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세포분열과 염색체 구조
1.1. 세포주기와 세포분열 과정
진핵생물의 세포주기와 세포분열 과정은 다음과 같다. 세포주기는 크게 간기와 분열기로 나뉘며, 간기에는 세포가 성장하고 핵분열과 DNA 복제에 필요한 영양분을 축적하는 시기이다. 간기는 다시 G1기, S기, G2기로 구분된다. 분열기에는 유전물질의 형태적 차이와 분열장치에 의한 움직임에 따라 전기, 전중기, 중기, 후기, 말기로 세분된다.
전기에는 염색질섬유가 단단하게 꼬이고 접혀 염색체로 전환되며, 중심체로부터 미세소관이 빠르게 자라나와 방추사가 형성된다. 전중기에는 핵막이 조각나 사라지고 중심체에서 나온 방추사가 염색체의 방추사부착점에 도달하여 염색체를 동요시킨다. 중기에는 방추사가 완전히 형성되고 염색체가 적도판에 모인다. 후기에는 각 염색체의 두 동원체가 갈라져 자매염색분체들을 서로 분리시킨다. 말기에는 염색체 주위에 핵막이 형성되면서 세포의 양극에 딸핵이 나타난다. 세포질분열은 대개 말기에 일어나 체세포분열을 완성한다. 동물세포와 식물세포는 세포질분열 방식이 다르다.
1.2. 동물세포와 식물세포의 분열 과정 비교
동물세포와 식물세포의 분열 과정은 다음과 같이 비교할 수 있다.
동물세포의 경우, 세포질 분열은 중기에 일어난다. 중기에 달성된 염색체 배열 후 후기가 되면 염색체가 분리되어 양극으로 이동하고, 세포질 분열이 일어난다. 세포질 분열은 분할구가 나타나며, 분할구 부분의 세포질에는 수축할 수 있는 고리모양의 미세섬유가 있다. 이 고리모양의 미세섬유가 점점 수축하면서 분할구가 깊어지면서 세포가 둘로 나뉘게 된다.
반면 식물세포의 경우, 세포질 분열은 말기에 일어난다. 중기에 도달한 염색체들이 후기에 분리되어 양극으로 이동한 후, 말기에 세포판이 형성되면서 세포질 분열이 일어난다. 세포판은 세포벽의 구성성분이 들어있는 막성 소포들이 중앙에 모여 서로 융합하여 형성된다. 이후 더 많은 소포들이 융합하면서 모세포의 세포벽과 합해져 두 개의 세포로 분리된다.
즉, 동물세포는 중기에 고리모양의 미세섬유가 수축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