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의료기기 관리
1.1. 의료기기 예방점검 및 유지관리
의료기기 예방점검 및 유지관리는 의료기기 또는 의료기기로 인한 문제가 발생하기 이전에 예방적으로 의료기기의 정상적 작동 등을 점검하는 일련의 활동이다. 의료기기는 고위험, 저위험 의료기기, 일반 의료기기로 구분되어 관리된다.
고위험 의료기기는 환자의 생명유지에 직접적으로 연관된 의료기기로 사용부서에서의 자체 예방점검이 불가능하여 예방점검 시 의료기기 안전관리자(의공학실) 및 납품업체 기술적지원을 요하는 의료기기를 말한다. 고위험 의료기기는 연 1회 이상 예방점검이 시행되며, 예방점검 후 시행부서, 시행일, 시행자, 다음 예방점검 일자를 정상작동 확인라벨에 기록하여 의료기기의 잘 보이는 곳에 부착한다. 부착이 불가능하거나 수술실 내에 사용되는 기기는 의료기기 점검표로 대신할 수 있다.
저위험 의료기기는 연 1회 이상 예방점검이 시행되며, 의료기기 예방점검 시행 유무 및 현장 식별을 위해 정상작동 확인라벨을 부착한다. 일반 의료기기는 사용 중 이상 발생 시 의공학실에 의뢰한다. 외주업체의 기술적 지원이 필요한 경우나 외부로 반출하여 예방점검을 할 경우는 의공학실에서 관리한다. 유지보수용역(PM)계약 의료기기는 유지보수용역 계약업체가 관리하며 의공학실에서 확인한다. 무상임차 의료기기는 납품업체가 관리하며 의공학실에서 확인한다.
의료기기 예방점검은 고위험 의료기기는 연 1회 이상, 일상점검은 매일 시행한다. 점검자는 사용부서의 사용자 및 부서장이며, 점검내용은 전원상태, 외관상태, 작동상태, 악세사리상태 등이다.
의료기기 고장 시, 사용을 즉시 중단하고 사용가능한 대체기기로 운영한다. 의공학실로 연락 후 고장기기를 수리의뢰하며, 응급상황 시 의공학실 담당자 및 관련업체에서 현장을 방문하여 점검 및 수리를 한다.
의료기기 안전관리를 위해서는 평평한 곳에 위치, 가연성/인화성 물질 확인, 외관 및 부속품 점검, 접지된 전원 사용, 전선 취급 주의, 지시음 조절, 전기 충격 주의, 액체 접촉 방지, 본체 위에 물건 올려놓지 않기, 자가 시험 확인, 누설전류 점검, 일회용품 폐기, 배터리 확인, 이상 발생 시 사용 중단 및 담당자 연락, 청소 및 건조 관리 등의 수칙을 준수해야 한다.
1.2. 고위험 의료기기 안전관리
1.2.1. Patient Monitor
환자감시장치(Patient Monitor)는 환자의 각종 생체정보를 감시하는 기구로서 각종 감지기를 환자의 정확한 부위에 부착하거나 삽입하여 각 기능에서 감지된 신호를 증폭부를 거쳐 완충증폭 후 아날로그/디지털로 전환하는 장비이다. 주요 기능으로는 심박수(Heart Rate), 혈중 산소 농도(SpO2), 맥박수(Pulse Rate), 혈압(NIBP), 체온(Temp) 등을 실시간으로 제공함으로써 의사나 간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