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불안정 협심증 간호 진단 및 과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문헌고찰
2.1. 불안정 협심증
2.1.1. 정의
2.1.2. 원인 및 위험요인
2.1.3. 병태생리
2.1.4. 증상
2.1.5. 진단검사
2.1.6. 치료
2.2. 제2형 당뇨병
2.2.1. 정의
2.2.2. 원인
2.2.3. 병태생리
2.2.4. 증상
2.2.5. 진단검사
2.2.6. 치료
3. 간호과정
3.1. 간호사정
3.2. 치료 및 경과
3.3. 간호진단 및 계획
4. 결론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협심증은 우리나라에서의 심혈관계질환 사망률 2위를 차지하며, 가장 흔한 사망 원인인 심근경색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이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자료에 따르면 협심증 질환의 진료 인원이 2017년 645,772명에서 2021년 710,764명으로 64,992명(10.1%)이 증가하였고, 연평균 증가률은 2.4%로 나타났다. 허혈성 심장질환 중에서 협심증은 동맥경화반 또는 관상동맥의 경축(spasm)과 관련되어 관상동맥이 부분적 폐쇄되고 이로 인한 심근의 허혈 상태가 초래된 것으로 간헐적인 흉통을 주 증상으로 하며, 종류로는 안정형 협심증(stable angina), 불안정 협심증(unstable angina), 이형성 협심증(variant angina)등이 있다. 협심증이 적절한 시기에 치료되거나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비가역적인 심근의 괴사를 초래하여 회복된 후에도 삶의 질을 제한하며 생명을 위협할 수 있으므로 신속한 치료가 중요하며 특히, 불안정 협심증의 경우에는 3개월 내에 20%에서 급성 심근경색으로 이행하고, 2~4개월 내에 재발하거나, 급성 심근경색으로 이행, 또는 사망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렇게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성인병으로 점차 대두되고 있으며, 개인 및 지역사회에서도 예방 및 치료를 중시한다. 따라서 협심증에 대해 정확히 알고 원인이 무엇인지 확인하여 원인별 치료와 간호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대상자가 일상생활에서 불편함이 없이 생활할 수 있고, 퇴원 후에도 최대한의 건강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간호를 제공할 수 있는 기회를 얻기위해 환자 사례를 연구하고자 한다.
2. 문헌고찰
2.1. 불안정 협심증
2.1.1. 정의
불안정 협심증(unstable angina pectoris)은 심근으로 공급되는 혈류의 감소로 인해 심근의 산소가 결핍되어 갑작스런 흉통을 특징으로 하는 가맥적 임상증상을 의미한다. 3개의 관상동맥 중 어느 한 곳에서라도 급성이나 만성으로 협착이 일어나는 경우, 심장의 전체 또는 일부분에 혈류 공급이 감소하면서 산소 및 영양공급이 급격하게 줄어들어 심장근육이 이차적으로 허혈 상태에 빠지게 된다. 주로 운동형 협심증이 발전되어 휴식 시에도 협심증이 발생하며 20분이상 지속되는 통증으로 증상의 빈도, 기간, 강도가 점차 약화되는 특징을 가진다.
2.1.2. 원인 및 위험요인
불안정 협심증의 원인 및 위험요인은 다음과 같다.
관상동맥 질환의 주요 원인은 죽상경화이다. 이는 1차적으로 동맥내벽에 지질 및 콜레스테롤이 침착되어 일어난다. 혈관내피세포의 손상은 죽상경화를 유발하는 주요 요인이다. 지질대사의 이상이나 콜레스테롤, 포화지방의 지나친 섭취는 죽상경화의 진행을 촉진한다.
불안정 협심증의 주요 위험요인은 다음과 같다. 연령이 증가할수록 발생 확률이 높고, 가족력과 유전적 소인이 있는 경우 심장동맥벽의 선천적 결함으로 인해 플라크를 쉽게 만들어 심장동맥 질환에 더 쉽게 이환된다. 또한 성별에 따라서는 폐경기 이후 에스트로겐이 감소하여 여성의 심장 동맥질환 발병률이 상승하지만, 남성의 발병률이 2~3배 더 높다.
