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섹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여성 가수의 섹시 이미지와 사회문화적 함의
1.1. 서론: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2. 이론적 배경
1.2.1. 성욕의 이중성과 포르노그래피
1.2.2. 바타이유의 에로티즘
1.3. 현대 대중가요시장의 실상 분석
1.3.1. 바타이유의 에로티즘 관점에서 바라본 한국 가요시장
1.3.2. 포르노그래피와 섹스어필의 유사성 및 차이점
1.4. 기업의 섹시 이미지 마케팅 전략
1.4.1. 무대의상에 반영된 기업의 전략
1.4.2. 섹시 콘셉트 마케팅의 문제점
1.5. 개선을 위한 방향성 제언
1.5.1. 개인적·문화적·사회적 측면의 문제점과 해결 방안
1.5.2. 정책 및 교육 분야의 개선 방향
1.6. 결론
2. 여성 아이돌의 섹시 이미지와 그 이데올로기
2.1. 서론: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2. 우리나라 걸그룹의 역사와 변화
2.3. 걸그룹의 섹시 콘셉트 등장
2.4. 섹시 콘셉트 속 숨은 이데올로기 분석
2.4.1. 알튀세의 호명 이론 적용
2.4.2. 외모지상주의와 자본주의의 영향
2.4.3. 유교적 이데올로기와의 갈등
2.5. 개선을 위한 방향
2.5.1. 대중문화 전반의 변화 필요
2.5.2. 소속사와 걸그룹의 관계 개선
2.5.3. 교육 부문의 새로운 접근
2.6. 결론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여성 가수의 섹시 이미지와 사회문화적 함의
1.1. 서론: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비현실적인 아름다움을 지닌 대상, 그리고 동시에 탐닉의 대상을 우리는 현대의 사회현상에서 쉽게 목격한다. 바로 연예인이다. 그러나 본래 연예라는 유흥의 목적을 위해 음악이나 연기 등을 통해 대중과 소통하던 이들이 점점 상업적인 도구로 전락하고 있다. 주목과 관심을 통한 수익창출이 최종적 목표인 미디어의 특성에 의해서이다. 기업은 연예인에게 성적인 이미지를 씌우는 섹스어필 전략을 사용하여 대중을 성적으로 자극하고, 대중의 성적인 욕구를 상업적으로 이용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한국 대중문화의 현실은 사회에 적지 않은 파급효과를 일으킬 것이다. 특히 성에 대한 이성적인 가치관과 기본적인 판단의 기준을 제대로 형성하지 못한 다음 세대들에게 미치는 영향은 무시할 수 없다. 따라서 대한민국의 현 대중가요시장에서 보이는 성적 자극성이라는 특징은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인간의 성욕을 역사적인 맥락에서 살펴보고, 현대 대중가요시장의 실상을 성에 대한 담론에서 이야기되는 여러 개념을 가지고 분석하고자 한다. 특히 기업에서 취하는 섹시 이미지 마케팅 전략을 학문적인 틀을 통해 분석할 것이다. 또한, 그렇게 밝힌 인과관계의 연장을 통해 이러한 현상이 현재 한국사회에 시사하는 바를 살펴보고, 앞으로 우리 사회가 나아가야 할 방향성을 짚어보고자 한다."
1.2. 이론적 배경
1.2.1. 성욕의 이중성과 포르노그래피
'Pornography'는 사전적인 의미에서 "Books, magazines, and films that are designed to cause sexual excitement by showing naked people"이라는 뜻이다. 즉, 포르노그래피는 시각적인 자극을 통해 인간의 성에 대한 욕망을 끌어내는, 인간 욕망의 무지막지한 재현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시각적 재현성과 가상이라는 포르노그래피의 특성은 1990년대 이후 나타난 사회 환경 변화를 등에 업고 포르노그래피의 부흥을 일으켰다. 그 사회적 변화란 자본주의의 발전과 미디어의 발달이라고 정리할 수 있다. 자본주의의 보급을 통해 포르노그래피는 이윤을 추구하기 위한 판매의 수단으로 변질되었다. 여기에 인터넷, 케이블 텔레비전 등 새로운 매체가 등장하고 영상기술과 촬영장비의 발전에 따라, 포르노그래피의 콘텐츠 질이 굉장히 우수해졌고 대중은 포르노그래피에 더욱 쉽게 접근할 수 있게 되었다.
대중은 포르노그래피가 주는 성적인 자극에 쉽게 이끌린다. 이러한 대중의 특성을 상업적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기업은 점차 포르노그래피의 경계선을 넘나드는 섹시 이미지 마케팅 전략을 대중에게 선보이고 있다. 따라서 본격적인 논의에 앞서, 포르노그래피를 원하지만 원하지 않는 것처럼 보이기를 원하는 인간 성욕의 이중성에 대한 면밀한 분석이 필요하다. 사람들은 특정 욕망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이러한 욕망을 남들에게 드러내고 싶지 않아 한다.
