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한국어어문규범 사이시옷"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사이시옷과 사잇소리 현상
1.1. 사이시옷의 의미
1.2. 사이시옷의 사용유형과 예시
1.2.1. 한글 맞춤법 고시 규정에 따른 분류
1.2.2. 의미론적 근거
1.2.3. 형태·통사론적 근거
1.3. 사이시옷 규정의 한계와 과제
2. 사이시옷의 실제 사용과 문제점
2.1. 사이시옷 표기의 일관성 부족
2.2. 언중의 발음 변화와 표기의 괴리
2.3. 사이시옷 규정의 개선 필요성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사이시옷과 사잇소리 현상
1.1. 사이시옷의 의미
사이시옷은 두 개의 형태소나 단어가 만나 합성어를 이룰 때, 특정한 음운 현상이 일어나는 경우에 그 음운 변동을 표기에 반영한 부호이다. 사이시옷이 표기되는 경우는 주로 두 단어가 결합할 때 첫 번째 단어의 끝소리나 두 번째 단어의 첫소리가 변하는 '사잇소리 현상'이 일어나는 경우이다. 즉, 합성어를 만들면서 두 단어 사이에 새로운 소리가 첨가되는 것을 사이시옷으로 표기하는 것이다.
사이시옷은 중세국어에서 격조사 '-의'의 축약형인 '-ㅅ'이 합성어 형성과정에서 남아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 '-ㅅ'은 본래 격조사의 기능을 하다가 점차 합성어를 만드는 기능만 남게 되었다. 이처럼 사이시옷은 본래 문법적 기능을 잃고 합성어 형성을 돕는 표지로 변화한 것이다.
따라서 사이시옷은 단순히 발음을 표기하기 위한 부호가 아니라, 합성어 형성 과정에서 일어나는 음운 변화를 표기하기 위한 장치라고 할 수 있다. 사이시옷이 표기된 단어를 발음할 때 해당 음운 변화가 일어나는 것이지, 사이시옷이 표기되어야만 그 음운 변화가 일어나는 것은 아니다.
1.2. 사이시옷의 사용유형과 예시
1.2.1. 한글 맞춤법 고시 규정에 따른 분류
순 우리말로 된 합성어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한글 맞춤법 고시 규정에 따르면 크게 세 가지로 분류된다.
첫째,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는 경우이다. 예를 들어 "귓밥[귀빱], 뱃길[배낄], 나뭇가지[나무까지]" 등이 이에 해당한다.
둘째, 뒷말의 첫소리 'ㄴ, ㅁ' 앞에서 'ㄴ' 소리가 덧나는 경우이다. "아랫니[아랜니], 냇물[낸물], 뒷머리[뒨머리]"가 이러한 예에 속한다.
셋째, 뒷말의 첫소리 모음 앞에서 'ㄴㄴ' 소리가 덧나는 경우이다. "두렛일[두렌닐], 뒷일[뒨닐], 나뭇잎[나문닙]"이 여기에 해당한다.""
1.2.2. 의미론적 근거
의미론적 근거에 따르면 사이시옷은 두 요소 사이의 관계를 간접화하고 추상화하여 특수화된 의미를 만들어내는 기능을 한다"" 이에 따르면 사이시옷이 개입되는 경우는 첫째, 첫 말이 주가 되고 다음 말은 종속적 지위에 있어서 그 중간에 소유격적 의미를 필요로 하는 경우이다. 예를 들어 '빗방울', '바닷물', '산ㅅ골', '손ㅅ등', '물ㅅ결', '삼ㅅ단', '장ㅅ군...
참고 자료
문화체육관광부 국립국어원 : 온라인가나다
한글학회 : https://hangeul.or.kr/
Googlebooks검색/나무위키/위키낱말사전/네이버지식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사이시옷)
https://www.kci.go.kr
국립 국어원, 한국어 어문규범, https://kornorms.korean.go.kr/regltn/regltnView.do?regltn_code=0002®ltn_no=346#a393 (2022/02/12)
국립 국어원, 한글 맞춤법, https://kornorms.korean.go.kr/m/m_regltn.do?regltn_code=0001#a
한국어 위키피디아, “사잇소리 현상”, https://ko.wikipedia.org/wiki/%EC%82%AC%EC%9E%87%EC%86%8C%EB%A6%AC_%ED%98%84%EC%83%81 (2022/02/12)
국립 국어원, 온라인가나다, https://www.korean.go.kr/front/onlineQna/onlineQnaView.do?&mn_id=&qna_seq=152426&pageIndex=10 (2022/02/12)
EBSi 고교강의, “사잇소리 현상”, https://www.youtube.com/watch?v=06d8fc5xtB0 (2022/02/12)
임석규, 사이시옷 규정의 문제점 고찰, 2008, 우리말글 vol.43, pp. 1-24
김천학, 국어학 : 사이시옷과 의미관계, 2005, 한국국어교육학회, vol.70, pp. 177-192
한국어어문규범 강의 교안
사이시옷'의 교수-학습 방안, 이은애.
국어 사이시옷에 대한 통시적 연구, 권용경.
사이시옷 규정의 문제점 고찰, 임석규.
현대국어 사이시옷 현상의 검토, 엄태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