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해결중심이론은 단기치료의 대표적인 개입 방법을 제시해 주고 있다. 특히 클라이언트 지향적인 접근 방법으로, 클라이언트를 자신의 문제를 가장 잘 아는 전문가로 인정함과 동시에 문제 해결의 주체로서 전문적 관계의 동반자로 인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해결중심이론은 클라이언트가 자신이 무엇을 원하고 삶에서 어떤 변화가 일어나기 바라는지 가장 잘 알고 있는 전문가이므로, 사회복지사는 클라이언트의 문제해결능력을 인정하고 이를 중요시 해야 한다. 또한 해결중심이론을 활용하는 사회복지사는 클라이언트를 변화시키는 전문가가 아니라 클라이언트의 변화에 도움을 주는 자문가의 역할을 한다. 나아가 문제내용 자체보다는 문제 해결방안과 새로운 행동 유형을 시작하는데 초점을 두며, 클라이언트의 잠재적인 변화 욕구를 인정하고 중요시 한다.
이러한 해결중심이론에 입각하여 면접을 진행하고자 하는 면접 진행자는 솔직히 전문적인 지식을 갖춘 사회복지사가 아닌, 아직 경험이 부족한 사회복지학과 학생이라는 것을 인정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 학기 동안 사회복지 실천 기술론 시간에 배운 모든 전문적인 부분을 활용하고, 특히 해결중심이론을 중점적으로 공부하여 상담을 진행하고자 한다. 또한 클라이언트인 면접 대상자의 주된 문제 해결을 조정하는 데 바람직할 역할을 하기 위해서 최선을 다할 것을 다짐하면서 면접을 융통성 있게 이끌어 가고자 한다.
한편, 면접 대상자인 클라이언트는 면접 진행자인 누나가 사회복지를 공부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다. 처음에는 면접을 하지 않겠다고 거절하였지만, 누나가 면접 진행 과정과 활용 방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해주자 누나를 믿고 면접에 응하기로 하였다. 누나와의 신뢰를 바탕으로 자신의 고민과 문제에 대해 솔직히 털어놓고, 누나가 제공해줄 수 있는 해결방안을 기대하고 있다.
2. 본론
2.1. 해결중심이론
2.1.1. 의미
해결중심이론은 단기치료의 대표적인 개입 방법을 제시해 주고 있다. 특히 클라이언트 지향적인 접근 방법으로, 클라이언트를 자신의 문제를 가장 잘 아는 전문가로 인정함과 동시에 문제 해결의 주체로서 전문적 관계의 동반자로 인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클라이언트가 자신의 문제와 욕구를 가장 잘 알고 있으며, 변화의 주체가 되어야 한다는 관점을 기반으로 한다.
2.1.2. 기본가정
해결중심이론의 기본가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클라이언트는 자신이 무엇을 원하고 삶에서 어떤 변화가 일어나기 바라는지 가장 잘 알고 있는 전문가이다. 따라서 사회복지사는 클라이언트의 문제해결능력을 인정하고 이를 중요시해야 한다.
둘째, 해결중심이론을 활용하는 사회복지사는 클라이언트를 변화시키는 전문가가 아니라 클라이언트의 변화에 도움을 주는 자문가의 역할을 한다.
셋째, 문제내용 자체보다는 문제 해결방안과 새로운 행동 유형을 시작하는데 초점을 둔다.
넷째, 클라이언트의 잠재적인 변화 욕구를 인정하고 중요시 한다.
다섯째, 사회복지사의 역할은 클라이언트에게 무엇을 달리 해야 하는지 직접 가르치거나 행동 변화를 하도록 새로운 전략을 가르치지 않으며, 자신이 이미 알고 있는 문제해결방안을 생각해 내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
여섯째, 사회복지사와 클라이언트의 관계는 협력적인 동료관계이다.
2.1.3. 주요원칙
해결중심이론의 주요원칙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병리적인 것 대신에 건강한 것에 초점을 둔다. 해결중심이론은 문제보다는 강점에 초점을 맞추어 클라이언트의 건강한 특성과 자원을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본다. 이는 기존의 문제 중심적인 접근과는 차별되는 접근법이다.
둘째, 클라이언트의 강점, 자원, 건강한 특성을 발견하여 치료에 활용한다. 해결중심이론에서는 클라이언트가 가진 긍정적인 특성과 역량을 찾아내고 이를 바탕으로 문제해결에 활용한다. 단순히 문제를 진단하고 해결책을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클라이언트의 내적 자원을 동원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셋째, 탈이론적이고 비규범적이며 클라이언트의 견해를 존중한다. 해결중심이론은 특정 이론에 얽매이지 않고 클라이언트의 견해와 요구에 귀 기울이는 비규범적 접근을 취한다. 클라이언트의 관점과 경험을 중요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