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분해플라스틱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최초 생성일 2024.08.28
6,500원
AI자료를 구입 시 아래 자료도 다운로드 가능 합니다.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생분해플라스틱"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생분해성 플라스틱
1.1. 정의 및 국제 표준
1.2. 생분해성 수지 제품
1.2.1. 생분해성 생수병
1.2.2. 생분해성 식품 용기 및 기구
1.2.3. 기타 생분해성 플라스틱 제품

2. 바이오 플라스틱의 개발 현황 및 전망
2.1. 플라스틱 폐기물 증가로 인한 사회문제
2.2. 바이오 플라스틱 개요 및 종류
2.2.1. 생분해 플라스틱
2.2.2. 천연 고분자
2.2.3. 산화생분해 플라스틱
2.2.4. 바이오베이스 플라스틱
2.3. 바이오 플라스틱 관련 규제 및 시장 동향
2.4. 바이오 플라스틱 산업 시장 동향 및 적용 사례

3. 바이오플라스틱 관련 기업 사례
3.1. NatureWorks
3.1.1. 기업 개요
3.1.2. 바이오 플라스틱 사업 동향 및 적용 기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생분해성 플라스틱
1.1. 정의 및 국제 표준

생분해성 플라스틱이란 일반적으로 미생물과 같은 살아있는 유기체의 작용에 의해 물, 이산화탄소 등으로 분해될 수 있는 플라스틱을 말한다[1]. 하지만 이를 제품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엄밀한 정의, 즉 표준화된 규격이 필요하다.

생분해성 플라스틱의 국제 표준 중 하나인 "ISO 14855-1"은 "퇴비화 조건에서 플라스틱 재료의 호기성 생분해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방출된 이산화탄소의 분석에 의한 방법[3]"이다. 이를 기준으로 각국에서 관련 기준을 만들어 운영하고 있는데, 미국 ASTM D 5338, 유럽 EN 13432, 한국 KS M ISO14855-1, 중국 GBT 19277, 일본 JIS K 6953이 이에 해당한다[2].

한국 표준인 KS ISO14855-1에서는 58±2℃의 항온이 유지되는 밀폐된 곳에서 배양하여 각 퇴비화 용기에서 나오는 공기로부터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측정한다[3]. 이때 (a) 45일간 표준 물질의 생분해도가 70% 이상이거나, (b) 시험의 종료 시까지 표준물질이 담긴 각 용기의 생분해도의 차이가 20% 이내이면, (c) 접종원 배양 후 10일동안 휘발성 고형분의 g당 50~150mg의 이산화탄소가 발생하면 유효한 것으로 간주한다[3]. 이를 바탕으로 국내에서는 218개 기업, 1496개의 제품이 생분해성 수지 제품으로 인증되어있다[4].

즉, 생분해성 플라스틱은 엄격한 국제 표준에 따라 정의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생분해 여부를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제품에 대한 인증을 부여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1.2. 생분해성 수지 제품
1.2.1. 생분해성 생수병

'1.2.1. 생분해성 생수병'은 산수음료(주)에서 제작한 두 개의 생분해성 수지를 사용한 생수병 제품이다. "i'm eco 산수"(이하 '산수'라 한다)와 "i'm eco 고마운샘"(이하 '고마운샘'이라 한다)이 그 제품에 해당한다. '산수'는 100% 사탕수수에서 유래한 병뚜껑과 라벨, 30% 사탕수수에서 유래한 생수병을 사용한 제품이고, '고마운샘'은 병뚜껑, 라벨, 생수병 모두 100% 사탕수수에서 유래한 제품이다.

'고마운샘' 제품은 20년 6월에 출시한 제품으로 주요한 구성성분은 PLA이다. 이 제품의 병뚜껑, 라벨, 병은 모두 다른 소재로 만들어져 있다. 병은 virgin PLA라는 자체 개발한 원료를 사용하고, 라벨은 생분해성 필름, 병뚜껑은 여러 다른 생분해성 수지, 생분해성 플라스틱을 사용해 만들었다. 특별히 이 제품은 기본 재료로 'Total Corbion'에서 만든 Luminy LX175, Luminy LX575를 사용한다. 이 원료는 한국환경산업기술원에 생분해성 수지 원료로 인증받은 제품이며, 유럽연합 'Commission Regulation'(EU No.10/2011), 미국 FDA의 'Title 21 of the Code of Federal Regulations', 중국 국가 식품 안전 표준 'GB 9685-2016'에 식품 접촉 재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승인을 받은 제품이다. LX175는 표준 PLA로 고점도, 무정형 투명 수지이며, 필름 압출, 열 형성 또는 섬유 회전에 적합하고, PBAT/녹말 화합물에 강도를 추가하는 데 사용된다. LX575는 고내열성 수지로 압출 공정에 적합한 고점도 수지이다.

