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창작무용 심동적"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유아동작교육
1.1. 유아동작교육의 개념
1.2. 유아동작교육의 목표
1.3. 릿슨 극적동작교수법의 5단계
1.4. 릿슨 극적동작교수법을 적용한 유아동작 활동계획안과 현장 적용 방안
2. 무용교육과 자아존중감
2.1. 무용교육의 개념
2.2. 무용교육의 목표
2.3. 무용교육의 가치
2.4. 무용교육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유아동작교육
1.1. 유아동작교육의 개념
유아동작교육이란 인간의 움직임에 수반되는 기본적인 요소에 대한 인식과 기본적인 운동 기술을 배우도록 하고 그를 토대로 하여 유아의 느낌 및 생각을 자연스럽게 표현하도록 하는 활동이다. 이를 통해 심동적 발달뿐만 아니라 유아의 인지적 · 정의적 · 창의적인 발달 등도 도모할 수 있는 전인적 발달을 이끌어 내는 교육이다. 유아기는 신체적 운동 기능의 발달을 위한 이상적인 시기이며, 인간의 뇌 발달이 가장 활발히 일어나는 시기라는 점에서 유아동작교육의 중요성이 크다. 또한 유아기는 자아개념 형성과 사회적 태도 형성의 중요한 시기이므로 동작활동을 통해 발달이 이루어진다. 결국 유아동작교육은 유아가 본인의 신체를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이용하는 과정을 통해 자아를 인식하고 움직임에 대한 즐거움을 느끼게 하며, 기초적인 인지능력과 언어, 사회성 등의 발달을 도모하는 교육이라고 할 수 있다.
1.2. 유아동작교육의 목표
유아동작교육의 목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는 움직임을 통해 자아를 인식하고 나아가 자신감을 형성하게 된다""
둘째, 동작은 유아가 자신의 신체를 점차 복합적인 방법으로서 활용토록 한다""
셋째, 동작교육은 유아의 사고 발달과 상징적인 표상의 기초적인 인지 능력을 향상시킨다""
넷째, 동작교육은 타인과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발생된 반응을 수용해 협동하게 만들며, 이는 원만한 대인관계 형성의 기반이 된다""
다섯째, 유아는 동작교육을 통해 기초 운동 능력을 기르게 되며, 그와 더불어 신체 인식과 활동 잠재력, 공간 인식 및 조작 능력을 발달시키게 된다""
즉, 유아동작교육은 유아가 본인의 신체를 효과적 및 효율적으로 이용하는 과정을 통해 자아를 인식하게 하고, 움직임에 대한 즐거움을 느낄 수 있게 하며, 기초적인 인지능력과 더불어 언어, 자연, 다양한 사회 현상에 관한 개념과 사회성 등을 기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3. 릿슨 극적동작교수법의 5단계
기본적으로 극적인 접근(dramatic approach)은 유아가 가상적인 상황 혹은 행동을 상상을 통해 극화하여 동작표현을 하게끔 하는 교수법이다. 일반적으로 유아는 자신의 느낌 또는 생각 등을 즉각적으로 표현하는 특성이 있다. 그들은 특히 상상을 하면서 가장행동(pretend behavior)을 하는 것을 즐긴다. 즉, '~처럼 되어 보는(~처럼 되어서 행동해 보는)' 것을 즐겁게 생각한다. 이러한 가장행동을 영위하면서 유아는 본인만의 방식대로 자신이 가지고 있는 개성을 표현하는데 있어서 자유롭다. 즉, 유아가 신체적 움직임을 하고 싶어할 때 어느 곳에서든 창의적인 동작활동이 자유롭게 일어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내용에 기반을 둔 릿슨 극적동작교수법은 다음과 같은 5단계 교수학습방법으로 진행된다. 첫째, 지시 따르기이다. 해당 단계에서 교사는 유아에게 명료하고 간결한 지시를 해야 한다. 그에 따라 유아들...
참고 자료
전인옥⦁이현균(2018). 유아동작교육. 양서원. 경기파주.
전인옥(2011). 다문화접근 세계전통놀이교육. 양서원. 경기파주.
전인옥(2011). 다문화접근 한국전통놀이교육. 양서원. 경기파주.
최석란(2020). 놀이지도(개정 누리과정에 기초한). 공동체.
조셉 제이콥스(2019). 아기 돼지 삼 형제. 아들과딸. 2019.
이성애(2013). MeFOT기반 신체표현활동과 극적 접근법에 의한 신체표현활동이 유아의 주의집중과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동아대학교 대학원.
천미향(2018). 유아동작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개념도 분석.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학위 논문
박영주, 「무용교육 목표의 인지도에 관한 연구 : 부산시내 여자고등학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Purpose of Dance Education of Cognition Degree」, 東亞大學校 敎育大學院, 1998.
송난영, 「무용프로그램이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기능에 미치는 효과」, 부산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7.
양옥경, 「초등 무용교육의 실태와 개선방안」, 부산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8.
이성, 「무용교육이 학생의 성격형성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Dance Education on Formation of Student‘s Character」, 대구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이영일, 「연기전공대학생의 수업 참여 동기, 연기표현성, 심리적 행복감의 관계」, 경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장정민, 「무용전공자들의 체형인식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7.
정은정, 「고등학교 무용교육의 실태와 개선방향: 광주지역을 중심으로 = The Reality of The High School Dancing Education and Improvement : Centering around Gwang-Ju」, 조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단행본
두산 백과, 『교육무용 [敎育舞踊]』, 두피디아 , 2016.
안제승ㆍ안병주 공저, 『무용학개론』, 신원문화사 , 1992.
육완순, 『무용교육 과정』, 스포츠북스, 2017.
이태신,『무용 교육학 [舞踊敎育學]』, 민중서관 ,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