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진도회사는 2001년 초에 기계 1대(내용연수 5년, 잔존가치 10%)를 ₩1,000,000에 구입하였다. 이 기계를 사용하여 첫해에 제품을 10,000개를 생산할 수 있으며, 그 후에는 매년 1,000개씩 생산량이 감소한다. 아래 각각의 방법이 적용된다고 독립적으로 가정할 때 2003년도에 인식해야할 감가상각비를 각각 구하시오. ① 연수합계법 ② 생산량비례법 ③ 정률법(정률 : 0.369) ④ 정액법 위 문제에서 계속하여, 2004년초에 이 기계장치"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감가상각의 개념
2.1. 감가상각의 정의
2.2. 감가상각 방법
3. 감가상각 계산 사례
3.1. 연수합계법
3.2. 생산량비례법
3.3. 정률법
3.4. 정액법
4. 기계처분 시 회계처리
4.1. 연수합계법
4.2. 생산량비례법
4.3. 정률법
4.4. 정액법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감가상각은 상각대상금액을 내용연수기간동안 합리적인 기준에 의해 분배하는 것으로, 그 합리적 기준에 따라 감가상각방법이 결정되고 매년 인식해야 할 감가상각비가 결정된다. 감가상각의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정액법, 정률법, 연수합계법, 생산량비례법 등이 있다. 정액법은 매년 동일한 금액을 상각하고, 정률법은 매년 감소하는 금액을 상각하며, 연수합계법과 생산량비례법은 자산의 사용 정도에 따라 상각액이 변동된다. 기업은 자신의 상황과 자산의 특성을 고려하여 적절한 감가상각방법을 선택하여 적용하게 된다. 이를 통해 자산의 가치 감소를 정기적으로 비용으로 인식하고 재무제표를 작성할 수 있다.
2. 감가상각의 개념
2.1. 감가상각의 정의
감가상각이란 상각대상금액을 내용연수기간동안 합리적인 기준에 의해 분배하는 것으로 그 합리적 기준에 따라 감가상각방법이 결정되고, 매년 인식해야 할 감가상각비가 결정되는 것이다. 즉, 유형자산의 취득원가에서 잔존가치를 차감한 금액을 해당 자산의 내용연수 동안 체계적으로 배분하여 비용으로 인식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자산의 가치가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현상을 회계적으로 반영하여 매기 발생한 비용을 배분하고자 하는 것이다.
2.2. 감가상각 방법
감가상각 방법에는 정액법, 정률법, 연수합계법, 생산량비례법 등이 있다.
정액법은 매년 일정액의 감가상각비를 인식하는 방법으로, 매년 일정한 금액만큼 감가상각비를 인식한다. 이 방법은 계산이 단순하고 매년 동일한 금액을 비용으로 계상할 수 있어 편리한 반면, 자산가치의 감소가 일정하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정률법은 자산의 기초잔액에 일정한 감가상각률을 곱하여 감가상각비를 계산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초기에 더 많은 감가상각비를 인식하고 후기에 감가상각비가 감소하는 패턴을 보인다. 자산가치의 감소가 실제와 유사하게 반영되어 합리적이며, 세무상 인정되는 방법이다.
연수합계법은 자산의 내용연수를 고려하여 매년 감가상각비를 달리 계상하는 방법이다. 내용연수가 긴 초기에는 감가상각비가 적고, 내용연수가 짧아질수록 감가상각비가 증가하는 패턴을 보인다. 이 방법은 자산의 효용이 시간의 경과에 따라 감소한다는 개념을 잘 반영한다.
생산량비례법은 실제 생산량에 따라 감가상각비를 계산하는 방법이다. 생산량이 많은 초기에 감가상각비가 크고 생산량이 감소할수록 감가상각비가 줄어든다. 이 방법은 자산의 사용정도에 따른 가치감소를 가장 현실적으로 반영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감가상각 방법에 따라 감가상각비 계산과 비용 배분의 양상이 달라지므로, 기업은 자산의 특성과 사용 형태, 세무상 효과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감가상각 방법을 선택해야 한다.
3. 감가상각 계산 사례
3.1. 연수합계법
연수합계법은 자산의 내용연수 동...
참고 자료
국가공인 회계관리 2급 회계원리, 삼일회계법인, 삼일인포마인, 2018.01
IFRS 회계원리, 김재호, 원, 2017.12
이예주 기자(매일경제), “[너와 나의 회계고리] 감가상각”, 2017-09-21, https://www.mk.co.kr/news/economy/view/2017/09/633581/
김범석 회계사, “[DBR 경영의 지혜]유형자산 감가상각을 둘러싼 회계처리 논란”, 동아일보, 2018-04-06, http://news.donga.com/3/all/20180405/8948546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