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호자지식부족 간호진단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상세정보

소개글

"보호자지식부족 간호진단"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문헌고찰
2.1. 신생아 간찰진 (intertrigo)
2.1.1. 간찰진의 정의
2.1.2. 발병 원인
2.1.3. 증상
2.1.4. 진단
2.1.5. 간호
2.1.6. 치료
2.1.7. 예방법

3. 연구기간 및 방법
3.1. 연구 대상 및 기간
3.2. 연구 방법

4. 간호과정
4.1. 간호사정
4.1.1. 개인력
4.1.2. 건강력
4.1.2.1. 현병력
4.1.2.2. 과거력
4.1.2.3. 가족력
4.1.3. 간호력
4.1.4. 신체검진
4.1.5. 진단을 위한 검사
4.2. 치료 및 경과
4.3. 간호과정 적용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간찰진'이란 서로 맞닿는 피부 부위가 빨갛게 부풀어 오르거나 짓무르는 것을 말하며, 해당 부위가 가렵거나 쓰라린 증상을 보인다. 이 피부질환은 살집이 많은 비만일 때 발생하기도 하지만 특히 성인에 비해 움직임이 적고, 살이 맞닿는 부위가 많은 아이들에게 잘 일 특히 잘 일어난다. 습진성인 경우 간찰성습진, 칸디다에 의한 것을 칸디다성 간찰진이라고 한다. 증상을 말로 표현할 수 없는 신생아에게 간찰진이 생긴다면 더욱 세심한 관찰이 필요하고, 습기나 오염 등으로 인한 2차감염의 위험이 크기 때문에 보호자에게 위생관리에 관한 교육도 시행해야 한다. 피부장애는 겉보기에 좋지 않으므로 신생아와 가족에게 정서적, 심리적 스트레스가 될 수 있다. 간호사는 신생아의 피부상태를 사정하여 극복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신생아와 가족에게 건강한 피부를 유지하고, 피부 문제를 예방하도록 돕는 역할도 수행해야 한다. 이처럼 신생아기에 나타날 수 있는 피부발진에 대해 체계적이고 계속적인 간호지식과 기술에 대한 연구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며, 질병의 원인 및 증상, 진단, 치료, 예방법 등을 알아보아 그에 따른 문제점을 최소화해야 할 것이다. 앞으로의 신생아 피부발진과 그것으로 인한 2차감염을 예방하고 증상을 완화시켜 정상적인 영아로 성장하고 부모와 돈독한 자녀관계를 형성하여 향후 삶의 질을 향상 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간찰진 (피부발진) case를 하게 되었다.


2. 문헌고찰
2.1. 신생아 간찰진 (intertrigo)
2.1.1. 간찰진의 정의

간찰진은 두 피부 표면이 맞닿는 부위에 피부 자극 및 파괴(침연)가 발생하는 질환이다. 유아나 비만인에게서 서로 접촉하는 피부면에 발생하는 습진성 변화이다. 염증을 일으킨 자리가 빨갛게 부풀고 스친 면이 번지기도 하지만 가장자리가 뚜렷하지 않고 균은 없는 것이 특징이다. 습진성 변화란 부풀고, 짓무르거나 가렵거나 욱신거리는 것을 말한다. 간찰성 습진은 균이 없는 경우도 있으나 대부분은 2차 감염으로 세균 또는 진균이 발견된다.


2.1.2. 발병 원인

간찰진은 마찰과 습한 환경이 결합되어 피부가 연화되고 자극이 발생하여 짓무를 때 나타난다. 신생아의 피부는 10개월 동안 양수에 쌓여있었고, 피부의 성장변화가 빠르게 일어나기 때문에 성인에 비해 각질층이 굉장히 얇아 팔다리 접히는 부위나, 목주름, 복부에 있는 주름, 서혜부 접히는 부분 등의 피부에 쉽게 짓무른다. 이런 짓무름은 신생아의 피부가 약하기 때문에 발생하며, 아토피로 예단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환부는 붉어지고, 염증이 생기거나, 가렵거나 이 증상들이 복합적으로 나타난다. 유방 아래와, 뱃살 주름 사이, 손가락이나 발가락 사이, 겨드랑이, 엉덩이 아래쪽, 서혜부등 온도와 습도가 높은 부위가 가장 영향을 많이 받는다. 일반적으로 간찰진은 비만이거나 땀을 과도하게 많이 흘리는 사람과 피부가 쓸리거나 습기가 배출되지 않는 의복을 착용하는 사람에게 발생한다.


