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교육과정의 개요
1.1. 교육과정의 정의
교육과정은 '학생이 교육기관에서 경험할 모든 교육적 내용의 총체'이다."라고 정의할 수 있다. 명확히 조직화 된 내용을 '표면적 교육과정'이라고 하고, 그 외의 것을 '잠재적 교육과정'이라고 분류하기도 한다. 교육과정은 교육의 내용이고, 교육 목적에 맞게 알맞게 선택된 것이며, 교육의 방법적 원리가 적용되도록 조직된 것이다. 타일러와 타바(Tyler & Taba)는 '교육과정이란 바람직한 목적 혹은 목표를 성취하기 위한 전략을 포함하는 활동계획 또는 문서'라고 정의했다. 프랫(David Pratt)은 '교육과정이란 교육의 의도를 조직화해 놓은 것'이라고 정의했다. 이들과는 달리 교육과정은 포괄적으로 학습자의 '경험'을 다루는 것으로 정의되는데 이것은 듀이의 견해에 기초를 두고 있다.
1.2. 교육과정의 개념
교육과정의 개념은 라틴어 "curere"에서 유래했는데, 이는 달리는 코스, 트랙, 가르쳐야 할 교수요목을 의미한다. 교육과정은 교육의 내용이고, 교육 목적에 맞게 알맞게 선택된 것이며, 교육의 방법적 원리가 적용되도록 조직된 것이다. 타일러와 타바는 "교육과정이란 바람직한 목적 혹은 목표를 성취하기 위한 전략을 포함하는 활동계획 또는 문서"라고 정의했다. 프랫은 "교육과정이란 교육의 의도를 조직화해 놓은 것"이라고 정의했다. 이와는 달리, 교육과정은 포괄적으로 학습자의 '경험'을 다루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는데, 이는 듀이의 견해에 기초를 두고 있다. 또한 아이스너와 발렌스는 교육에서 추구해야 할 다양한 목적을 기준으로 교육과정을 다섯 가지 입장으로 분류하였다. 이와 같이 교육과정의 개념은 학자에 따라 다양하게 정의되고 있다.
2. 교육과정의 유형
2.1. 교과 및 학문중심 교육과정
2.1.1. 정신도야이론
정신도야이론은 어떤 교과를 가르쳐야 하는지, 그리고 그것을 왜 가르쳐야 하는지에 대해서 설명하는 이론이다. 19세기에 산업사회로 넘어가면서 전통적인 교과 대신 실용적인 종류의 교육을 가르쳐야 한다는 주장에 맞서서, 전통적인 입장의 교육자들이 교과의 정신도야 기능을 주장하면서 전통적인 교과의 중요성을 옹호했다.
독일 심리학자 볼프(C. Wolff)에 근거하면 인간의 정신은 지각, 기억, 상상, 의지, 추리 등으로 상호 구분되는 능력이 있는데 이것을 도야하는데 교과가 중요한 기능을 한다고 한다. 예를 들어, 전통적인 교육에서 고전을 암송하는 것은 기억하는 훈련을 함으로써 다른 부분의 정신을 개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확대해서 보면 특정 교과가 특정 정신능력을 도야시키는 힘을 가지고 있다고 본다.
정신도야이론이 현대로 오면서 설득력이 약화되고 있는 것은 사실이나 교과의 정신도야기능을 무시할 수는 없다. 실용적이고 새로운 학문만 살아남고 있는 것이 아니라, 고전과 클래식 음악 등과 같은 전통적인 분야도 아직 살아남아 있는데, 이것은 고전이나 클래식이 유용해서라기보다는 정신 능력을 길러주기 때문이다.
2.1.2. 교과의 구조론
2.1.2.1.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
브루너는 학생들에게 교과의 구조(지식의 구조)를 가르쳐야 한다고 주장했다. 구조를 학습한다는 것은 사물이나 현상의 관련성을 학습하는 것이다. 즉 어떤 법칙의 이름을 아는 것이 아니라 그 법칙을 사용하는 방법을 습득하는 것이다. 아이가 한 문장을 알고 나면, 그 문장의 규칙을 파악하고, 그 규칙을 활용해서 다양한 형태의 새로운 문장을 말할 수 있게 된다. 브루너는 교과의 구조가 다음의 네 가지 이점을 가지고 있으므로 반드시 가르쳐야 한다고 주장했다. 교과 구조를 학습한 사람은 학습한 내용을 쉽게 이해할 수 있고, 오래 기억할 수 있으며, 학습 이후의 상황에 적용할 수 있고, 고등지식과 초보지식 사이의 차이를 좁힐 수 있기 때문이다.
2.1.2.2. 어떻게 조직할 것인가?
브루너는 교과를 나선형으로 조직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나선형은 소용돌이 모양의 곡선을 말한다. 나선형 교육과정은 핵심적인 아이디어를 계속성과 계열성의 원리에 따라 조직하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계속성을 한 가지 교육 내용이 학년이 올라가도 반복적으로 다루어지는 것을 말하고, 계열성은 그 반복적인 내용들이 광범위하고 심화되어서 다루어지는 것을 말한다. 타일러는 교육 내용을 심화, 반복해야 한다고 주장했고, 브루너는 핵심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