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의료기기 관리
1.1. 의료기기 점검
1.1.1. 예방점검
의료기기 예방점검은 의료기기 또는 의료기기로 인한 문제가 발생하기 이전에 예방적으로 의료기기의 정상적 작동 등을 점검하는 일련의 활동을 말한다. 의료기기 예방점검은 고위험 의료기기와 저위험 의료기기로 구분하여 관리한다.
고위험 의료기기는 환자의 생명유지에 직접적으로 연관된 의료기기로 사용부서에서 자체 예방점검이 불가능하여 의료기기 안전관리자(의공학실) 및 납품업체 기술적 지원을 요한다. 고위험 의료기기의 예방점검은 년 1회 이상 시행한다. 예방점검 시행 후 정상작동 확인라벨을 부착하여 의료기기의 잘 보이는 곳에 부착한다. 부착이 불가능하거나 수술실 내에 사용되는 기기는 의료기기 점검표로 대신할 수 있다.
저위험 의료기기는 환자의 생명유지와 직접적인 연관은 없지만 환자 치료에 필수적인 의료기기로 사용부서에서 직접 예방점검을 수행한다. 저위험 의료기기의 예방점검은 년 1회 이상 시행한다. 예방점검 시행 후에도 정상작동 확인라벨을 부착하여 의료기기의 잘 보이는 곳에 부착한다.
일반 의료기기는 사용 중 이상 발생 시 의공학실에 의뢰한다. 외주업체의 기술적 지원이 필요한 경우나 외부로 반출하여 예방점검을 할 경우는 의공학실에서 관리한다. 유지보수용역(PM) 계약 의료기기는 유지보수용역 계약업체가 관리하며 의공학실에서 확인한다. 무상임차 의료기기는 납품업체가 관리하며 의공학실에서 확인한다.
고위험 의료기기의 예방점검은 의료기기 안전관리자(의공학실)와 납품업체 기술진이 함께 시행한다. 예방점검 내용은 전원상태, 외관상태, 작동상태, 부속품 상태 등을 확인하며, 점검 완료 후 정상작동 확인라벨을 부착한다.
저위험 의료기기의 예방점검은 사용부서에서 자체적으로 시행하며, 의료기기 점검표를 작성하여 관리한다. 점검 내용 역시 전원상태, 외관상태, 작동상태, 부속품 상태 등을 확인한다.
이처럼 의료기기 예방점검은 의료기기 안전관리를 위한 필수적인 활동으로, 고위험 의료기기와 저위험 의료기기를 구분하여 관리하고 있다. 이를 통해 의료기기 오작동 및 고장을 사전에 예방하고 있다.
1.1.2. 일상점검
일상점검은 사용부서에서 실시하고 의료기기 점검표를 작성한다. 매일 전원상태(전원 on/off, 배터리 충전 상태), 외관상태(외관파손 상태 및 청결 상태), 작동상태(조작 버튼 및 정상작동 상태), 악세사리상태(부속품 보유 및 케이블 상태) 등을 점검한다. 그리고 의료기기 이상 발생 시 기기 사용중단 후 표시부의 내용을 확인하고 의료기기 안전관리 담당자에게 연락한다.""
1.2. 고위험 의료기기 안전관리 지침
1.2.1. Patient Monitor
Patient Monitor는 환자의 각종 생체정보를 실시간으로 감시하는 필수적인 의료장비이다. 환자의 심박수(Heart Rate), 혈중 산소 농도(SpO2), 맥박수(Pulse Rate), 혈압(NIBP), 체온(Temp) 등을 측정하여 화면에 표시하고, 설정 값을 벗어날 경우 알람을 울려 환자의 이상 상태를 신속히 알려준다. 이를 통해 의사나 간호사가 환자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평가하여 즉각적인 치료를 할 수 있게 한다.
Patient Monitor는 EKG lead, 혈중산소농도 센서, 체온 측정 센서, 비관혈적 혈압 커프 등의 측정 센서를 환자에게 부착하여 생체 정보를 수집한다. 전원을 켜고 각 센서를 환자에게 연결하면 화면에 해당 정보가 실시간으로 표시된다. 또한 알람 설정 기능을 통해 각 생체 정보의 상한값과 하한값을 지정할 수 있어, 환자의 상태가 위험한 수준에 도달하면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다.
사용 시 주의사항으로는 첫째, 전기적 위험을 피하기 위해 장비를 청결히 하고 물기를 완전히 제거해야 한다. 둘째, EKG 소음이 발생할 경우 케이블을 확인하거나 전원 장치를 점검해야 한다. 셋째, NIBP 사용 시 환자의 연령에 맞는 모드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