'고마운샘' 제품의 가장 큰 특징은 산업용 폐기 조건이 갖춰졌을 때 180일 이내에 분해된다는 것이다. PLA 분해과정을 요약하면 PLA가 가수분해하여 Lactic Acid가 되고, 락트산이 산화 반응과 탈수소화 반응에 의해 Pyruvic Acid가 된다. 피루브산이 탈수효소 복합체에 의해 아세틸-CoA로 변환되면 TCA cycle에 의해 이산화탄소와 물이 빠져나온다. 이러한 생분해 특성으로 인해 '고마운샘' 제품은 "플라스틱 분리배출이 아닌 일반쓰레기로 배출해야 한다". 이뿐 아니라 PLA 소재는 생체흡수성이 있는 소재이기 때문에 미세플라스틱이 발생하더라도 몸에 축적되지 않고 생분해 된다.

PLA가 재활용되는 방법은 '화학적 또는 기계적 재활용', '퇴비화', '소각', '매립' 등이 있다. 이 중에서 '고마운샘' 제품은 주로 '화학적 재활용'방법을 택하고 있는데, 국내 분리수거 시스템이 아직 완벽하지 않아 퇴비화가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산수음료(주)'는 이 제품을 생분해시키기보다 에코포인트 제도를 이용해 구매자로부터 생수병을 회수하여 재활용한다. 수거한 생수병을 토탈코르비온(Total Corbion)에 보내 다시 PLA 제품을 생산하는데 이용한다. 이외에도 포장재는 산업퇴비화가 가능하여 폐기시 미생물에 의해 생분해되어 미세플라스틱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1.2.2. 생분해성 식품 용기 및 기구

생분해성 식품 용기 및 기구는 생분해성 빨대, 수저, 식품 용기, 컵 등을 포함한다. 기업별 제품의 소재와 특별한 특징, 자체적으로 시행하고 있는 수거법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주)동일프라텍'은 생분해성 일회용 빨대를 만들었다. (제품명 '디앙 일회용 스트로우') 구성성분은 PLA와 PBAT이다. PBAT는 1,4-butanediol과 terephtalic acida 및 adipic acid를 축합중합하여 얻어진 물질로 구조식은 그림 15와 같다. PBAT는 생분해성 고분자로서 terephtalic acid의 벤젠 부분에 의해 높은 안정성과 기계적 특성을 갖는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PET를 대체할 수 있다. 제품의 특징으로는 천연 원료로 만들어 열에 약하므로 (내열온도 60℃) 뜨거운 음료에는 사용할 수 없고, 기존의 친환경 종이 빨대와 달리 오래 두어도 눅눅해지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주)리와인드'는 PLA 용기, PLA 일회용 컵(컵 뚜껑 포함), PLA 생분해 빨대를 만들었다. 이 기업의 특징은 카페와 연계하여 컵 캐리어, 빨대, 컵 뚜껑, 컵 모두 생분해성 가능한 제품으로 만들었다는 점이다. 또한, 자체적으로 '미드웨이 프로젝트'를 통해 PLA의 제대로 된 수거 정책이 마련될 때까지 직접 수거하여 재활용하고 있다는 점에서 기존 제품 대비 매우 친환경적이라고 할 수 있다.

'(주)프레스'는 자체 개발한 소재인 'Rexcorn™ 생분해성 수지'로 "빨대, 유아식기, 칫솔, 면도기, 수저포크 등을 생산하고 있다". Rexcorn™은 생분해성 고분자인 PLA, PBAT, PBS 등을 기반으로 개질하여 만든 소재이다. 이 소재의 기간별 토양 매립 시험결과에 따르면 매립 후 120일이 경과했을 때 대부분 분해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1.2.3. 기타 생분해성 플라스틱 제품

'1.2.3. 기타 생분해성 플라스틱 제품'에 대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주)브러시월드'에서는 생분해성 칫솔과 면도기를 만들었다. 단, 칫솔모와 면도날 부분은 생분해되지 않는 제품으로 만들어졌기에 분리할 수 있게 만들어졌다. 두 제품 모두 구성성분은 PLA, PCL이다. 이 제품은 사용 후 폐기시 토양에서 환경오염물질 배출 없이 미생물에 의하여 빠른 시일 내에 퇴비로 분해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원료의 토양 매립 시험 결과 120일 이내에 대부분 분해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제품은 타 생분해성 제품과 마찬가지로...


