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유아교육에서의 발달에 적합한 실제
1.1. 발달에 적합한 실제의 개념
발달에 적합한 실제란 유아에 대해 알고 있는 것에 기초하여 유아를 위한 프로그램을 고안하는 것으로, 유아 교육 실제에 관한 적절하고 사려 깊은 의사 결정을 하기 위해 아동 발달 지식을 적용한다.""발달에 적합한 실제는 현재 유아에 대한 이해에만 기초할 것이 아니라 유아 발달과 학습에 관한 지금까지의 축적된 많은 지식과 사실들에 근거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교육 프로그램은 무엇을 학습하는가 하는 교육 과정 내용, 어떻게 학습하는가 하는 학습 과정,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하는 교수 전략, 학습한 지식의 평가와 미래의 학습 계획을 위한 평가 방법에 대한 의사 결정의 산물이다.""발달에 적합한 실제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 의사 결정 과정에는 ①유아의 발달과 학습 과정에 대한 일반적인 지식과 연령 범주 내에서 일반적인 예견이 가능한 연령과 관련된 인간의 특성에 대해 아는 것, ②유아마다 독특한 개별적 요구에 대한 지식, ③유아가 속한 사회·문화적 맥락에 대한 지식이 필요하다.""발달에 적합한 실제를 위한 교사의 역할에는 ①각 연령 단계마다 유아를 보호하는 공동체로서 교실 환경의 창조, ②유아의 학습과 발달을 촉진하는 교사의 역할과 전략을 고려하는 교수, ③교육 내용과 전략이 모두 고려된 적절한 교육 과정의 구성, ④유아 발달과 학습 과정에 대한 평가, ⑤가족과의 상호 호혜적인 관계 확립 등 유아 교육 실제와 관련되는 5개 차원에서 발달적 적합성의 개념을 적용하는 것이다.""
1.2. 발달에 적합한 실제의 적용 방향
발달에 적합한 실제의 적용 방향은 다음과 같다.
유아의 자연스러운 발달이 교육적 기초가 되어야 하며, 연령에 따른 일반적인 발달 특성뿐만 아니라 개별 유아의 흥미와 발달 진보, 학습 양식, 요구 등을 고려한 교육과정의 계획과 실행을 강조해야 한다. 즉, 전인적 존재로서의 아동 발달의 실현이 핵심이다. 전인적 존재로서 아동을 보는 관점은 아동 중심, 경험 중심 과정, 과정 지향적인 실제를 최상의 실제로 간주한다. 이론적 기초는 사회, 정서 발달에 관한 심리 역동 이론과 인지적/발달적 상호 작용 주의, 그리고 철학적 기저로서 진보주의에 두고 있다. 이러한 접근은 전인적 존재로서의 아동, 능동적인 학습자로서의 아동, 상호작용적 학습 과정을 강조한다.
따라서 발달에 적합한 실제를 위해서는 교실 환경의 창조, 교수 전략, 교육과정 구성, 평가, 가족과의 관계 등 유아교육 실제와 관련된 전반적인 차원에서 발달적 적합성의 개념을 적용해야 한다. 즉, 유아의 발달과 학습을 촉진하는 교수학습 방법과 전략, 유아의 발달과 학습 과정에 대한 평가, 가족과의 상호 호혜적인 관계 등을 고려해야 한다."
2. 누리과정 도입과 특징
2.1. 누리과정 도입 배경
2010년 기준, 만 5세아는 약 44만 명으로 이 중 약 90%가 유치원이나 어린이집에 다니고 었으나 나머지 10%는 교육·보육의 혜택 범위에서 벗어나 있었다. 이들 중 저소득층은 경제적 부담으로 유치원이나 어린이집에 다니지 못하고, 고소득층은 영어나 특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