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자신의 아이가 장애를 갖고 태어나거나, 장애 진단을 받는 것은 부모들의 삶을 흔들어 놓을 만큼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사건일 것이다. 특히, 부모는 자녀의 장애를 수용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형태의 심리적 충격을 받게 되고, 이는 일정 단계를 거쳐 안정화되는데, 이러한 부모의 심리단계는 대부분의 특수아 부모에게서 유사한 형태로 나타나므로 교육자는 이것을 숙지하고, 특수아 부모가 경험하는 심리단계 수준에 적절한 교육적 지원을 실시하여 특수아와 그 가족이 기능적인 형태로 변화하게끔 유도해야 할 필요가 있다."
2. 특수아 부모의 심리단계
2.1. 충격과 거부
특수아 부모의 첫 번째 심리단계는 '충격과 거부'이다. 특수아 부모는 자녀의 장애 진단을 받았을 때 심리적 충격과 혼란을 경험하며, 자녀의 장애 사실을 받아들이기 어려워한다. 이 단계에서 부모는 자녀의 장애를 부정하고, 때로는 다른 의견을 찾아 전문가를 찾아다니기도 한다. 이러한 반응은 부모가 고통스러운 현실을 피하려는 자연스러운 방어기제에서 비롯된다. 예를 들어, 한 부모는 자신의 아이가 자폐 스펙트럼 장애(ASD) 진단을 받았을 때, 처음에는 그 사실을 믿을 수 없었다. "우리 아이가 왜?"라는 생각과 함께, 부모는 자녀가 정상적인 발달 궤적을 따를 것이라는 기대를 버리기가 매우 어려웠다. 다양한 전문가에게 두 번째, 세 번째 의견을 구하며 아이의 진단을 부정하는 시간을 보냈다. 이 과정에서 부모는 자신을 탓하거나 부끄러워하며 자기 비하의 감정에 빠지기도 했다. 이는 '충격과 거부' 단계에서 부모가 겪는 혼란과 부정의 감정을 잘 보여준다.
2.2. 분노와 원망
특수아 부모는 자녀의 장애를 인정한 후부터 '분노와 원망'의 심리상태를 보인다. 이 단계에서 특수아 부모는 자녀의 장애를 부정적인 형태로 수용하며 주변에서 도움을 주려는 사람, 간호사, 의료진, 친척, 배우자 등의 사람들에게 적대감을 나타낼 수 있다. 일부 연구에서는 특수아 부모의 이러한 심리 기제는 부모 스스로 특수아로 인해 자신의 사회적, 개인적, 경제적 목적이 제한된다고 느낄 때, 더욱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고 나타났다. 예를 들어, 특수아 부모가 자신을 위로하려 하는 배우자와 친척들에게 '당신들이 도대체 뭘 알고 나를 위로하려고 하냐'며 화를 내고 그들을 집에서 내보내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이 단계에서 특수아 부모는 자녀의 장애에 대한 적대감과 분노를 주변 사람들에게 표출하며, 이로 인한 갈등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교육자는 이러한 특수아 부모의 심리를 이해하고 공감하는 태도로 대응하여, 부모가 자녀의 장애를 긍정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2.3. 타협(교섭)
특수아 부모는 자녀의 장애가 불가역적임에도 불구하고 자신과 자녀의 노력을 통해 장애를 완전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