참고 자료

Ammala, Anne, "An overview of degradable and biodegradable polyolefins," Progress in Polymer Science 36 no.8 (2011) : 1015–1049. doi:10.1016/j.progpolymsci.2010.12.002.
유영선, "국내외 바이오 플라스틱 표준화 및 식별표시 제도 동향", The monthly packaging world no.251(2014):51-63
KS M ISO14855-1:퇴비화 조건에서 플라스틱 재료의 호기성 생분해도의 측정 — 방출된 이산화탄소의 분석에 의한 방법 — 제1부: 일반적 방법 (산업표준심의회, 2012)
"환경표지(마크) 인증제품현황_210430_홈페이지용" 한국환경산업기술원 정보마당 인증현황 자료실, last modified May 6, 2021, accessed May 8, 2021, http://el.keiti.re.kr/service/page.do?mMenu=6&sMenu=4.
"환경표지" 한국환경산업기술원 정보마당 인증도안 및 사용방법, accessed May 8, 2021, http://el.keiti.re.kr/service/page.do?mMenu=6&sMenu=6.
"Sansumall," 산수음료, https://sansumall.co.kr/web/product/list.php.
"Luminy® PLA Portfolio," total-corbion, accessed May 10, 2021 https://www.total-corbion.com/about-pla/.
"표준화된 식품의 건조기술 보급 필요성-C.S 칼럼(298)." 식품음료신문. last modified Mar 02, 2020, accessed May 10, 2021, https://www.thinkfood.co.kr/news/articleView.html?idxno=86642.
"중앙일보 유튜브 채널," Youtube, last modified Dec 04, 2020, accessed May 10, 2021, https://youtu.be/JbcS81FS0nY.
"Best ECO Bottle," accessed May 10, 2021, https://www.bestecobottle.com/pages/faqs.
"Paper Water Bottle™," accessed May 10, 2021, https://paperwaterbottle.com/.
윤상순, “음료용 페트병, 이것만 알고 갑시다!” 생활 속 식의약. last modified Sep, 2015, accessed May 10, 2021https://www.mfds.go.kr/webzine/201509/05.jsp.
Li, Z., Yang, J. & Loh, X. Polyhydroxyalkanoates: opening doors for a sustainable future. NPG Asia Mater 8, e265 (2016). https://doi.org/10.1038/am.2016.48
Tan, Giin-Yu A.; Chen, Chia-Lung; Li, Ling; Ge, Liya; Wang, Lin; Razaad, Indah M.N.; Li, Yanhong; Zhao, Lei; Mo, Yu; Wang, Jing-Yuan. 2014. "Start a Research on Biopolymer Polyhydroxyalkanoate (PHA): A Review" Polymers 6, no. 3: 706-754. https://doi.org/10.3390/polym6030706
고자경, "생분해성 폴리머 PHA의 생물학적 합성기술," 고분자 과학과 기술 32 no.1 (2021): 4-7.
"Polyhydroxybutyrate," Wikipedia, accessed May 11, 2021, https://en.wikipedia.org/wiki/Polyhydroxybutyrate.
“PHBV,” Wikipedia, accessed May 11, 2021, https://en.wikipedia.org/wiki/PHBV
“This Completely Biodegradable Single-Use Water Bottle Could Change the Game,” GREEN MATTERS, last modified Feb 13, 2019, accessed May 11, 2021 https://www.greenmatters.com/technology/2019/02/13/PEJke9lEz/cove-biodegradable-single-use-water-bottle
Cataldi, P. (July 2020). "Multifunctional Biocomposites Based on Polyhydroxyalkanoate and Graphene/Carbon Nanofiber Hybrids for Electrical and Thermal Applications". ACS Applied Polymer Materials. 2 (8): 3525–3534. doi:10.1021/acsapm.0c00539.
“Cove,” accessed May 11, 2021, https://www.drinkcove.com/
“This new water company’s biodegradable bottle melts away if it ends up in the ocean,” FAST COMPANY, last modified Feb 11, 2019, accessed May 11, 2021 https://www.fastcompany.com/90304442/this-new-water-companys-compostable-bottle-fully-biodegrades-in-the-ocean
“Diang” accessed May 13, 2021, https://diang.co.kr/
“Polybutylene adipate terephthalate,” Wikipedia, accessed May 13, 2021, https://en.wikipedia.org/wiki/Polybutylene_adipate_terephthalate
“REWIND,” accessed May 13, 2021, http://www.rewind2nature.com/
“[특허&CEO] 프렉스, ‘Rexcorn 생분해성 수지’”, 특허뉴스, last modified Mar 03, 2019, accessed May 13, 2021, http://www.e-patentnews.com/sub_read.html?uid=5621§ion=sc3§ion2=
