다. 2023년에는 관상동맥 풍선확장술을 받은 것으로 확인된다.무릎 관절증은 무릎 관절의 연골이 마모되면서 발생하는 퇴행성 관절 질환으로,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무릎 통증, 관절 운동 범위 제한, 관절 강직, 관절 변형 등이 있다. 이번 환자의 경우에도 오랜 기간 동안 양측 무릎 관절에 통증과 불편감을 호소해왔으며, 최근 증상이 악화되어 수술적 치료가 필요한 상황인 것으로 보인다.
1.2. 진단 및 검사 결과
진단 및 검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상자는 양쪽 원발성 무릎관절증(gonarthrosis)을 진단받았다. 관절액 검사, 방사선 검사, MRI 검사를 통해 퇴행성 관절염 소견을 확인하였다. X-ray 검사 결과 관절 간격이 좁아지고 관절면의 불규칙성이 관찰되었으며, MRI 검사에서는 연골과 반월상 연골판의 이상 소견이 나타났다. 또한 혈액검사에서 염증 수치인 ESR과 hsCRP가 상승되어 있었다.
대상자의 검사 결과를 종합해 보면, 무릎 관절의 연골 손상과 퇴행성 변화가 진행된 상태로 볼 수 있다. 이로 인해 무릎 관절의 통증, 운동 범위 제한, 관절 종창 등의 증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함께 대상자는 특발성 통풍, 간질환, 만성위염 등의 기저질환도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기저질환들이 무릎관절증의 발생과 악화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인다.
1.3. 치료 계획 및 수행
수술명 및 치료 계획은 대상자의 진단명인 일차성 무릎관절증에 근거하여 수립되었다." 대상자는 보행 시 통증과 운동 범위 제한으로 인해 일상생활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기 때문에, 무릎관절증에 대한 수술적 치료인 인공관절전치환술(TKR, Total Knee Replacement)이 계획되었다.
TKR은 손상된 무릎관절면을 제거하고 인공관절로 교체하는 수술로, 통증 경감, 관절 기능 향상, 변형 교정 등을 목적으로 한다. 대상자의 경우 양측 무릎관절에 심한 퇴행성 변화가 있어 양측 TKR 수술이 계획되었다.
수술 전 준비 과정으로 대상자의 전신 상태 평가, 검사 결과 확인, 영양 상태 관리, 감염 예방 등이 이루어졌다. 특히 수술 전 날 자정부터 금식을 실시하고, 수술부위를 소독하는 등 철저한 준비가 이루어졌다.
수술은 전신마취 하에 진행되었으며, 수술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수술 부위의 피부를 절개하고 관절낭을 열어 손상된 대퇴골과 경골의 관절면을 절제하였다. 이후 절제된 부위에 맞는 크기의 인공 관절 부품을 삽입하고 고정하였다. 마지막으로 관절낭과 피부를 봉합하고 배액관을 거치하였다.
수술 후에는 통증 조절, 관절 운동 범위 확보, 감염 예방 등의 관리가 이루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