1.2.2. 바타이유의 에로티즘
바타이유의 에로티즘은 금기와 위반의 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바타이유에 따르면 "금기는 압력을 가하면, 오히려 날카로움이 더해진다."라고 말하며 금기 자체가 쾌락의 이유가 된다고 설명했다. 즉, 개인은 금기의 위반을 통해 금기라는 사회적인 명령을 한번 들쑤시는, 즉 그 억압의 체계를 흔들어보는 희열을 느끼며, 금기되기 때문에 사람들은 더욱 그것을 욕망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위반은 필연적으로 금기의 존재를 다시금 부각시켜 우리에게 그것이 의식되게 한다. 금기에 대한 위반은 인간에게 죄의식 또한 체험하게 만든다." 따라서 인간의 성욕은 자신 주변의 사람들이 아닌, 현실적 삶과 관계없는 대상에게 대신 분출되는 것이다. 그 대상에는 대표적으로 연예인이 있다.
연예인은 특성상 현실과는 동떨어진, 현실에서 개인적으로 친밀한 관계 맺을 수 없는 존재로 여겨지기 때문에, 연예인을 대상으로 한 금기 위반의 상상은 더욱 쉬운 것이다. 이러한 금기의 마케팅은 대중적으로 큰 성공을 보장해왔다.
따라서 바타이유의 에로티즘 이론은 연예인, 특히 아이돌에 대한 대중의 성적 욕망이 어떻게 형성되고 그것이 기업에 의해 상업적으로 활용되는지를 설명하는 데 유용하다고 볼 수 있다.
1.3. 현대 대중가요시장의 실상 분석
1.3.1. 바타이유의 에로티즘 관점에서 바라본 한국 가요시장
바타이유의 에로티즘 관점에서 바라본 한국 가요시장은 다음과 같다.
현 자본주의 사회에서 소비자가 주도적 힘을 가지고 스스로 제품 구매 여부를 결정하는 소비자 중심 사회로 변화하면서, 기업은 소비자의 관심과 시선을 끌어 구매 욕구를 창출하기 위해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 이에 따라 기업은 소비자의 성적 욕구를 자극하는 에로티시즘 전략을 사회 곳곳에서 실행하고 있다. 한국 대중가요 시장에서도 이러한 양상이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한국 대중가요 시장은 현재 '아이돌 전성시대'라 불리며, 수많은 신예 아이돌이 등장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중 실제로 후속 활동을 보장받는 아이돌은 매우 제한적이다. 이에 따라 기획사들은 홍보 수단으로 섹시 이미지 전략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바타이유에 따르면, 금기는 압력을 가하면 오히려 날카로움이 더해지며, 금기의 위반을 통해 금기라는 사회적 명령을 한번 들쑤시는 희열을 느낄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아이돌은 대중가요 시장의 소비자들에게 일종의 환상적인 이미지를 제공하는 '우상'의 존재이다. 따라서 아이돌에게 성적 금기를 범하는 상상은 금기의 위반에 대한 쾌락을 대중들에게 선사한다.
이에 기업은 아이돌의 성적 이미지를 활용한 섹스어필 전략을 적극적으로 펼치고 있다. 실제로 브라운아이드걸스와 소녀시대 등의 사례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이러한 섹스어필 전략은 대중적으로 큰 성공을 거두어왔다. 이는 대중들이 아이돌이라는 우상에게 성적 금기를 위반하는 상상을 통해 쾌감을 느끼기 때문이다.
종합하면, 한국 대중가요 시장에서 기업은 바타이유의 에로티즘 관점에 입각하여 아이돌의 성적 이미지를 활용한 마케팅 전략을 적극 펼치고 있으며, 이는 대중들의 성적 욕구를 자극하여 큰 성과를 거두고 있다고 볼 수 있다.
1.3.2. 포르노그래피와 섹스어필의 유사성 및 차이점
포르노그래피와 섹스어필의 유사성 및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포르노그래피와 섹스어필은 모두 ...
참고 자료
이수안. <대중문화에서 기호가치로서 몸 이미지의 소비양식 ;아이돌 그룹을 중심으로>. 문화와 사회 제 11권, 2011.
이선옥. <대중문화의 성상품화와 인권>. 아시아 여성연구 제 42호, 2003.
이나영. <급진주의 페미니즘과 섹슈얼리티;역사와 정치학의 이론화>. 경제와 사회 제 82호, 비판 사회학회, 2009.
네이버 지식 백과: terms.naver.com
박종원, “중요한 건 그녀들의 ‘쩍벌춤’이 아니야”, <오마이뉴스>, 2012년 10월 27일(http://star.ohmynews.com/NWS_Web/OhmyStar/at_pg.aspx?CNTN_CD=A0001794394/, 2012. 10. 27).
Binet, Alfred, Le Fétichisme dans l'amour, Paris: Payot, 2001.
스티븐 컨, 『육체의 문화사』, 이성동 옮김, 서울: 의암출판사, 1996.
조르쥬 바타이유, 『에로티즘』, 조한경 옮김, 서울: 민음사, 1989.
지그문트 프로이트, 『성에 관한 세 편의 해석』, 오현숙 옮김, 서울: 을유출판사, 2007.
Sinclair, John, Collins Cobuild English Dictionary, New York: Harper Collins Publishers, 19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