“Frex,” accessed May 13, 2021 http://xn--oi2bj8ip3cc6bfu0bl2c1ua.xn--3e0b707e/
“에코닛시몰,” accessed May 13, https://smartstore.naver.com/econissi
주식회사 브러시월드, 친환경 칫솔, KR Patent No.10-1612439, filed Apr 3, 2015 and issued Apr 7, 2016
주식회사 브러시월드, 친환경 면도기, KR Patent No.10-1612431, filed Apr 3, 2015 and issued Apr 7, 2016
“BRUSHWORLD,” accessed May 13, 2021, http://www.bw1983.com/main
“에코닛시몰,” accessed May 13, 2021 https://smartstore.naver.com/econissi
주식회사 엠보틀, 친환경 화장품 용기 및 그 제조방법, KR Patent No.10-2222764, filed Sep 17, 2020 and issued Feb 25, 2021
“특허컨설팅, 테헤란을 통해 기업 성장의 원동력을 얻었습니다. [(주)엠보틀 인터뷰],” 네이버 블로그, last modified Apr 26, 2021, accessed May 13, 2021, https://blog.naver.com/iskylove7/222323735854
"세계 최초 생분해성 신소재를 개발한 LG화학! 친환경 소재를 개발해 자원 선순환에 앞장섭니다," LG케미토피아, last modified Nov 16, 2020, accessed May 14, 2021, https://blog.lgchem.com/2020/11/16_biodegradable-material/
주식회사 엘지화학, 블록 공중합체, KR Patent No.10-2021-0042080, filed Apr 9, 2021 and issued Apr 16, 2021
“Biobased and biodegradable plastic 소개 : PHA - CJ제일제당 미래기술연구소 Sustainability Lab 장동은 부장,” Youtube, last modified Jul 4, 2020, accessed May 14, 2021 https://www.youtube.com/watch?v=ChdYdwAA6lg
“SK케미칼, “2021 올해의 연구원” 한예지 연구원 선정”, SK케미칼 소식, last modified Apr 14, 2021, accessed May 14, 2021, https://www.skchemicals.com/prcenter/new_view.aspx?serno=2932
“생분해성 병물 아리수 시범사업 추진사항 보고,” 서울특별시 서울정보소통광장, last modified Sep 30, accessed May 14, 2021, http://opengov.seoul.go.kr/sanction/21299133
황성연, 바이오 플라스틱의 기술 개발 현황 및 전망, 융합연구리뷰, 2019년 12월
NatureWorks Overview Pamphlet, 2019
김현옥, 플라스틱 신소재 ‘인지오(Ingeo)’ 우수한 보존성에 생분해, 2016.07.11.
김타영, 잘 썩는 친환경 플라스틱이 뜬다, FORTUNE KOREA, 2021년 4월
Erwin T.H. Vink, Karl R. Rábago, David A. Glassner, Patrick R. Gruber, Applications of life cycle assessment to NatureWorks™ polylactide (PLA) production, Polymer Degradation and Stability, Volume 80, Issue 3, 2003, Pages 403-419,
박시재, 바이오플라스틱 생산 미생물 플랫폼 제작을 위한 대사공학 전략 개발,Appl. Chem. Eng., Vol. 25, No. 2, April 2014, 134-141
유영선, 오유성, 홍승회 등. 2015. “국내외 바이오 플라스틱의 연구개발, 제품화 및 시장 동향”. 청정기술 21, no.3 : 142-151p)
김용환. 2009. “바이오플라스틱”. NICE 27, no.3 : 298-299p
심우석. 2014. “바이오플라스틱산업의 창조적 역할과 발전과제”. KIET산업경제 2014, no3 : 28p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2012. “바이오소재 활용기술(바이오 플라스틱 중심으로)”, 기술동향 2012-5. 10p
You, Y. S. 2010. “Trend of Eco-Packaging Technology,”. The Monthly Packaging World, 201 : 118-128
이상호, 박경문, 주정찬. 2019. “생분해성 바이오플라스틱 생산기술과 산업동향”. KEIT PD Issue Report, vol.19-10 : 20p
박노형, 김동현, 김창목 외. 2013. “바이오플라스틱의 산업동향과 전망”. Biomaterials Research (2013), 17(2) : 45p
(사)한국바이오소재패키징협회. 2020,2,6. “국내외 바이오플라스틱 종류, 최신동향 및 제품 적용 현황”. HANDLER, http://www.ihandler.co.kr
wakamori. 2019,10,4. “バイオプラスチックで問題は解決?-海洋プラスチック汚染の対策 (바이오플라스틱이 문제를 해결했습니까? - 해양 플라스틱 오염방지)”. Less Plastic Life, https://lessplasticlife.com/marineplastic/responses/bioplastics
[그림1] 김용환. 2009. “바이오플라스틱”. NICE 27, no.3 : 298p
[그림2] SERI 경영노트 2011. “지구를 구하는 소재, 썩는 플라스틱의 부상”
[그림3] 박노형, 김동현, 김창목 외. 2013. “바이오플라스틱의 산업동향과 전망”. Biomaterials Research (2013), 17(2)
[그림4,5,6] (사)한국바이오소재패키징협회. 2020,2,6. “국내외 바이오플라스틱 종류, 최신동 향 및 제품적용 현황”. HANDLER, http://www.ihandler.co.kr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