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여기스터디 사회복지"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사회복지실천과 실천기술
1.1. 사회복지실천의 개념
1.2. 사회복지 실천의 특성
1.3. 사회복지 실천기술의 개념
1.4. 개인, 가족, 집단 간 사회복지 실천의 차이
1.4.1. 개인 대상 사회복지실천
1.4.2. 가족 대상 사회복지 실천
1.4.3. 집단 대상 사회복지실천
2. 사회복지행정론
2.1. 사회복지행정이란?
2.2. 우리나라에 가장 적합한 유형: 새로운 사회복지행정론의 개발
3. 장애인 교육재활
3.1. 장애인 교육재활의 개념 및 현황
3.2. 교육재활의 필요성
3.3. 교육재활 지원방안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사회복지실천과 실천기술
1.1. 사회복지실천의 개념
사회복지실천이란 사회복지사가 서비스 대상자의 사회적 안녕 상태를 이루는 데 필요한 구체적 서비스를 현장에서 실행하는 것을 말한다"이다. 이는 사회복지사 개인의 독단적이며 일방적인 활동이 아니라 클라이언트의 주도적 역할을 전제로 하고 있다. 사회복지사는 클라이언트가 문제해결 능력을 강화하여 스스로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는 것이 핵심 개념이다. 또 사회의 요구와 사람들의 갈망, 욕구를 중재하기 위해 개입하는 사회 기제이기도 하다. 이러한 사회복지 실천 개념을 정리해 보자면 대상자의 삶의 질을 향상하고, 사회적 기능을 다할 수 있는 목표 달성을 위해 사회복지사가 지원하는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활동을 말한다"이다.
1.2. 사회복지 실천의 특성
사회복지 실천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모든 사람의 삶의 질 개선을 목적으로 한다. 사회복지실천은 특정 계층이나 대상이 아닌 모든 사람을 대상으로 한다"는 것이다.
두 번째, 개인 및 가족, 지역사회, 집단과 같이 상호연관성을 가진 다양한 인구 집단을 대상으로 한다. 사회복지 실천은 개인과 환경의 상호작용에 초점을 두고 있다"는 것이다.
세 번째, 인간의 사회적 기능 향상을 위해서는 적합한 사회적 상황이 제시되어야 하며, 환경이 개선되지 않는다면 목표 달성이 어렵다는 특성을 가진다.
네 번째, 인간의 존엄성과 개별화 그리고 자기결정의 가치 등 인도주의 이념을 전제로 하여 가치 합리화 방향의 중요성을 강조한다"는 특성이 있다.
즉, 사회복지 실천은 모든 사람의 삶의 질 향상을 목적으로 다양한 인구 집단을 대상으로 하며, 인간과 환경의 상호작용에 초점을 두고 인간의 존엄성과 자기결정권을 중요시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1.3. 사회복지 실천기술의 개념
사회복지 실천기술은 "목적 달성을 위한 사회복지사의 개입 활동 전반을 지칭하며, 효과적으로 지식을 활용해 실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사회복지 실천기술은 크게 전문적인 지식과 가치로 나뉘는데, 전문적인 지식에는 사회복지 정책과 이론, 클라이언트의 행동 특성, 일탈과 해체 문제 해결을 위한 지식, 인간의 심리와 행동에 대한 심리학적 지식 등이 포함된다" 또한 가치에는 클라이언트를 하나의 인간으로 존중하고 개별화하는 것, 스스로가 문제를 인식하고 원조를 결정하도록 하는 것, 비밀을 보장하는 것, 공감해 주고 사회행동을 고취하는 것, 개입 및 활동 내용에 대해 책임성을 가지는 것 등이 포함된다"
1.4. 개인, 가족, 집단 간 사회복지 실천의 차이
1.4.1. 개인 대상...
...
참고 자료
여기스터디"사회복지행정론"강의교안 p44-56
이영분.(2010). 사회복지실천론.
J. C. Kidneigh(1950), “Social Work Administration”, Social Work Journal, 31: 50.
A. Dunhan(1970), The New Community Organizations, Thomas Y, Crowell&Co, p.42.
신상준(1996), 『복지행정학』, 한국복지행정연구소, 69
성규택(1993), 『사회복지행정론』, 법문사, 1
양난주, (신)사회복지행정론 개발을 위한 라운드테이블, 대구대학교, 2017.10., 121-125
권희경.(2022). 2022년 특수교육 통계로 살펴본 장애학생 진학 및 진로 현황. 한국교육개발연구원.
김정현.(2023).“장애학생 73% 일반학교서 '통합교육'…7만명 넘었다”. 뉴시스. https://mobile.newsis.com/view.html?ar_id=NISX20230419_0002273334#_PA
여기스터디"장애인복지론"강의교안. 126-136
한국보건사회연구원.(2021). 2020년 장애인 실태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