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폐렴 CASE 필요성"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2. 문헌고찰
1.2.1. 폐렴의 정의
1.2.2. 폐렴의 원인
1.2.3. 폐렴의 병태생리
1.2.4. 폐렴의 증상 및 징후
1.2.5. 폐렴의 진단적 검사
1.3. 폐렴의 치료
1.4. 폐렴의 간호 및 예방
2. 간호사정
2.1. 개인력
2.2. 건강력
2.3. 진단검사
2.3.1. 혈액학 결과
2.3.2. 생화학 결과
2.3.3. 미생물 배양 검사
2.3.4. 소변검사
2.3.5. 영상의학 검사
3. 내과적 치료
3.1. 약물 치료
4. 간호문제 및 간호과정
4.1. 간호문제
4.2. 간호과정
4.2.1. 질환과 관련된 고체온
4.2.2. 분비물축적과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
4.2.3. 기타 간호문제
5. 퇴원 교육
5.1. 흉부물리요법
5.2. 수분공급
5.3. 호흡곤란 완화
5.4. 영양
5.5. 감염 방지
5.6. 폐렴 재발 위험 감소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폐렴은 폐실질에 급성 염증이 발생된 것으로 항생제의 발달로 치료가 가능해졌음에도 폐렴으로 인한 사망률은 면역력이 약한 대상자에게는 여전히 높아서 감염질환의 주요한 사망 원인이 되고 있다"" 폐렴은 어느 연령층에서나 호발 가능하나 특히, 노인과 어린이에게서 가장 많이 발생한다"" 실제 소아과 병동 실습을 나가서 관찰해본 결과 호흡기 환자들 중에서도 폐렴이 매우 흔하고 많이 보이는 질병이었다"" 이에 따라 폐렴 환자의 빠른 회복을 도모하기 위해 수준 높은 지식을 갖춰 적절한 간호를 수행하고 싶어 아동 폐렴을 본 연구로 선정하고자 한다""
1.2. 문헌고찰
1.2.1. 폐렴의 정의
폐렴은 각종 병원미생물이 허파실질 내로 침입하여 발생하는 허파의 염증성 질환이며, 지역감염과 의료관련감염을 포함해서 가장 중요한 호흡기 감염병이다. 건강한 사람에게 발생하는 지역사회폐렴과 만성 호흡기 질환자나 면역기능이 떨어졌을 때 발생하기 쉬운 병원 내 폐렴으로 나뉜다. 폐렴에 의한 사망예의 90% 이상이 65세 이상 노인이고, 나머지 대부분은 영유아이다.
1.2.2. 폐렴의 원인
폐렴의 원인은 다음과 같다.
폐렴의 원인이 되는 병원 미생물에는 세균, 미코플라스마, 바이러스, 진균 등이 있다. 특히 의료관련 감염에서는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구균(MRSA)에 의한 폐렴이 여전히 많이 발생한다.
폐렴의 감염경로로는 혈행성 감염, 비말감염, 흡인성 감염이 있다. 혈행성 감염은 균혈증을 통해 폐로 유입되는 것이고, 비말감염은 호흡기 분비물을 통해 전파되는 것이다. 흡인성 감염은 구강 내 상재균이나 위 내용물이 폐 내로 들어가는 것으로, 의식수준 저하, 연하반사 저하, 기침반사 저하 등으로 인해 주로 발생한다.
특수한 병태로는 수술 후 폐렴, 흡인 폐렴 등이 있는데, 이는 삼킴반사 저하, 들문조임근의 근력 저하, 면역력 저하 등이 원인이 된다.
노인의 경우 후두덮개의 기능과 기침반사의 기능이 저하되어 폐흡인으로 인한 흡인폐렴에 걸리기 쉽다.
주요 폐렴의 종류와 특징은 다음과 같다.
세균성 폐렴에는 폐렴구균성 폐렴, 포도알균성 폐렴, 클레브시엘라 폐렴 등이 있다. 폐렴구균성 폐렴은 지역사회 폐렴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며, 포도알균성 폐렴은 병원에서 주로 MRSA에 의해 발생한다. 클레브시엘라 폐렴은 40세 이상의 남성, 대주가, 흡연자에게 많이 발생한다.
비정형 폐렴에는 미코플라스마 폐렴과 바이러스성 폐렴이 있다. 미코플라스마 폐렴은 소아~성인(5~25세)에게 호발하며 심한 발열과 마른기침이 특징적이다. 바이러스성 폐렴은 백혈구 증가 없고 항균제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다.
또한 흡인 폐렴은 구강 내 상재균 중에서도 무산소성균이 중요하며, 완만한 발병과 기저질환(간질, 알코올중독, 뇌경색 등)이 있는 경우 잘 발생한다.폐렴의 원인이 되는 병원 미생물에는 세균, 미코플라스마, 바이러스, 진균 등이 있으며, 특히 의료관련 감염에서는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구균(MRSA)에 의한 폐렴이 많이 발생한다. 폐렴의 감염경로로는 혈행성 감염, 비말감염, 흡인성 감염이 있으며, 특수한 병태로는 수술 후 폐렴, 흡인 폐렴 등이 있다. 노인의 경우 후두덮개와 기침반사 기능 저하로 인해 흡인폐렴에 걸리기 쉽다. 주요 폐렴의 종류로는 세균성 폐렴과 비정형 폐렴이 있다. 세균성 폐렴에는 폐렴구균성, 포도알균성, 클레브시엘라 폐렴 등이 있고, 비정형 폐렴에는 미코플라스마 폐렴과 바이러스성 폐렴이 있다. 또한 흡인 폐렴은 구강 상재균이 중요한 원인이 된다.
