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의료기기 관리
1.1. 의료기기 점검
1.1.1. 예방점검
예방점검은 의료기기 또는 의료기기로 인한 문제가 발생하기 이전에 예방적으로 의료기기의 정상적 작동 등을 점검하는 일련의 활동을 말한다"이다.
의료기기는 고위험, 저위험 의료기기, 일반 의료기기로 구분하여 관리하며, 고위험 의료기기의 예방점검은 관리과(의공학실)에서 주관한다. 고위험 의료기기의 예방점검은 연 1회 이상 시행하되 대상 의료기기의 용도, 특성 및 사용 상황을 고려하여 조정할 수 있다. 예방점검 시행 유무 및 현장 식별을 위해 정상작동 확인라벨을 부착하며, 예방점검 완료 후 시행부서, 시행일, 시행자, 다음 예방점검 일자를 정상작동 확인라벨에 기록하여 의료기기의 잘 보이는 곳에 부착한다. 부착이 불가능하거나 수술실 내에 사용되는 기기는 의료기기 점검표로 대신할 수 있다"이다.
1.1.2. 일상점검
일상점검은 사용부서에서 실시하고 의료기기 점검표를 작성한다. 사용중 이상 발생 시 의공학실에 의뢰한다. 일상점검 내용은 전원상태(전원 on/off, 배터리 충전 상태), 외관상태(외관파손 상태 및 청결 상태), 작동상태(조작 버튼 및 정상작동 상태), 악세사리상태(부속품 보유 및 케이블 상태)를 확인하는 것이다. 일상점검을 통해 의료기기의 정상 작동 여부를 확인하고 경미한 문제를 사전에 발견하여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의공학실에 의뢰하여 문제가 있는 의료기기를 신속히 수리하거나 교체함으로써 환자 치료에 차질이 없도록 할 수 있다.
1.1.3. 예방점검 절차
예방점검 절차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방점검 확인필증 발급이다. 연 1회 이상 시행하되 대상 의료기기의 용도, 특성 및 사용 상황을 고려하여 조정할 수 있다. 예방점검 시행 유무 및 현장 식별을 위해 정상작동 확인라벨을 부착한다. 예방점검 완료 후 시행부서, 시행일, 시행자, 다음 예방점검 일자를 정상작동 확인라벨에 기록하여 의료기기의 잘 보이는 곳에 부착한다. 부착이 불가능하거나 수술실 내에 사용되는 기기는 의료기기 점검표로 대신할 수 있다.
둘째, 일상점검이다. 사용부서에서 실시하고 의료기기 점검표를 작성한다.
셋째, 외주업체의 기술적 지원이 필요한 경우나 외부로 반출하여 예방점검을 할 경우는 의공학실에서 관리한다.
넷째, 유지보수용역(PM)계약 의료기기는 유지보수용역 계약업체가 관리하며 의공학실에서 확인한다.
다섯째, 무상임차 의료기기는 납품업체가 관리하며 의공학실에서 확인한다.
1.2. 고위험 의료기기 안전관리 지침
1.2.1. Patient Monitor
환자감시장치(Patient Monitor)는 환자의 각종 생체정보를 감시하는 기구로서 각종 감지기를 환자의 정확한 부위에 부착하거나 삽입하여 각 기능에서 감지된 신호를 증폭부를 거쳐 완충증폭 후 아날로그/디지털로 전환하는 장비이다. 이를 통해 심박수(Heart Rat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