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자원봉사활동에 대한 고찰
1.1. 자원봉사의 개념과 실천
자원봉사의 개념과 실천은 개인의 자발적인 의지에 기반한 무보수의 활동이다. 자원봉사자는 자신의 시간과 능력을 필요로 하는 개인이나 지역사회를 돕기 위해 자발적으로 참여하며, 이를 통해 개인의 성장과 더불어 사회적 가치 창출에 기여한다.
자원봉사의 개념은 상호이해와 연대, 더불어 살아가는 공동체 의식을 바탕으로 한다. 자원봉사자는 자신의 지식, 기술, 경험 등을 활용하여 국내외 지역사회의 다양한 문제 해결과 복지 증진에 참여한다. 또한 이를 통해 기관이나 단체의 목표 달성을 지원하고, 사회적 약자를 보호하며 자연환경 보존에 기여하는 등 사회 전반의 발전을 도모한다.
실천 형태로는 사회복지, 환경보호, 교육 및 문화, 재해구호, 국제협력 등 다양한 영역에서의 봉사활동이 있다. 특히 최근에는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의 긴급구호, 온라인 플랫폼을 활용한 비대면 봉사 등 새로운 형태의 자원봉사가 등장하고 있다. 이처럼 시대와 사회적 요구에 맞춰 자원봉사의 영역이 지속적으로 확장되고 있다.
자원봉사자는 대가없이 타인과 지역사회를 위해 헌신하지만, 이를 통해 자아실현과 성장의 기회를 얻는다. 즉, 타인에 대한 관심과 배려심을 기르고 공동체 의식을 함양하며, 나아가 사회적 책임감을 키워나갈 수 있다. 이처럼 자원봉사는 개인과 사회가 상호작용하며 발전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1.2. 자원봉사활동의 한계와 문제점
자원봉사활동의 한계와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원봉사활동이 기관의 예산 삭감을 위한 수단으로 악용되는 경우가 있다. 이 책에 따르면 "전체 예산이 줄고 많은 사람이 고용되었다는 것은 1인당 급여는 줄었다는 말 아닌가. 그래서 나는 말했다. '그렇다면 1인당 급여는 줄었기 때문에 '일할 기회를 늘린 것'은 아니지 않습니까? 싸게 먹히는 자원봉사로 바꾼 것일 뿐, 전체로 보면 제대로 생활할 수 있는 급여를 받으며 일할 기회를 줄인 것이지 않습니까? 일할 기회를 늘렸다고 말하려면 인건비 전체가 늘어나지 않으면 안 되는 것 아닙니까?'"라고 지적한다. 즉, 자원봉사를 이용하여 인건비를 줄이고 예산을 삭감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둘째, 자원봉사가 본래의 목적을 벗어나 다른 부정적 영향을 초래할 수 있다. 이 책은 "도서관 사서의 역할 감소와 관련된 문제"를 들어 자원봉사자 및 유급봉사자의 증가로 인해 사서 일자리가 감소하고 이로 인한 사회적 문제가 발생한다고 설명한다. 따라서 자원봉사활동이 기관이나 단체의 이익을 위해 오용되면서 오히려 다른 사회적 문제를 야기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자원봉사활동이 환경 문제 해결을 위한 근본적인 대안이 되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다. 이 책은 "쓰레기 줍기와 지구 환경 문제 간의 직접적인 연관성을 부정"하며, "주변의 청결과 지구 환경 문제의 위기는 항상 일치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강조한다. 결국 쓰레기 줍기와 같은 자원봉사 활동은 지구 환경 문제의 근본적인 해결책이 되기 어려운 한계를 지닌다는 것이다.
이처럼 자원봉사활동에는 기관의 예산 삭감 수단으로 악용되거나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는 문제점, 환경 문제 해결에 한계가 있다는 한계가 존재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과 한계를 인식하고 개선하려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1.3. 환경과 자원봉사의 관계
환경과 자원봉사의 관계는 매우 복잡하다. 저자는 "'환경'이라는 개념을 두 가지 의미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