1.2.3. 폐렴의 병태생리
폐렴의 병태생리는 다음과 같다.
염증은 폐 사이질 공간과 폐포, 세기관지에서 발생하는데, 폐의 방어기전이 손상되어 원인균들이 하부기도 깊숙이 침입하여 염증이 발생한다"이다.
병리소견은 4단계로 구분되는데, 발병초기(폐울혈기, 제 1~2일)에는 감염에 대한 반응으로 폐포에 부종이 있는 시기이다. 이 때 폐포 내에 세균이 있고 다형핵 백혈구가 증가하며 적혈구의 삼출 등으로 액체성 삼출물이 있으며 모세혈관은 울혈된다"이다.
적색간변기(제 2~4일)는 조기 경화시기라고도 하는데 이 시기가 되면 대엽은 건조하고 단단하며 붉은 과립양상을 볼 수 있고, 흉막 표면에 섬유소가 부착되며 모세혈관의 울혈과 폐포내 섬유소성의 삼출액과 적혈구, 다형핵 백혈구를 볼 수 있다"이다.
회색간변기(제4~8일)는 진행 경화시기라고도 하며 이 시기가 되면 대엽은 더 단단해지고 섬유소성 삼출물의 덩어리가 흉막 표면을 덮게 된다. 삼출액은 화농된다"이다.
용해기(제8~9일)가 되면 세균이 제거되며 염증 과정이 수그러지고 다형핵 백혈구 수는 줄며 조직 파괴가 없기 때문에 폐는 정상으로 회복된다"이다.
1.2.4. 폐렴의 증상 및 징후
폐렴의 증상 및 징후는 다음과 같다.
초기에는 기침, 가래, 발열 등 감기와 비슷한 증상을 보인다. 특히 노인의 경우 고열 등의 전형적인 증상이 잘 나타나지 않고 기운이 없거나 식욕부진, 의식수준 저하, 탈수 증상 등의 전신증상이 나타난다. 가래는 끈적하고 고름 같은 모양으로 나올 수 있으며, 피가 묻어나오기도 한다. 폐를 둘러싸고 있는 흉막까지 염증이 침범한 경우 호흡 시에 통증을 느낄 수 있고, 호흡기 이외에 소화기 증상(오심, 구토, 설사 등)도 발생할 수 있다. 두통, 피로감, 근육통, 관절통 등의 신체 전반에 걸친 전신 질환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반응으로 인해 대부분 열이 난다. 폐의 염증이 광범위하게 발생하여 폐의 1차 기능인 산소 교환에 심각한 장애가 발생하면 호흡부전으로 사망에 이를 수 있다.
1.2.5. 폐렴의 진단적 검사
폐렴의 진단적 검사는 폐렴을 진단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된다. 우선 청진을 통해 정상적인 폐포호흡음과 비정상적인 호흡음을 확인한다. 정상적인 폐포호흡음은 영아에서 보다 강하게 들리며, 폐렴이나 폐부종 등의 병변이 있는 경우 그 부위에서 약해진다. 기관지 호흡음은 기관지의 ...
참고 자료
『Review Book for nurse』, 최경희·이정은, 도서출판 의학교육, 2016년 8월 20일
『의학·간호 약어 해설사진』, 임상약어연구회, 대광의학, 2016년 5월 1일
『아동청소년간호학 Ⅰ』, 김희순 외 공저, 수문사, 2017년 8월 23일
『비판적 사고 기반, 간호과정의 적용』, 성미혜 외 3인, 수문사, 2015년 3월 2일
http://health.mw.go.kr 국가건강정보포털
http://www.kmle.co.kr/King's Medical Library for koreans
최영희 외 / 간호진단과 간호중재 / 현문사 / 2014
드럭인포 www.druginfo.co.kr
Review Book for nurse, 최경희·이정은, 도서출판 의학교육, 2016년 8월 20일
의학·간호 약어 해설사진, 임상약어연구회, 대광의학, 2016년 5월 1일
비판적 사고 기반, 간호과정의 적용, 성미혜 외 3인, 수문사, 2015년 3월 2일
http://health.mw.go.kr 국가건강정보포털
http://www.kmle.co.kr/King's Medical Library for koreans
최영희 외 / 간호진단과 간호중재 / 현문사 / 2014
드럭인포 www.druginfo.co.kr
조경숙 외 9명(2014) 성인간호학 상권 현문사 (본문)
사진 출처 : 강동경희대병원
출처
사진1. https://blog.naver.com/clala92/80208917275
사진2. http://blog.kaggle.com/page/37/
Review Book for nurse』, 최경희·이정은, 도서출판 의학교육, 2016년 8월 20일
의학·간호 약어 해설사진』, 임상약어연구회, 대광의학, 2016년 5월 1일
아동청소년간호학 Ⅰ』, 김희순 외 공저, 수문사, 2017년 8월 23일
비판적 사고 기반, 간호과정의 적용』, 성미혜 외 3인, 수문사, 2015년 3월 2일
http://www.kmle.co.kr/King's Medical Library for koreans
최영희 외 / 간호진단과 간호중재 / 현문사 / 2014
드럭인포 www.druginf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