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간전증 간호진단

  • 1
  • 2
  • 3
  • 4
  • 5
  • 6
  • 7
  • 8
>
최초 생성일 2024.12.21
5,000원
AI자료를 구입 시 아래 자료도 다운로드 가능 합니다.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자간전증 간호진단"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자간전증(Preeclampsia)
1.1. 정의
1.2. 원인 및 병태생리
1.3. 임상양상
1.3.1. 증상
1.3.2. 경증 자간전증과 중증 자간전증의 비교
1.4. 진단적 검사
1.4.1. Roll-over test
1.4.2. 평균 동맥압
1.4.3. 단백뇨 검사
1.5. 치료 및 간호
1.5.1. 약물요법
1.5.2. 태아사정
1.5.3. 간호: 신체검진, 입원간호, 응급상황
1.6. 간호진단
1.6.1. 자간전증 징후와 관련된 신체손상위험성
1.6.2. 자간전증과 관련된 조직관류 장애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자간전증(Preeclampsia)
1.1. 정의

자간전증이란 임신 전 혈압이 정상이었던 임부에게 20주 이후 고혈압과 단백뇨, 혈액농축 등이 발생하는 혈관 경련성 질환을 의미한다. 이는 종종 임신중독증이라고도 불리는데, 임신과 동반하여 고혈압, 단백뇨, 부종 등의 증세가 나타나는 질환으로 주로 임신 말기에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자간전증은 그 증상의 심각도에 따라 경증 자간전증과 중증 자간전증, 그리고 자간증으로 분류되며, 질병의 중증도가 높을수록 산모와 태아에게 미치는 위험성이 증가하게 된다.


1.2. 원인 및 병태생리

자간전증의 원인 및 병태생리는 다음과 같다.

자간전증의 정확한 원인은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으나, 일차적으로는 착상 이후 발달단계에서 정상적으로 발생하는 영양막 세포가 모체 내로 잘 침투되지 않아 태반으로의 혈류공급에 장애가 생기게 되고 이로 인해 산모와 태아의 혈관에 손상이 입어 다양한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 인종이나 유전적 요소는 병 발생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자간전증의 기본적 병태생리는 혈관의 수축이다. 임신 중의 생리적인 변화와 관계가 있으며 주요 병리적 요인은 단순한 혈압의 증가가 아니라 '혈관경련'에 의한 관류 저하 및 세동맥의 수축, 혈관의 손상 등이 있다""

임신으로 인해 변화된 혈관의 수축과 이완에 의하여 동맥순환이 방해를 받게 되고, 혈관의 수축에 의해 혈압이 오르게 되면서 결국 여러 장기로의 혈액공급이 원활치 못하게 되어 콩팥, 간, 뇌 등 주요 장기들도 손상을 받게 된다""

또한 태반으로의 혈류공급도 저하되어 태아의 발육도 나빠지게 할뿐만 아니라 혈관 내피세포의 손상도 초래하여 단백질 투과력을 증가시키고 혈소판, 섬유소 등과 다른 혈액 성분들이 내피세포 사이로 유출시키며 혈관 내에서 혈관 외로 수분의 이동을 초래하여 임상적으로 단백뇨나 부종과 같은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


1.3. 임상양상
1.3.1. 증상

자간전증의 증상은 임신 20주 이후에 나타나며 혈압의 상승이나 단백뇨, 그리고 부종 등의 증상으로 나타난다.

첫 번째로 고혈압은 자간전증에서 가장 많이 나타나는 증상으로 보통 혈압을 6시간 간격으로 두 번 측정하였을 때 평상시 혈압보다 수축기 혈압이 30mmHg 이상, 이완기 혈압 15mmHg 이상 상승할 때 혹은 혈압이 140/90mmHg 이상일 때를 말한다. 혈압 측정은 안정된 상태에서 4~6시간 간격으로 두 번 측정해야 하며 임신 전 수치와 비교하는 것이 더 의미가 있다.

두 번째 증상은 갑작스런 체중증가로서 이러한 체중의 갑작스런 증가는 조직 내 수분축적으로 인해 발생하는데 이러한 체중 증가는 보이지 않는 곳에서의 잠복부종을 의미하며 대부분 질병이 진행되면 얼굴과 손가락에 눈에 띄는 부종이 나타난다. 주당 450g의 체중 증가가 바람직하나 주당 900g이나 1달에 2.7kg 이상 증가하면 자간전증을 의심해볼 수 있다.

세 번째 증상으로는 단백뇨가 있다. 단백뇨 역시 많이 나타나는 증상의 하나로서 혈관경련이 진행되는 정도에 따라 단백뇨의 정도는 매우 다양하므로 한 번의 소변검사로 진단하기보다는 24시간 소변 수집과 같은 방법을 통하여 정확한 검사를 시행해야 한다. 경한 자간전증에서 단백뇨는 300mg/L에서 1g/L (2+) 사이로 나타날 수 있다. 이는 자연배뇨를 통하여 중간뇨를 수집하거나 단순도뇨를 이용한 소변검사에서 볼 수 있는 결과이다. 24시간 뇨 수집에서는 뇨단백이 5g/L (3+) 정도까지 검출될 수 있다. 단백뇨는 고혈압이나 체중증가보다 늦게 나타나는 증상으로 임신성 고혈압의 진행 정도를 확인하는데 지표가 될 수 있다.

만약 중증 자간전증일 경우는 신체 다른 기관에서도 다양한 증상을 보이므로 임부가 안정 상태에서 6시간 간격으로 최소한 두 번 이상 측정한 혈압이 160/110mmHg 이상, 24시간 소변검사에서 단백뇨 5g/L 이상 혹은 최소 4시간 간격으로 두 번 이상 한 소변검사에서 3+ 이상, 핍뇨(소변량 500ml 이하/24시간), 뇌 혹은 시각장애, 폐부종 혹은 청색증, 심와부 혹은 우측상복부 통증, 간기능...


참고 자료

[제3판 여성건강간호학2] 현문사(이영숙, 박재순, 이혜경, 박영주 외 공저)
[서울 삼성병원 질환백과]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889
[세브란스병원 질환정보]
http://sev.iseverance.com/dept_clinic/department/obstetrics_gynecology/disease/view.asp?con_no=20098
약학정보원 http://www.health.kr/main.asp
서울아산병원 의약품정보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ruginfo/drugInfo.do
KMLE 약품/의약품 정보 http://www.kmle.co.kr/
대한진단검사의학회 https://www.kslm.org/sub01/sub05_4.html
혈액응고검사해석] 혈액응고검사 https://m.blog.naver.com/lhc930102/221351275796
삼성서울병원 질환백과 http://samsunghospital.com/home/healthInfo/main.do
서울아산병원 질환백과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Submain.do
퍼시픽 학술편찬국, 모성간호학, 퍼시픽북, 2016
이영숙 외. 여성건강간호학 2. 현문사. 2014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 편(2012), 여성건강간호학Ⅱ, 수문사
차영남 외 공저(2013), NANDA간호진단과 중재가이드, 현문사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