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지역사회 보건간호사업
1.1. 통합건강증진사업
통합건강증진사업은 지역적 특성을 반영하고 지역주민 요구에 맞는 사업을 보건소에서 자체적으로 기획하여 건강생활실천, 만성질환예방, 취약계층 건강관리 등을 통합 추진하는 사업이다. 이 사업의 목적은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맞춤형 보건사업을 실시하여 지역 주민의 건강수준 향상과 건강격차를 감소하기 위함이다.
시 지역의 사례를 살펴보면, 지역사회의 건강현황을 공신력 있는 자료를 통해 분석하여 2018년 핵심성과지표로 성인남성 흡연율, 고위험 음주율, 걷기 실천율을 선정하여 중점적으로 사업을 추진한 결과 모든 지표에서 우수한 성과를 나타내었다. 구체적인 사업 내용으로는 흡연예방 및 금연클리닉 사업, 비대면 걷기운동 활성화를 위한 '워크온' 앱 활용, 음주폐해예방 및 절주사업 등이 있었다.
이처럼 통합건강증진사업은 지역주민의 건강 증진과 격차 감소를 위해 지역 특성과 주민 요구에 맞는 다양한 사업을 포괄적으로 제공하는 것이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보건소에서는 지역사회 건강실태 분석을 토대로 주요 건강문제를 선정하고, 이에 대한 맞춤형 사업을 계획하고 운영함으로써 지역주민의 건강수준 향상에 기여하고 있다.
1.2. 방문간호사업
방문간호사업은 보건의료 전문 인력이 지역주민의 가정 또는 시설을 방문하여 건강문제를 가진 가구 및 가구원을 발견하고 건강증진, 만성질환 등 질병 예방 및 관리를 위한 적합한 보건의료서비스를 직접 제공하거나 의뢰 또는 연계함으로써 가족과 지역주민의 자가 건강관리 능력을 개선하여 건강수준을 향상시키는 포괄적인 사업이다. 방문간호사업의 목적은 건강정보 및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지역사회 지원연계를 통해 취약계층의 건강인식 제고, 자가건강관리능력 향상, 건강상태 유지 및 개선을 도모하는 것이다.
방문간호사업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건강행태 개선을 위한 사업으로 흡연예방 및 금연클리닉 안내, 영양사업, 적정체중관리사업, 음주폐해 예방 및 절주사업 등을 실시한다. 둘째, 만성질환 관리 및 합병증 예방을 위해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사업, 환자 조기발견을 위한 캠페인, 고혈압·당뇨병·이상지질혈증 환자 등록관리사업, 당뇨·고혈압 합병증 예방을 위한 무료 안저검사, 지역사회 순회 보건교육 등을 제공한다. 셋째, 노인 허약 예방 관리를 위해 치매노인 등록 및 관리, 치매선별검사 및 진단검사 의뢰, 치매환자 가족교육 및 지지모임, 치매예방교육 등을 실시한다. 넷째, 임산부·신생아 및 영유아에 대한 관리로 임산부 등록 및 관리, 모유수유 지원, 신생아 난청 조기진단, 영유아 건강검진 및 정밀검사비 지원 사업 등을 제공한다. 다섯째, 다문화가족 및 북한이탈주민 관리, 장애인 재활관리 등 취약계층에 대한 지원도 이루어진다.
이처럼 방문간호사업은 다양한 대상자에 대한 맞춤형 보건의료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지역주민의 건강수준 향상과 건강격차 해소에 기여하고 있다.
1.3. 모자보건사업
모자보건사업"은 모성의 생명과 건강을 보호하고 건전한 자녀의 출산과 양육을 도모하려는 사업이다. 모자보건사업의 목적은 지역사회 건강수준을 증진시키는 것 중 하나로, 임신과 분만에 수반하는 모든 합병증의 발생위험을 줄이고, 다음 번 임신에 대한 준비를 하도록 하며, 신생아 사망률을 줄이고, 불임증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것이다.
모자보건사업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가임기 여성 생식건강 증진을 위해 난임부부 수술비 지원사업, 고위험 임산부 의료비 지원, 임산부 등록 관리 등의 사업을 추진한다. 모성 건강 지원을 위해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임산부 건강관리비 지원, 청소년 산모 의료비 지원 등의 사업을 시행한다. 사전예방적 아동 건강 지원을 위해 선천성대사이상검사 및 환아관리, 미숙아 및 선천성 이상아 의료비 지원, 영유아 건강검진 및 정밀검사비 지원, 신생아 난청 조기진단 등의 사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