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간호관리학 QI보고서 의료폐기물 분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의료폐기물 관리 현황 및 문제점
1.1. 의료폐기물의 정의와 특성
1.2. 의료폐기물 발생량 증가 추세
1.3. 의료폐기물 관리의 문제점
2. 의료폐기물 분리 및 관리 개선을 위한 QI 활동
2.1. 활동 목적 및 필요성
2.2. 활동 목표 및 지표 선정
2.3. 활동 계획 및 추진 일정
2.4. 활동 내용
2.4.1. 환자 및 보호자 대상 교육
2.4.2. 간호사 교육 및 관리 강화
2.5. 활동 결과 및 평가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의료폐기물 관리 현황 및 문제점
1.1. 의료폐기물의 정의와 특성
의료폐기물이란 보건의료기관, 동물병원, 시험·검사기관에서 배출되는 폐기물 중 인체에 감염 등 위해를 줄 우려가 있는 폐기물 및 인체 조직의 적출물, 실험 동물의 사체와 같이 보건·환경보호상 특별한 관리가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폐기물을 말한다. 의료폐기물은 일반폐기물과 구분되며, 감염성 및 유해성 폐기물을 포함하고 있다는 특성이 있다. 따라서 의료폐기물은 일반폐기물과는 달리 2차 오염의 우려가 있어 적절한 위생적 처리가 이루어져야 한다.
1.2. 의료폐기물 발생량 증가 추세
최근 2017년 국내 의료폐기물 배출량은 207천 톤으로 2013년도의 144천 톤에 비하면 43.7% 증가하였다. 이는 건강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이 증가하고 인구 고령화가 진행되면서 의료 이용이 많아졌으며, 실버산업 발달 등으로 인하여 의료시설 및 의료폐기물 발생량이 지속적으로 증가가 되었기 때문에 의료폐기물 배출량이 급증하게 되었다고 추정이 된다."
1.3. 의료폐기물 관리의 문제점
의료폐기물 관리의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의료폐기물 배출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지만 이에 대한 관리체계가 미비하다. 통계에 따르면 국내 의료폐기물 배출량은 2013년 144천 톤에서 2017년 207천 톤으로 약 43.7% 증가하였다. 이는 건강에 대한 관심 증가와 인구 고령화로 의료 이용이 늘어나고, 실버산업 발달로 의료시설 및 의료폐기물이 증가한 결과이다. 그러나 이러한 의료폐기물 증가에 대응하여 의료기관의 적절한 관리 대책이나 정부의 제도적 지원이 부족한 실정이다.
둘째, 의료폐기물과 일반 생활폐기물의 혼합 배출이 문제로 지적된다. 의료폐기물에는 감염성 및 유해성 폐기물이 포함되어 있어 적절한 처리가 필요하지만, 실제로는 일반쓰레기통에 배출되는 경우가 많다. 한국의료폐기물공제조합에 따르면 일반쓰레기통에 잘못 버려지는 의료폐기물의 90% 이상이 알코올 솜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환자와 의료진의 의료폐기물 분리에 대한 인식 및 실천 부족이 원인으로 볼 수 있다.
셋째, 의료폐기물 불법 처리 및 처리능력 부족으로 인한 문제가 발생한다. 현행법상 의료폐기물을 부적절하게 처리할 경우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000만 원 이하의 벌금이 부과되지만, 여전히 일반 폐기물로 배출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의료폐기물 처리 시설이 부족하여 적절한 위생적 처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처럼 의료폐기물 관리에는 다양한 문제점들이 존재하며, 이는 곧 환자와 의료진의 감염 위험 증가 및 의료기관의 재정 부담 가중으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의료폐기물 관리 체계 개선과 더불어 관...
참고 자료
대학병원 의료 종사자의 의료폐기물 관리 실천 관련 요인에 관한 연구, 아주대학교 보건대학원 보건학과 유주영 외 2명(2010)
오세은, 박석환, 안호기, 지경희, 김판기, 홍영습, 이경무. (2016). 국내 종합병원의 의료폐기물 처리 현황 및 의료폐기물 담당자의 자가처리에 대한 의견조사. 대한보건연구 (구 대한보건협회학술지), 42(3), 13-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