2.1.3. 증상

간찰진의 증상은 처음에는 통증 및 가려움증이 생기게 되며 적색의 홍반이나 물집 같은 모양이 나타나기도 한다. 또한 이것들이 빨갛게 되고 표면이 약간 촉촉해지면, 염증이 심해지면서 더 불쾌한 느낌이 생긴다. 간찰성 홍반의 경우 약간의 홍반이 보이다가 염증이 심해지면 빨간 점처럼 여러군데 보이게 된다. 이는 삼출물과 같은 분비물 및 딱딱한 거북이 등껍질 같은 가피가 형성되기도 하며 염증이 발생기도 하기 때문에 관리에도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2.1.4. 진단

간찰진의 진단은 육안으로 발진의 양상을 관찰하며 필요한 경우 피부 배양 검사를 시행한다. 우선 육안으로 경계부위가 있는지, 농포가 생겼는지를 확인하여 진단한다.

보통 간찰진은 서혜부와 주름이 많이 발생하는 부위에 호발하는 경향이 있다. 간찰진을 진단하기 위해서는 우선 육안으로 발진의 양상을 관찰하여 경계부위가 있는지, 농포가 생겼는지를 확인한다. 필요에 따라 피부 배양 검사를 시행할 수 있는데, 이를 통해 간찰진의 원인이 효모 감염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피부 찰과표본을 채취하여 현미경으로 관찰하면 간찰진의 원인이 되는 효모 감염을 진단할 수 있다. 체질적인 습진은 서혜부와 주름이 많이 발생하는 부위에 호발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이러한 부위의 발진 양상을 관찰하여 간찰진을 진단할 수 있다.


2.1.5. 간호

간호력"병변부위를 건조하게 유지하고, 통풍이 잘 되도록 하며, 땀이 차는 것을 막는다. 2차감염이 동반될 경우 항생제 연고나 항진균제 연고를 바른다. 환아를 만지는 보호자의 손은 청결해야 하며, 피부청결의 중요성을 알고 있어야 한다. 영유아는 성인에 비해 수분 및 열 손실의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피부를 보호하기 위하여 보습제를 발라주도록 한다. 피부가 건조해지면 기계적인 자극에...


참고 자료

고문사, 비판적사고에 기반한 간호과정, 이은희 외 공저(2019)
드럭인포 (https://www.druginfo.co.kr/)
서울아산병원 진단검사의학과 검사정보(http://amc.seoul.kr/asan/depts/amccp/K/content.do?menuId=516)
약학정보원 (http://www.health.kr/)
OO교병원 EMR 기록지
OO병원 약 정보
OO병원 검사정보
현문사, 근거기반실무중심의 아동간호학 하권, 박호란 외 공저(2020)
현문사, 기본간호학Ⅰ, Ⅱ, 양선희 외 공저(2020)
KIMS 의약정보센터 (www.kims.co.kr)
아동청소년 간호학Ⅰ, 강경아 외 3명 [군자출판사] 2019
아동청소년 간호학Ⅱ, 강경아 외 3명 [군자출판사] 2019
서울아산병원 홈페이지 [건강정보- 의료정보- 질환백과]
MSD메뉴얼 일반인용 [피부질환- 피부진균감염- 간찰진]
신생아 피부질환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피부과학교실 연구논문] 김규한 2006
https://en.wikipedia.org/wiki/Bronchiolitis
중앙대학교병원 건강칼럼
기본간호학Ⅰ, 수문사
아동청소년간호학Ⅰ, 수문사
서울대학교병원 건강칼럼
네이버 지식백과
www.kimsonline.co.kr
약학정보원
함소아한의원
매일경제기사, 病室通風(병실통풍)좋아야 高熱患者(고열환자)치료, 1973.03.22.
신윤정, 엄마는 365 주치의, 이가서, 2010.06.15.
네이버 생명과학대사전
편집부, 0~3세 아이 키우기, 삼성출판사
Friedman JN, 2014, Bronchiolitis: Recommendations for diagnosis, monitoring and management of children one to 24 months of age. Paediatr Child Health.
Ravaglia C, 2014, Recent advances in the management of acute bronchiolitis, F1000Prime Reports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