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문학과신화"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외국 신화 소개 및 의미 탐색
1.1. 중국의 반고 신화
1.1.1. 신화 내용 소개
1.1.2. 반고 신화의 의미 탐색
1.2. 일본의 이자나기와 이자나미 신화
1.2.1. 신화 내용 소개
1.2.2. 이자나기와 이자나미 신화의 의미 탐색
2. 오디세우스의 여로 조사
2.1. 트로이 전쟁의 시작과 끝
2.2. 고향으로 돌아가는 여정
3. 한국의 고대 건국 신화 비교
3.1. 고조선의 단군신화
3.2. 고구려의 주몽 신화
3.3. 신라의 박혁거세 신화
3.4. 가야의 김수로 신화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외국 신화 소개 및 의미 탐색
1.1. 중국의 반고 신화
1.1.1. 신화 내용 소개
천지가 아직 열리지 않은 먼 옛날, 혼돈과 어둠만이 가득한 거대한 알의 형태를 띤 우주 안에서 반고라는 거인이 잠자면서 성장하고 있었다. 18,000년이 지난 어느 날 반고는 드디어 잠에서 깨어났고 거대한 팔을 휘둘러 혼돈과 암흑을 갈라놓자 가볍고 맑은 것은 떠올라 푸른 하늘이 되고, 무겁고 탁한 것은 가라앉아 땅이 되었다. 반고는 이 둘이 다시 섞이지 않도록 하늘과 땅 사이에 버티고 선 채 18,000년을 버텼고, 반고의 키가 매일 1장(丈)씩 커지면서 하늘과 땅은 점점 멀어지게 된다. 그렇게 하늘과 땅이 견고하게 완성되자 반고는 죽음을 맞게 되고 반고가 죽은 후 그의 몸은 흩어져 천지만물을 이루게 된다.
1.1.2. 반고 신화의 의미 탐색
반고 신화의 의미 탐색은 다음과 같다.
먼저 '천지창조 이전의 우주를 혼돈과 어둠으로 표현한 것'은 일반 대중의 보편적 인식을 수용한 당연한 묘사로 보인다. 이는 중국뿐만 아니라 한국을 비롯한 다른 문화권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나는데, 이는 태초의 세계가 갖는 특성을 표현한 것으로 이해된다. 만약 반고 이전에 정형화된 체계가 존재했다면 반고의 역할은 축소될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따라서 혼돈으로 가득한 시대적 배경은 반고의 역할과 의무를 정당화시키기 위한 필수불가결한 조건이라고 볼 수 있다.
다음으로 신화의 주인공인 반고에 대해 살펴보면, 반고는 혼돈 속에서 18,000년을 성장하게 된다. 반고가 창조주라는 설명은 어디에도 없다. 어쩌면 반고라는 존재 자체도 어떤 조물주의 의도에 의해 능력을 발휘할 때까지 양육된 것은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하게 한다. 혼돈의 시간과 공간에서 반고를 양육하기 위해 '우주가 거대한 알의 형태를 하고 있었다'는 설정도 주목할 만하다.
한편 18,000년이라는 숫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왜 18,000년인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된다. 반고가 세상에 나오기까지도 18,000년을 기다려야 했고, 하늘과 땅을 완전하게 분리시키기 위해서도 18,000년 동안 세상을 떠받치고 있어야 했다는 점에서 18,000년이 무엇인가 의미를 내포하고 있을 것이라 짐작된다. 한국인의 의식 속에 3이라는 숫자가 잠재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는 것처럼 반고신화에 나오는 18,000도 단순한 수에 그치지는 않을 것이다. 다만 이에 대한 정확한 답을 찾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마지막으로 반고가 죽은 뒤에 그의 신체가 세상 만물로 변화하는 부분에 대해 살펴보면, 이를 화생(化生)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화생은 단순히 죽은 것에 그치지 않고 각 신체의 부분들이 새로운 무엇인가로 재탄생(Re-birth)했다는 의미로 이해된다. 그리고 재탄생된 세상 만물이 반고라는 동일한 존재에서 출발했다는 것은, 천지만물이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는 생각을 투영한 것일 수도 있겠다.
1.2. 일본의 이자나기와 이자나미 신화
1.2.1. 신화 내용 소개
천지가 아직 열리지 않은 먼 옛날, 혼돈과 어둠만이 가득한 거대한 알의 형태를 띤 우주 안에서 반고라는 거인이 잠자면서 성장하고 있었다. 18,000년이 지난 어느 날 반고는 드디어 잠에서 깨어났고 거대한 팔을 휘둘러 혼돈과 암흑을 갈라놓자 가볍고 맑은 것은 떠올라 푸른 하늘이 되고, 무겁고 탁한 것은 가라앉아 땅이 되었다. 반고는 이 둘이 다시 섞이지 않도록 하늘과 땅 사이에 버티고 선 채 18,000년을 버텼고, 반고의 키가 매일 1장(丈)씩 커지면서 하늘과 땅은 점점 멀어지게 된다. 그렇게 하늘과 땅이 견고하게 완성되자 반고는 죽음을 맞게 되고 반고가 죽은 후 그의 몸은 흩어져 천지만물을 이루게 된다.
1.2.2. 이자나기와 이자나미 신화의 의미 탐색
참고서적에서는 자세히 언급되지 않고 있었는데, 다른 논문에서는 참고서적의 내용보다 자세한 묘사가 포함되어 있었다. 해당 논문에서는 태초의 우주를 혼돈의 바다로 표현하고 있었으며, 이자나기와 이자나미를 남매 신으로 설명하고 있다. 이는 곧 일본의 창세신화를 분석해 볼 수 ...
참고 자료
요시다 아츠히코 외 지음. 김수진 옮김, 『우리가 알아야 할 세계 신화 101』, 서울: 이손, 2003
鍾亮, “신화를 활용한 한국어 문화교육 방안 연구”, 건국대학교 석사논문, 2009.
백현일, “한․중․일 신화에 나타난 문화적 특성 비교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석사논문, 2008.
서해밀, “창세신화를 활용한 다문화 문식성 신장 방안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석사논문, 2015.
김인곤, “한국 창세신화와 중국 소수민족 창세신화의 비교 연구”, 원광대학교 석사논문, 2007.
서대식 박종성, 『구비문학의 세계』,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2017.
한재용, 「한국의 고대건국신화 연구」, 서울대구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