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근육의 개요
1.1. 근육의 특성
근육은 생물의 몸 전체를 움직이게 하는 기관으로, 크게 횡문근(골격근, 가로무늬근), 평활근(민무늬근), 심장근의 3가지로 나눌 수 있다.
골격근은 우리의 의지에 따라 움직이기 때문에 수의근이라고 하며, 내장근과 심장근은 의지에 관계없이 자율신경의 지배하에 있어서 불수의근이라고 부른다.
평활근은 종적 무늬가 약간 있으며, 심장 이외에 내장의 여러 기관(위, 장, 혈관, 자궁, 소화관, 방광, 수뇨관 등)의 벽을 형성하고 있어 일명 내장근이라고 한다.
심장근은 횡문근의 일종으로 심장 근육에 존재하며, 심장의 수축과 이완을 담당한다.
이처럼 근육은 그 특성에 따라 수의근, 불수의근, 내장근으로 분류되며, 각각의 기능과 역할이 다르다고 할 수 있다.
1.2. 근육의 분류
근육은 수의근과 불수의근으로 분류될 수 있다. 수의근은 의지에 따라 수축할 수 있는 골격근이며, 불수의근은 의지와 관계없이 자율신경계의 지배를 받는 심장근과 평활근이다.
골격근은 수의근으로서 우리의 의지에 따라 움직일 수 있다. 골격근은 손, 발, 배, 혀, 인두 등에 위치하여 신체 움직임에 관여한다. 심장근과 평활근은 불수의근으로 자율신경계의 지배를 받는다. 심장근은 심장 근육이며, 평활근은 혈관, 소화관, 방광 등의 내장기관 벽을 형성한다. 이러한 내장근들은 의지와 관계없이 자율적으로 수축한다.
따라서 근육은 수의근인 골격근과 불수의근인 심장근 및 평활근으로 분류될 수 있다.
1.3. 근육조직의 종류
근육조직의 종류에 대해서는 크게 (a) 골격근, (b) 심장근, (c) 평활근의 3가지로 나눌 수 있다"
(a) 골격근은 수천 개의 가늘고 긴 근세포가 다발처럼 모여서 된 것으로, 자동수축능력은 없고 체성 신경계의 운동신경 지배에 의해 흥분하여 수축한다. 골격근은 수의적으로 수축 가능한 수의근으로, 운동, 자세 유지 및 열생산의 기능이 있다.
(b) 심장근은 흉강과 복강 사이의 경계를 짓는 원개상의 두꺼운 골격근인 횡경막을 구성하는데, 이 근육은 심장과 폐, 간, 위, 비장 등과 접촉하면서 흡식운동과 호식운동이 일어난다.
(c) 평활근은 종적 무늬가 약간 있으며, 심장 이외에 내장의 여러 기관(위, 장, 혈관, 자궁, 소화관, 방광, 수뇨관 등)의 벽을 형성하고 있어 일명 내장근이라고 한다.
2. 골격근의 형태와 작용
2.1. 골격근의 형태
골격근의 형태는 다양한 기준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먼저 모양에 따라서는 삼각근, 능형근, 승모근, 방형근, 이복근, 방추상근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삼각근은 근의 모양이 삼각형이고, 능형근은 근의 모양이 마름모꼴이며, 승모근은 근의 모양이 사다리꼴이다. 방형근은 근의 모양이 정방형이고, 이복근은 두 개의 위가 붙어 있는 모양의 근이다. 방추상근은 방추모양의 근이다.
크기에 따라서는 대둔근, 소둔근, 중둔근으로 구분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