조절 가능한 위험요인으로는 고지혈증, 고혈압, 흡연, 당뇨병, 운동부족, 비만 등이 있다. 고지혈증은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수준이 상승한 것을 의미하며, 이는 동맥벽으로 침투하여 내강을 좁게 만들어 심장근육의 혈류를 감소시키는 원인이 된다. 고혈압은 장기간 고혈압 상태가 혈관내피세포를 손상시켜 콜레스테롤 침착을 용이하게 하여 관상동맥벽에 죽상경화를 촉진시킨다. 흡연은 일산화탄소로 인해 혈액의 산소운반능력을 감소시키고 상피세포에 손상을 주어 죽종형성을 촉진시킨다. 당뇨병은 관상동맥질환의 발생률을 2~4배 높이며, 운동부족은 혈압을 상승시킨다. 또한 비만은 혈압과 비정상적 지단백수준, 인슐린저항성, 혈소판응집을 증가시키고 관상동맥질환의 위험성을 증가시킨다.
2.1.3. 병태생리
관상동맥의 협착으로 인한 심근허혈은 불안정 협심증의 주요한 병태생리적 기전이다. 관상동맥은 심장 근육에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하는 혈관으로, 동맥경화증이나 혈전 등의 원인으로 인해 관상동맥이 좁아지면 심장 근육에 충분한 혈액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아 허혈 상태가 발생한다.
이러한 심근허혈은 크게 세 가지 기전으로 나타나는데, 첫째는 심근의 산소 요구량 증가, 둘째는 심근 산소 공급량 감소, 셋째는 측부순환의 부족이다.
첫째, 심근의 산소 요구량 증가는 운동, 스트레스 등 심장의 부하가 증가하는 상황에서 발생한다. 관상동맥질환이 있는 경우 심장 근육의 부하가 증가하면 산소 요구량이 증가하지만 관상동맥이 협착되어 있어 충분한 혈액 공급이 되지 않아 심근허혈이 발생하게 된다.
둘째, 심근 산소 공급량 감소는 관상동맥이 일시적으로 연축되거나 혈전이 형성되어 관상동맥이 급격히 폐쇄되면서 발생한다. 이 경우 심근에 공급되는 산소가 줄어들어 허혈이 유발된다.
셋째, 측부순환의 부족은 관상동맥이 만성적으로 좁아진 경우 발생하는데, 정상 상태에서는 관상동맥들이 서로 연결되어 있어 한 혈관이 막혀도 다른 혈관을 통해 혈액 공급이 가능하지만, 관상동맥질환이 진행되면 측부순환이 충분히 발달하지 않아 혈액 공급이 원활하지 않게 된다.
이렇게 ...
참고 자료
유양숙 외, 성인간호학 상권(제 8판) , 현문사, 2022 p665~p688
윤은자 외, 성인간호학2 (제 9판 개정), 수문사, 2022, p741~p767
국민건강보험 https://www.nhis.or.kr/nhis/index.do
네이버 지식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926915&cid=51007&categoryId=51007#TABLE_OF_CONTENT2
드럭인포 https://www.druginfo.co.kr/index.aspx
MSD 매뉴얼 일반인용, 불안정협심증, https://www.msdmanuals.com/ko-kr, 2023.09.03
천안 21세기 병원, 심장비대, http://contents.adpopcorn.com, 2023.09.03
여의도내과, EKG, https://blog.naver.com/imharrison/223052124745, 2023.09.03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세브란스병원 건강칼럼: 협심증의 종류 3가지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강동 경희대 병원 사진 사용
성미혜 외 공저(2015). 비판적 사고기반 간호과정의 적용 (수문사) 간호진단 참조
김금순 외 공저(2016). 성인간호학 Ⅰ,Ⅱ(수문사)
의약품 사전 http://www.health.kr/
약학정보원 약학정보원 http://www.health.kr/
서울아산병원 심장내과/ 간호부
서론: 삼성서울병원, 통계청, 서울 아산병원, 삼성서울병원 학회지 참고
참고문헌: NS 등 약물 정보 서울 아산병원 의료정보 질환백과
참고문헌: 네이버 지식백과, 의학사전 협심증
참고문헌: 보건복지부, 대한의학회
윤은자 외(2021), 성인간호학, 수문사, p. 745~756, 1318~1322
성미혜 외(2021), 간호과정, 수문사, p. 247~340
박의현 외(2009), 심장과 혈관: 협심증, 엠엠케이커뮤니케이션즈(주), p. 8-9
2024년 대비 퍼시픽 성인간호학1 국시대비 개념서, 퍼시픽 북스, p. 307~312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
서울아산병원 협심증 https://www.amc.seoul.kr/asan/mobile/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21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