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수학2 분광분석"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분광학
1.1. 분광학의 정의
1.2. 분광학의 역사와 발전
1.3. 분광학의 다양한 응용
2. 적외선 분광법
2.1. 적외선의 정의와 특성
2.2. 적외선 분광법의 원리
2.3. 적외선 분광법의 응용
3. 푸리에 변환 적외선 분광법 (FT-IR)
3.1. 푸리에 변환의 개념
3.2. FT-IR 분광기의 구조와 작동 원리
3.3. FT-IR 분광법의 장단점
4. 미분 분광법
4.1. 미분 스펙트럼의 정의와 특성
4.2. 미분 분광법의 원리와 응용
4.3. 고속 하틀리 변환을 이용한 미분 스펙트럼 분석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분광학
1.1. 분광학의 정의
분광학(spectroscopy)은 물질과 전자기 방사선 사이의 상호작용에 관련된 연구이다. 원래 분광학은 파장에 따른 빛과 물질 간의 상호작용을 연구하는 학문이었다. 프리즘을 통해 분리된 가시광선에 대한 연구에 국한되었다. 하지만 이후에 이 개념은 방사 에너지와 상호작용을 파장 또는 진동수의 함수로서 구성하는 것으로 크게 확장되었다. 파장이나 주파수의 함수로 주어지는 반응 값을 도표로 나타낸 것을 스펙트럼이라고 하는데 분광 데이터는 관심 항목에 대한 파장 또는 진동수의 감응 함수 값 즉 스펙트럼으로 나타낸다. 다시 말해 분광학은 전자기 스펙트럼의 서로 다른 영역에서 다른 파장의 빛과 시료의 상호 작용을 측정한다. 이렇게 측정된 파장 함수의 시그널은 스펙트럼의 집합이 되며, 여기에서 분광학이란 용어가 나왔다.
1.2. 분광학의 역사와 발전
분광학의 역사와 발전은 다음과 같다.
분광학의 역사는 빛에 대한 관심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고대 그리스 철학자들은 빛의 본질에 대해 탐구하기 시작했다. 뉴턴은 1666년 프리즘을 통해 태양광을 분산시켜 연속적인 가시광선 스펙트럼을 최초로 관찰하였다. 이로써 빛이 파장에 따라 다른 색으로 나뉜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이후 태양광 스펙트럼 관찰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었고, 1814년 프라운호퍼는 태양 스펙트럼에서 어두운 선들을 발견하였다. 이 선들이 화학 원소에 의한 특성 흡수선이라는 것을 밝혀냄으로써 분광학의 기초를 마련하였다.
19세기에는 분광학이 물질의 정성 및 정량 분석에 활용되기 시작했다. 1859년 키르히호프와 부젠은 금속의 증기를 분광 분석하여 새로운 원소를 발견하였다. 20세기에는 분광학의 응용 범위가 급속히 확대되었다. 1913년 보어는 원자 구조와 원자 스펙트럼의 관계를 밝혀냈고, 1920년대 이후 양자역학이 발전하면서 분광학의 이론적 기반이 더욱 공고해졌다.
중력분광계, 프리즘분광계, 회절격자분광계 등 다양한 분광계 장치가 개발되었고, 이를 통해 적외선, 자외선, X선, 감마선 등 전자기파의 전 영역에 걸친 분광 분석이 가능해졌다. 특히 1960년대 이후 레이저와 컴퓨터 기술의 발달로 분광학이 비약적으로 발전하였다. 푸리에 변환 적외선 분광기(FT-IR), 핵자기공명분광기(NMR), 질량분석기(MS) 등 첨단 분광 분석 기술이 등장하였다.
오늘날 분광학은 화학, 물리학, 천문학, 생명과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다. 물질의 구조와 조성 분석, 반응 메커니즘 규명, 천체 관측 및 우주 탐사, 생체 내 물질 확인 등 매우 광범위한 응용이 가능하다. 향후에도 첨단 기술과의 융합을 통해 분광학의 발전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1.3. 분광학의 다양한 응용
분광학의 다양한 응용은 다음과 같다.
분광학은 물리와 분석화학 분야에 널리 적용되어 물질에서 방출되거나 흡수되는 스펙트럼을 분석하여 물질을 식별하는데 활용된다. 이 외에도 천문학이나 원격 센서에서도 중요하게 사용된다. 대표적인 분광학적 분석법에는 핵자기 공명법(Nuclear Magnetic Resonance), 적외선 분광법(Infrared Spectroscopy), 라만 분광법(Infrared Spectroscopy), X-선 분광법(X-ray spectroscopy), 감마선 분광법(Gamma Spectroscopy), 자외선/가시광선 분광법(Ultraviolet/Visible Spectroscopy), 근적외선 분광법(Near Infrared Spectroscopy) 등이 있다.
핵자기 공명법은 물질의 구조와 동력학을 연구하는데 널리 사용되며, 적외선 분광법은 물질의 화학적 구조 분석, 반응 메커니즘 연구, 물질의 순도 및 조성 분석 등에 유용하게 이용된다. 라만 분광법은 분자의 진동 특성을 연구하고 분자 구조를 분석하는데 활용된다.
X-선 분광법은 원자 및 결정 구조 분석, 원소 분석 등에 널리 사용되며, 감마선 분광법은 핵반응 분석이나 ...
참고 자료
푸리에가 들려주는 삼감수 이야기(송륜진, 문성준)
이숙연, 노일협, 박만기, 박정일, 조정환.(1991).고속 하틀리 변환에 의한 의약품 미분스펙트럼의 확인 시스템의 개발.약학회지 ,35(1),1-6.
두산백과 http://www.doopedia.co.kr
유은숙, 차상원, 최재성. 화학분석기사를 대비한 최신 분석화학, 북스힐, 2021년 10월 15일.
정회일, 김효진. [해설]근적외선 분광법의 원리. 한국분석과학회, 2000.
David J.Hart, Christopher M. Hadad, Leslie E. Craine, Harold Hart. 유기화학(제13 판), 교보문고, 2012년 3월 2일.
Mitchell, R.C, Lee, D.C.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University of Antwerp, 1992.
John E. Mcmurry. 맥머리의 유기화학, ㈜사이플러스, 2018년 2월 9일.
Pavia Donald L, Lampman Gary M, Kriz George S, 문석식, 이석우, 홍인석. 분광학 의 이해. 서울: 사이플러스, 2007.
물리화학실험(서울산업대학교 출판부 , 이진휘 교수님)
유기화학 제 9판(자유아카데미, 이창규, 한인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