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터 종류

  • 1
  • 2
  • 3
  • 4
  • 5
  • 6
  • 7
  • 8
  • 9
>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카테터 종류"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혈관 카테터 종류
1.1. 말초정맥 카테터 (Intravenous catheter)
1.2. 말초동맥 카테터 (A-line)
1.3. 미드라인 카테터 (Midline catheter)
1.4. 말초 중심정맥 카테터 (PICC, peripherally inserted central catheter)
1.5. 비터널형 중심정맥 카테터 (Nontunnuled catheter, C-line)
1.6. 터널형 중심정맥 카테터(Tunnuled infusion catheter)
1.7. 중심동맥 카테터(폐동맥카테터, pulmonary artery cather)
1.8. 혈관 내 압력 감시 장치
1.9. 피하 포트

2. 중심정맥관 PICC (Peripherally inserted central catheter)
2.1. 중심정맥관이란?
2.2. 목적
2.3. 중심정맥 카테터 종류 및 방법
2.3.1. 비터널 카테터 (non-tunneled catheter)
2.3.2. PICC 카테터 (peripherally inserted central cath)
2.3.3. 터널 카테터 (tunneled cath)
2.3.4. 이식 port (chemo port)
2.4. 중심정맥관 관리 일반적 원칙
2.5. 합병증
2.6. 중심정맥관 폐색 예방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혈관 카테터 종류
1.1. 말초정맥 카테터 (Intravenous catheter)

말초정맥 카테터는 일반적으로 손, 상박 등에 삽입하며 최대 4일까지 유지가능하다. 정맥주사에 흔히 사용되며, 수혈, 수액/약물 주입, 조영제 주입을 위해 사용된다. 혈류감염을 잘 일으키지는 않으나 장기간 사용 시 정맥염이 나타날 수 있다. 카테터의 gage 숫자가 작을수록 바늘크기가 굵고 길어진다. 18G 카테터는 수술전 환자, 수혈 환자, CT, MRI 환자에게 적용되며 응급실에서 주로 사용된다. 24G 카테터는 가장 얇고 짧아서 단순 약물, 수액 투여 환자에게 적용되며 병동에서 주로 사용된다.


1.2. 말초동맥 카테터 (A-line)

말초동맥 카테터 (A-line)은 중환자의 혈관 내 압력 측정을 위해 사용되는 카테터이다. 주로 대퇴, 요골, 상완동맥에 삽입하며 정맥 카테터와 유사한 폴리우레탄 또는 테프론 재질로 제작된다.
중심정맥 카테터에 비해 감염 위험이 낮고 단기간 사용이 가능하다. 삽입 시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으로는 정맥염, 출혈, 기흉, 혈흉, 공기색전, 부정맥, 신경손상 등이 있다.

삽입 후에는 카테터 삽입 부위의 감염 여부를 주기적으로 관찰해야 하며, 정맥관 폐색을 예방하기 위해 적절한 관류와 잠금 절차를 따라야 한다. 관류 시에는 박동성 관류 기법을 사용하여 혈액과 섬유소를 씻어내고, 사용하지 않을 때는 양압을 유지하며 클램프로 잠그는 것이 중요하다.


1.3. 미드라인 카테터 (Midline catheter)

미드라인 카테터(Midline catheter)는 전완의 요측피정맥(cephalic vein) 또는 척측피정맥(basilic vein)에 삽입되어 카테터 끝이 액와정맥(axillary vein) 아래에 위치하는 중심정맥관이다. 중심정맥관과 말초정맥관의 중간단계로 볼 수 있으며, 단기간(7일~1개월) 동안 약물 주입과 채혈 등의 용도로 사용된다. 말초정맥관보다는 길게, PICC보다는 짧게 사용할 수 있다.

미드라인 카테터는 PICC나 중심정맥관보다 감염률이 낮고 안전하기 때문에 이들의 대용으로 많이 쓰이고 있다. 환자의 정맥 상태가 좋지 않아 말초정맥관 확보가 어려운 경우나, 중심정맥관 삽입이 필요하지만 위험성이 높은 경우 등에 주로 사용된다.

미드라인 카테터는 중심정맥관에 비해 총정맥영양(TPN)과 같은 고농도 약물 주입이 금지되는데, 이는 카테터 끝이 액와정맥 아래에 위치하여 고농도 수액이나 약물 주입 시 조직 손상의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주로 단기간의 수액 및 약물 주입, 채혈 등의 목적으로 사용된다.

미드라인 카테터는 중심정맥관에 비해 감염 위험이 낮고 안전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카테터 팁이 상대정맥까지 도달하지 않기 때문에 중심정맥압 측정이나 중심정맥 영양 공급 등의 용도로는 사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의료진은 환자의 상태와 치료 목적을 고려하여 적절한 정맥 접근로를 선택해야 한다.


1.4. 말초 중심정맥 카테터 (PICC, peripherally inserted central catheter)

말초 중심정맥 카테터(PICC, peripherally inserted central catheter)는 팔의 척측피정맥(basilic vein) 또는 요측피정맥(cephalic vein)을 통해 카테터를 삽입하여 상대정맥과 우심방의 연결부위까지 도달하는 중심정맥관이다.

PICC는 다른 중심정맥 카테터에 비해 안전하고 감염률이 낮아 10~73일까지 사용이 가능하다. 혈액 채취, 약물 주입과 중심정맥 영양 주입, 중심정맥압 측정에 사용된다.

PICC 삽입 부위는 전완부로 기흉, 혈흉 등의 합병증이 적어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다. 삽입 시 특히 주의해야 할 점은 PICC가 ...


참고 자료

중심정맥카테터의 삽입과 관리. HANYANG MEDICAL REVIEWS Vol. 31 No. 1, 2011. 배재익
about the pulmonary Artery Catheter. 2023. London Health Sciences Centre.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