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미국의 송어낚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Trout Fishing in America
1.1. 작가 생애
1.2. 배경
1.3. 줄거리
1.4. 작품분석
1.5.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의 비교
1.6. 생태주의 관점에서의 접근
2. Big Two-Hearted River
2.1. 작가 및 작품 소개
2.2. 줄거리
2.3. 작품 소개
2.4. 인물 : 유일한 주인공 'Nick'
2.5. 작품에 쓰인 Hemingway 문체의 특징
2.6. 주요표현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Trout Fishing in America
1.1. 작가 생애
Richard Brautigan(1935-1984)은 1935년 1월 30일에 미국 Washington주의 Tacoma에서 태어났다. 그의 어린 시절에 관한 일화는 거의 알려져 있지 않으며 Brautigan도 자신의 어린 시절에 관하여 얘기하기를 꺼려해 왔다. 이처럼 그나마 알려진 정보에 의하면 그는 자신의 아버지를 전혀 모르고 성장했으며 자신의 비극적인 죽음에 대해서도 그의 가족이 전혀 모르고 있을 정도로 자신의 개인적인 인생은 평범하지 않은 불행한 삶이었다고 한다. Brautigan은 20세인 1955년에 고향에서 샌프란시스코로 이사하였고 한때 Beat Movement에 참여하기도 했다. Allen Ginsberg, Gary Sydner, Jack Kerouac, Michael McClure등이 주축이 되어 이끌었던 Beat Movement는 미국의 과거와 미래를 불신하고 미국의 사회체제에 저항하며 신비주의, 마약, 섹스에 심취했지만 Brautigan은 이러한 저항의식에 동조하지 않는다. 그러나 그는 이상한 행동 등으로 한때는 심한 정신분열증세를 일으켜 오레곤의 주립병원에 입원하여 치료를 받기도 하였다. 이처럼 한동안 정신병원에서 충격요법에 의한 정신분열증세를 치료받다가 도중에 병원을 몰래 탈출하기도 하였지만 그의 정신질환의 증세가 호전되어 그는 점차 삶의 목표인 시인으로서의 문학적 재능을 발휘하기 시작한다. 그리하여 1956년에 최초의 시집인 The Second Kingdom 『제2의 왕국』을 출판하고 1957년 6월에 Virginia Dionne Adler와 결혼한다. 그는 1958년에 시집인 'The Return of the Rivers'『강들의 귀환』을 출판하고 다음 해인 1959년에 24편의 시를 모은 'Lay the Marble Tea 를 발표한다. 이처럼 그는 시인으로서 의욕적으로 계속적인 창작활동에 전념하여 1960년에 'The Octopus Frontier 를 출판하고 가정생활의 행복한 결실로 첫 딸이 태어난다. 한때 Brautigan은 가족을 데리고 Idaho의 조용한 벽지에서 여름캠프생활을 하면서 즐거운 여정을 보내기도 한다. 그는 1964년에『빅 서에서 온 남부의 장? 벙?I>(A Confederate General From Big Sur)을 발표했으며 시인으로서의 업적을 인정받아 1966 1967년까지 2년 동안 캘리포니아 기술연구소의 "Poet-in-Residence 로 활동하기도 했다.
1.2. 배경
송어는 미국에서 어쩌면 가장 흔한, 혹은 미국인들과 가장 친밀한 관계가 있는 미국의 대표적 물고기이다. 그래서 어느 의미에서는 미국을 상징하는 물고기라고 할 수도 있다. 또한 송어는 현대의 미국인들이 상실한 미국의 꿈일 수도 있고, 기계 문명이 쫓아낸 푸른 초원이라고도 할 수 있다.
2차대전 이후 미국인들은 '사회'를 거대한 음모- 즉 개인의 존엄성을 무시하고 개인의 의식을 하나의 틀에 맞추려는 보이지 않는 음모-로 생각하게 되었다. 60년대는 바로 그러한 음모 및 체제에 대해 미국인들이 반발하여 그 정체를 밝히려고 노력한 시기였다. 당시 허버트 마르쿠제가 미국에서 크게 환영받은 이유도 그가 자본주의 사회에서 개인을 조건 짓고 억압하는 그러한 음모를 밝혀내는 저술들을 많이 했기 때문이다.
