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역사전쟁"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환율전쟁의 역사
1.1. 금본위제도
1.2. 브레턴 우즈의 출범과 붕괴
1.3. 플라자 합의
2. 초한전쟁의 역사적 의미
2.1. 초한전쟁의 개념 및 내용
2.2. 유방과 항우의 리더십 비교
3. 전쟁의 역사적 발전 추세
3.1. 전쟁의 인적, 환경적 및 경제적 비용 증가
3.2. 전쟁의 교전국 및 지역 확대
3.3. 저강도 분쟁의 증가
3.4. 게릴라 및 테러리스트 분쟁의 증가
3.5. 종교적 열정으로 촉발된 무력분쟁 증가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환율전쟁의 역사
1.1. 금본위제도
금본위제도는 각 국가가 금과 자국통화 간에 일정한 교환비율을 설정하고, 통화소지자가 이 교환비율에 따라 자유롭게 금으로 바꿀 수 있는 제도이다. 금본위제 하에서는 각국 중앙은행의 통화량 발행이 보유한 금의 양으로 한정되며, 외환시장에서 양국 간 환율은 각국 통화와 금의 교환비를 매개로 설정된다. 예를 들어 달러가 금 1온스당 10달러, 엔화가 100엔이라면 달러-엔 환율은 1달러:10엔이 된다.
금본위제도에서는 무역수지 불균형이 자연스럽게 해소된다. 수입대금 지불로 금이 유출되면 통화량 감소와 물가 하락으로 가격경쟁력이 높아지고 수출이 늘어나 수지 균형이 회복되는 방식이다. 그러나 이는 경제규모 확대 시 통화량 확대가 어렵고 경기부양을 위한 확장적 정책이 제한되는 문제가 있다.
제1차 세계대전 발발로 각국이 금본위제를 포기하면서 초인플레이션 문제가 발생했다. 이후 금본위제로 복귀하는 과정에서 영국은 고평가된 파운드화로 무역적자가 지속되는 반면, 프랑스는 저평가된 프랑화로 복귀하면서 갈등이 빚어졌다. 1930년대 대공황 시기에는 각국의 보호무역주의와 경쟁적 평가절하로 역내 궁핍화가 발생했다.
이처럼 금본위제도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1944년 브레턴우즈 체제가 출범했지만, 여기에서도 국가 간 무역 불균형 문제가 지속되었다. 기축통화국 미국이 베트남전 수행과 경상수지 적자 보전을 위해 달러화를 과다 발행하자 1971년 금태환이 중단되면서 브레턴우즈 체제가 붕괴했다. 이로써 달러화와 그 외 통화 간 변동환율제가 도입되었다.
1.2. 브레턴 우즈의 출범과 붕괴
브레턴 우즈의 출범과 붕괴는 다음과 같다.
제2차 세계대전이 종결되던 1944년 44개국 대표는 미국 뉴 햄프셔주 브레턴우즈에 모여 전후 신경제질서를 구상한다. 기본골격은 크게 세 가지였다. 양차세계대전 기간에 발생한 환율전쟁 방지를 위해 조정 가능한 고정환율 채택, 인근 궁핍화 방지를 위한 무역장벽 해제, 투기자본의 국가 간 이동을 방지하는 대신 일시적으로 유동성 공급에 애로가 발생한 나라에 대한 자금대출 담당기구로서 IMF(국제통화기금) 설립이었다. 이때 각국은 조정 가능한 고정환율제도의 구현방법으로 기축통화로 달러를 선택하고 다른 통화의 가치는 달러를 기준으로 산정하기로 한다. 대신 달러화에는 금 1온스당 35달러로 교환해줄 태환의무를 부가하고 무역 불균형 해소를 위한 환율변경은 허용했다.
그러나 여기서도 금본위제와 유사한 문제점이 나타난다. 선진국들은 자국통화의 평가절하가 미칠 대외신인도 하락을 우려해 절하를 꺼렸다. 그리고 무역수지 흑자국은 불태화와 외환보유액 확충으로 평가절상을 기피했다. 이 결과 영국과 미국은 만성적 무역 적자를, 일본과독일은 무역흑자가 누적된다. 이러한 기초적 불균형이 지속될 수 없다는 것을 간파한 투기자금은 파운드화 매도, 마르크화 매입과 같은 투기 패턴을 보임에 따라 환율은 다시금 불안정해진다.
한편 기축통화국인 미국은 1960년대 베트남 전쟁 수행과 경상수지 적자 보전을 위해 능력 이상으로 달러화를 발행한다. 이 결과 1970년 들어 미국 이외 국가들이 보유한 달러화가 미국이 보유한 금의 네 배를 초과하게 된다. 결과 미국은 1971년 8월 금태환 중지를 선언한다. 이 선언으로 달러당 엔화는 360엔에서 250엔으로 급락한다. 그러면서 달러화는 1973년까...
참고 자료
경영학 - 최수형/추교완 외 1명 저, 피앤씨미디어, 2013
2018 재미있는 경영학 워크북 - 최중락 저, 상경사, 2018
조직문화가 전략을 살린다 : 안근용, 조원규 외 1명 저 / 플랜비디자인 / 2019
경영학의 이해 - 이규현 저, 학현사, 2018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사례중심의 경영학원론 - 김명호 저, 두남, 2018
내일을 비추는 경영학 - 시어도어 레빗 저/정준희 역, 스마트비즈니스, 2011
경영학의 진리체계 - 윤석철 저, 경문사, 2012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국제경영학 - 김신 저, 박영사, 2012
경영학원론 - Gulati Mayo 외 1명 저, 카오스북, 2016
조관희, 『전쟁으로 읽는 중국사』, 청아출판사. 2022.
신성곤 윤혜영, 『한국인을 위한 중국사』, 서해문집, 2004.
손잔휀, 진화 역, 『중국사 인물과 연표』, 나무발전소, 2017.
David P.Barash, 『전쟁과 평화』, 명인문화사, 2018.
상지대학교 평화안보ㆍ심리상담대학원 전쟁과 평화 강의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