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해외직접투자란 무엇인지 설명하고 과거 한국기업의 성공적인 해외직접투자 사례를 조사하시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국내 기업의 해외 진출 전략
2.1. 삼성전자의 인도 진출 전략
2.2. LG전자의 해외진출 전략
2.3. 설빙의 해외진출 전략
2.4. 뚜레주르의 해외진출 전략
3. 국내 기업의 해외 진출 전략의 성패 요인
4. 결론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우리나라의 경제는 자본주의를 바탕으로 한 혼합경제체제로써 국가주도의 경제발전으로 후진국에서 선진국으로의 경제 발전을 이룬 나라이다. 한강의 기적이라 불릴 정도로 빠른 성장을 이룩한 대한민국은 자본력이 부족한 국가적 환경에 의해 독특한 중앙 집중 형태의 경제발전을 통해 중소기업보다 대기업 위주의 기업경제구조를 세웠고 천연자원의 부족으로 인해 가공무역을 중심으로 수출주도형 경제성장정책을 도입해 발전한 바 있다. 그에 따라 수출 혹은 수입에 크게 의존하며 현재 무역 상대국으로는 중국, 미국, 일본, 독일, 영국, 대만 등이다. 이러한 가운데 한국기업의 해외진출도 활발히 이뤄졌는데 많은 기업들이 현재 보다 싸고 우수한 생산요소를 활용해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더 나은 기업환경을 찾아서 해외진출을 위해 애쓰고 있다.
2. 국내 기업의 해외 진출 전략
2.1. 삼성전자의 인도 진출 전략
삼성전자는 1997년 터키, 1998년 인도, 2002년 중국, 2005년 미국, 2008년 체코, 2011년 러시아, 2012년 브라질을 순으로 해외에서 차량을 직접 생산하고 있다. 삼성전자가 이처럼 해외 시장에서 자동차를 직접 생산하는 것을 선호하는 이유는 글로벌 시장에서 나타나는 여러 가지 예상할 수 없는 변화나 불확실성에 보다 탄력적으로 대응하고 생존하기 위해서는 현지 공장을 세우는 것의 중요성이 매우 크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서 멕시코는 연간 판매 수요가 100만 대이고, 향후 성장 가능성도 높은 국가로 여겨지지만 차량을 판매하는 과정에서 납부해야 하는 관세가 판매가의 20%에 달했다. 현지에서 직접 생산하면 관세를 납부하지 않아도 되며, 멕시코의 인건비가 우리나라에 비해서 더 저렴하며, 멕시코가 중남미를 포함하여 40여개국과 FTA 네트워크를 가지고 있는 매우 중요한 시장이기 때문에, 현지 공장을 세웠다.
삼성전자는 에콰도르 및 캐나다에 당시 주력 차종이었던 포니를 수출한 뒤로 북미시장을 중심으로 해외시장 개척에 노력했다. 북미에서는 20년 전만 하더라도 경제적인 수준이 상대적으로 더 떨어지는 비백인 계층이 타는 차라는 인식이 있었지만 지속적으로 품질을 개선하고 인지도를 높이는 데에 전사적으로 노력한 결과 1990년대 중반부터는 백인계층에서도 현대자동차를 선호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기 시작했으며 지난 2005년에 미국 현지에 공장을 설립한 것을 기점으로 하여서 기업 이미지를 호의적인 방향으로 바꾸는 데에 성공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삼성전자는 아시아나 남미, 유럽, 아프리카 등 전 세계에서 고른 판매신장으로 수출전략을 조정한다. 러시아에서는 쏠라리스, 중국에서는 NFC나 위에동, 인도에서는 i10, 남미에서는 HB20x 등 각 대륙의 특성을 고려하여 대륙별 전용 공략차를 출시하는 등 적극적인 해외진출 전략을 운영하고 있다. 아울러 삼성전자는 인도 시장 상황, 인도 계층 상황, 인도 문화, 인도 소비자 성향, 시장 개방 정책, 산업화 정책 등을 토대로 사업 방향에 적극 집중하는 전...
참고 자료
해외 직접투자 전략론 (4차 산업혁명시대의) 변재웅 저 | 탑북스 | 2018.08.30
한국기업의 해외직접투자에 대한 이론과 실제 (국가의 부패와 해외직접투자의 유입)
김경 저 | 계명대학교출판부 | 2017.06.15.
일요서울 2020.10.08 '해외 진출 가속화하는 한국기업들 - 락앤락'
우보천리 ④ 락앤락] 세계 119국 진출… 베트남서 5년 연속 10대 브랜드 선정
해외진출 한국기업 디렉토리 (2020,상권 세계) KOTRA 편집부 저 | KOTRA | 2020.12.29
김서연, 「한국기업의 인도 진출 방안과 전략: 국내 기업의 성공사례를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경제통상대학원 석사 논문, 부산대학교 경제통상대학원 석사 논문, 2015.
방효희, 「한일 유통기업의 중국시장 진출 전략 비교와 시사점」, 동의대학교 대학원 석사 논문, 2010.
오세진, 「최근 제조업의 해외진출 트렌드와 영향」, 『산은조사월보』 2019년 9월 제766호, KDB산업은행 미래전략연구소, 2019.
코로나 선방한 현대차 그룹, GM 추월 세계4위 질주, 전자신문, 2020.05.14.
현대 기아차 글로벌 전기차 점유율 7.2%, 1년 새 1.8% 늘어, 조귀동, 조선비즈, 2020.07.15.
[50주년 현대차]세계 5위권 글로벌 차 메이커 자리 잡았지만…지배구조 개편·친환경車 개발 난제도 산적, 안재형, 매일경제, 2018.01.26.
현대 기아차가 계속 해외에 공장짓는 이유, 정혜연, 월간조선, 2014.11
LG는 해외로, 삼성은 국내에...생산전략 엇갈린 이유, 동아일보, 2020.05.21.
LG그룹 해외진출 확대로 글로벌 1위 사업 늘어, 김응원, 2016.09.27.
중동 진출하는 설빙, 해외 사업 공격적으로 확장하는 이유는?, 임소현, 뉴데일리 경제, 2019.12.04.
한국 빵 뚝심 뚜레쥬르, 14년만에 미국에서 웃다, 한국겨엦, 2019.04.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