사람들은 관료체제하에서 사라져가는 인간성과 순진성 그리고 잃어버린 정신적 초원과 목가를 다시 회복하기를 원했고, 동시에 그러한 것들의 상실감에 괴로워했다. 이러한 것들은 그동안 우리가 신봉해 왔던 '미국의 꿈'의 종말을 의미한다. 영화가 리얼리티를 쫓아내고 대신 그 자리에 앉았듯이 오늘날 미국의 꿈도 진정한 꿈이 아닌 조작된 꿈(fabricated dream)에게 그 자리를 찬탈당했다. 금력, 권력, 폭력, 범죄, 기계 그리고 쓰레기더미 속에서 미국의 꿈과 미국의 목가는 사라져 가고 있다. 미국은 이제 녹슨 폐차들로 가득 찬 주차장, 죽은 물고기들로 가득 찬 호수, 그리고 시체들로 가득 찬 공동묘지가 되어버려 '추악한 미국'으로 전락하고 만 것이다.
1.3. 줄거리
작품의 주인공은 송어낚시를 위해 하천을 찾아 황야를 돌아다니게 된다. 하지만 어딜 가더라도 그는 송어를 찾지 못한다. 그는 아버지대로부터 물려받은 '미국의 송어낚시' 라는 신화가 사라진 사실을 인식하게 된다. 그는 딸을 데리고 다시 여행하면서 미국의 송어 낚시라는 현대의 미국에서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 자연의 순수를 되찾아보려 한다. 하지만 그 송어는 이미 잃어버린 낙원, 실낙원이 되어있다."
1.4. 작품분석
이 소설은 외견상 전혀 정치적이 아닌 목가적 소설로 보인다. 그러나 이 소설은 전체가 미국의 문화, 역사, 정치에 대한 한권의 강력한 고발장으로 되어있다. 생태계의 위기와 전통적 문학 형식의 위기가 맞물려 나타나 있는 이 작품은 브라우티건 특유의 "패러디"로써 특유의 메시지를 담아내고 있다. 깨끗하게 절제된 언어와 리드미컬한 문장, 참신한 이미지가 특징이다. 작가는 독자들이 그때그때 재미와 감동을 가지고 읽되, 읽은 다음 즉시 던져버리고 잊어버릴 수 있는 문장으로 이루어진 책이라고 자신의 책을 평가했다.
우선 작품의 제목은 그 작품의 성격과 그 속의 화자, 소재, 주제의 연관성을 갖기 때문에 제목이 갖는 의미를 알아보겠다. 그리고 그 외에 생각해 볼 점과 본문에 대하여 분석해보았다.
제목이 갖는 의미 Trout Fishing in America . 말 그대로 미국의 송어낚시로, 송어를 화자로, 화자를 브라우티건의 또 다른 자아로 표현함으로써 그 자신도 보통의 미국사람이고 동시에 자신에게 관심이 없는 기술 중심의 세계에 희생자로 표현하고 있다. 하천은 송어에게 삶의 터전을 제공해줌과 동시에 제한의 경계를 지님을 의미한다. 이곳의 화자도 마찬가지인 셈이다. 화자는 그곳에서 그 자신만의 세계를 만드는데 이러한 그의 세계는 현실에서는 찾을 수 없다. 현실의 자연은 버려지거나 접근 금지가 되었거나, 좋은 하천이 있다고 해도 문명의 산물인 자동차가 없이는 갈 수조차 없는 곳이 되었기 때문이다. 즉 현대사회에서 상실한 옛 전원을 회복하려고 노력하는 주인공이 ...
참고 자료
김유조, 『어네스트 헤밍웨이: 허무를 극복한 비극적 인간상』, 건국대학교 출판부. 2001.
박병주, 「헤밍웨이의 『우리들의 시대』에 관한 문화적 접근」, 한국중앙영어영문학회, 2003.
소수만, 『어니스트 헤밍웨이: 그의 인생과 작품세계』, 동인출판사, 2006.
소수만, 「헤밍웨이소설의 본령: 단편의 경우」, 대한영어영문학회, 1995.
소수만, 「헤밍웨이의 빙산이론과 침묵의 언어」, 대한영어영문학회, 1999.
유공숙, 「헤밍웨이의 단편소설에 나타난 불안과 그 극복」, 전남대학교, 2010.
이길구, <혜밍웨이 작품속의 역동성 연구>, 한국중앙영어영문학회, 2008.
장혜영, 「어니스트 헤밍웨이의 단편소설에 나타난 닉 애덤즈의 소외」, 숭실대학교, 2004.
Seung Hyun Hong, 「어네스트 헤밍웨이의 “큰 두 갈래의 강”에 나타난 테크닉: 헤밍웨이의 저변의 빙산 들어올리기」, 세계문학비교학회, 2009
*박중서, <20세기 미국문학의 거대한 전설 어니스트 헤밍웨이>, 인물세계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