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유니클로 기업 개요
1.1. 유니클로 설립 배경 및 핵심 정신
유니클로 설립 배경 및 핵심 정신은 다음과 같다.
유니클로는 1949년 야마구치현 우지시에서 오고리상사라는 이름으로 개인영업 형태의 남성복 매장으로 시작했다. 1984년 6월 히로시마에 캐주얼 판매점 1호점을 오픈하면서 "언제 어디서든 누구나 입을 수 있는 고품질 베이직 캐주얼을 시장 최저 가격으로 제공한다"는 기업 철학 아래 본격적인 SPA(Specialty Store Retailer of Private Label Apparel) 산업에 진출했다. 유니클로의 창업자 야나이 다다시 회장은 "세상에는 두 가지 종류의 옷이 있다고 생각한다. 하나는 비싸고 품질이 좋은 옷, 또 다른 하나는 값싸고 품질이 낮은 옷, 나는 값싸고 좋은 옷이 있다는 것을 세상에 보여주고 싶었다"라고 밝힌 바 있다. 이처럼 유니클로는 "Low Cost, High Quality"를 실현하는 SPA 모델을 구축하여 "모든 사람에게 좋은 옷을 입을 수 있게 하는 새로운 일본의 기업"이라는 비전 아래 성장해왔다.
1.2. 유니클로의 성장 과정과 주요 연혁
유니클로의 성장 과정과 주요 연혁은 다음과 같다.
유니클로는 1949년 3월 야마구치현 우지시에서 개인영업 형태의 남성복매장 '오고리상사'로 개업하였다. 1984년 6월 히로시마에 캐주얼 판매점 1호점을 출점하였고, 같은 해 9월 '야나이 타다시'가 사장으로 취임하였다. 1991년 9월 사명을 '패스트 리테일링'으로 변경하며 본격적인 SPA 선언을 하였다. 1992년 4월 전 점포의 명칭을 '유니클로'로 변경하고 직영점 50개 이상을 확보하였다. 1994년 7월 히로시마 증권 거래소에 상장되었고, 1997년 4월에는 직영점 100개를 돌파하였다.
1998년 2월 '유니클로' 동경 하라주쿠점을 오픈하고, 10월부터 플리스 캠페인이 화재를 일으켰다. 1999년 4월 중국 상해시와 광주시에 생산관리 사무소를 각각 개설하며 해외 진출의 발판을 마련하였다. 2003년 8월 영국 런던점을 오픈하며 본격적인 유럽 진출을 시작하였고, 2004년 12월에는 롯데쇼핑과의 합작투자로 한국에 진출하였다. 2005년 3월 홍콩 Kimberley Road, Kowloon점을 오픈했으며, 같은 해 9월에는 미국 뉴욕점을 오픈하였다. 2006년 12월에는 중국 상하이점을 오픈하며 중국 시장 진출을 가속화하였다.
2009년 12월에는 국내 유니클로 명동점을 개장하였고, 2010년 1월에는 연매출 11조 원을 달성하였다. 2013년에는 국내 매출 성장률 38%, 글로벌 성장률 67%를 기록하며 연매출 12조 원을 달성하였다. 2014년 현재 국내 점포 수는 134개, 매출은 7,000억 원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1.3. 유니클로의 글로벌 시장 진출 현황
유니클로의 글로벌 시장 진출 현황은 다음과 같다.
유니클로는 2008년 세계 의류 브랜드 매출 순위에서 GAP, ZARA, H&M, The Limited, NEXT 다음으로 6위를 기록하며 세계 의류시장에서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현재 유니클로는 매출액 증가 추이 및 영업이익 1위 등 고성장과 고성과를 거듭하고 있다. 2020년에는 5조 엔(약 65조 원)의 매출 목표를 세우고 있다.
유니클로는 한국, 중국, 인도, 홍콩, 일본 등 아시아 지역뿐만 아니라 패션의 중심지라 할 수 있는 파리, 스페인 바르셀로나, 미국 뉴욕 등지로 진출하면서 진정한 글로벌 기업의 위상을 굳건히 해나가고 있다. 특히 2003년 영국 런던에 첫 매장을 오픈한 이래 유럽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하고 있으며, 2005년에는 홍콩과 미국 뉴욕에 매장을 열면서 본격적인 글로벌 확장을 이루었다.
유니클로는 아시아와 유럽, 북미 등 전세계적으로 약 2,200개의 매장을 보유하고 있으며, 일본을 포함한 아시아 지역에서 가장 큰 매출을 올리고 있다. 중국 시장의 경우 2006년 상해에 1호점을 열었고 이후 급속도로 중국 내 매장을 늘려나가 2014년 기준 약 350개 매장을 운영하고 있다. 이처럼 유니클로는 아시아를 비롯하여 유럽과 북미 등 글로벌 시장에서 지속적으로 성장하며 세계적인 SPA 브랜드로 자리잡아가고 있다.
1.4. 유니클로의 한국 시장 진출 전략
유니클로의 한국 시장 진출 전략은 다음과 같다.
유니클로는 2004년 12월 롯데쇼핑과 합작으로 FRL 코리아를 설립하여 한국에 진출하였다. 롯데쇼핑과 합작 법인을 설립한 것은 백화점, 할인점 등 막강한 유통채널을 확보하고 있는 롯데의 배경이 주요했을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한국 특유의 도심 주변 높은 임대료나 보증금을 감안할 때, 단독 투자시 부담해야 하는 다양한 고정 투자비용을 절감하면서 롯데가 가진 유통 파워를 활용할 수 있었다고 보인다.
실제로 유니클로는 진입 초기에 일부 직영점을 제외하고 롯데백화점과 롯데마트만을 통해 매장 수 확대 전략을 펼치며, 초기 매장 확대 어려움을 어느 정도 완화했다. 롯데와의 합작을 통해 비교적 수월하게 한국 시장에 진출한 유니클로는 2005년 4개 매장으로 시작하여, 첫해인 2006년에는 300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현재는 약 7000억원의 매출을 기록하고 있고, 매장 수도 2010년 국내 58개에서 현재 140여개로 크게 늘어나며 한국에서의 성장을 거듭하고 있다.
이처럼 롯데와의 합작을 통해 비교적 수월하게 국내에 진출한 유니클로는 백화점, 할인점 등 유통 채널을 활용하여 초기 매장 확대에 성공했으며, 이후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며 국내 SPA 브랜드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2. 유니클로 경영 분석
2.1. 유니클로 산업구조분석
국내 의류시장의 5요인 분석 모델을 통하여 유니클로가 직면해 있는 산업내 경쟁자, 잠재 진입자의 위협, 공급자 교섭력, 구매자 교섭력, 대체제의 위협에 대해 분석하였다.
먼저, 산업내 경쟁자에서 국내 패션 산업은 대체로 경쟁이 심한 편이다. 산업 내에 무수히 많은 경쟁자가 존재하여 산업 집중도가 낮은 편이고, 산업 자체가 수요예측이 어렵다는 점과 철수장벽이 낮으므로 고정비용도 낮은 편에 속하므로, 경쟁은 심하다 볼 수 있다.
다음으로, 잠재 진입자의 위험은 중간 정도로 보인다. 진입장벽이 높지 않고, 온라인 쇼핑몰과 같이 유통채널의 확보가 비교적 용이하지만, 브랜드 인지도는 상당하며, 대량생산 방식의 규모의 경제를 실현하고 있기 때문에 위협 정도가 높지도 낮지도 않은 중간이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