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가족상담 상담자의 역할"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가족상담과 치료
1.1. 가족 상담 및 치료가 필요한 가정의 모습
1.2. 가족 상담자의 역할
1.2.1. 교사로서의 역할
1.2.2. 위기조정자, 또는 조력자로서의 역할
1.2.3. 중재자로서의 역할
1.2.4. 객관적인 지각자로서의 역할
1.2.5. 환경조정자로서의 역할
1.2.6. 안내자로서의 역할
1.3. 보웬의 가족치료에서 치료자(상담자)의 역할
1.3.1. 배우자 관계를 규정하고 명확히 함
1.3.2. 가족정서체계의 삼각관계로부터 분화
1.3.3. 정서적 체계의 기능에 대한 교육
1.3.4. 자기 입장을 취하도록 함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가족상담과 치료
1.1. 가족 상담 및 치료가 필요한 가정의 모습
가족의 불화가 시작되는 지점을 살펴보면, 가족 내 갈등은 크게 세 가지 형태로 나타난다. 첫째, 부부 사이에서 발생하는 부부갈등이다. 외도 문제로 인한 신뢰 파괴, 맞벌이로 인한 자녀 양육과 가사 분담에서의 갈등 등이 부부갈등의 주요 원인이다. 둘째, 부모와 자녀 간에 발생하는 불화이다. 부모의 강압적이고 폭력적인 양육방식, 사춘기 자녀의 반항과 비행 등이 주된 원인이다. 셋째, 가족 전체에 걸쳐 나타나는 문제들이다. 고부갈등, 새로운 가족 구성원 간의 갈등, 가족 구성원의 예상치 못한 사망으로 인한 정서적 문제 등이 이에 해당한다. 이처럼 다양한 형태의 가족 내 갈등 속에서 가족 구성원 간 대화가 단절되고, 스트레스로 인한 일상생활의 어려움이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이러한 가정에는 공통적으로 가족 관계에 있어 갈등이 발생한 구성원들 사이에 대화가 단절되어 있고, 일상생활에 큰 영향을 미치는 스트레스를 겪고 있다는 특징이 있다. 가족 내에서는 신체적, 정신적, 경제적 폭력이나 학대도 만연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가정은 가족 상담 및 치료가 절실히 필요한 상황이라고 할 수 있다.
1.2. 가족 상담자의 역할
1.2.1. 교사로서의 역할
교사로서의 역할은 가족상담에서 매우 중요하면서도 우선시되어야 하는 역할이다. 상담자는 교사와 마찬가지로 가족들로 하여금 가족 내에서 일어나고 있는 사건을 객관적인 관점에서 바라보고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다. 상담과정을 통해 정보를 제공하고 가족 구성원들이 학습할 수 있는 적절한 시기를 조정해야 한다.
상담자는 가족이 확인한 평가 부분만을 가지고 의견을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가족 구성원들이 정서적·지적으로 자신들의 체계를 인식하고 이해하는 법을 배울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를 통해 가족들이 고통을 유발하는 행동방식을 깨닫고, 이를 변화시키는 데 필요한 도구를 얻을 수 있도록 교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담자는 단순히 정보를 제공하는 차원을 넘어 가족 구성원들이 스스로 자신들의 상황을 인식하고 변화할 수 있도록 이끌어주는 교사로서의 역할을 해야 하는 것이다.
1.2.2. 위기조정자, 또는 조력자로서의 역할
위기조정자, 또는 조력자로서의 역할은 내담가족이 위기에 ...
참고 자료
가족기능화 상담 모형 관한 연구. 김선남. 한국상담학회. 2005
가족관계 / 김정옥, 박귀영 외 3명 저 / 양서원 / 2012
가족관계론 / 김익균, 고선옥 외 3명 저/ 정민사 / 2012
현대 가족관계학 / 이영숙, 박경란 저 / 신정 / 2010
가족치료 / 이영실, 이현우 외 3명 저 / 양서원 / 2017
가족학이론 : 관점과 쟁점 / 유계숙 외 저 / 하우 / 2013
현대사회와 가정 / 허혜경, 박인숙 외 1명 저 / 동문사 / 2017
가족생활교육 / 정현숙 저 / 신정 / 2016
가족과 젠더 / 정영애, 장화경 저 / 교문사 / 2010
가족관계 / 김정옥, 박귀영 외 3명 저 / 양서원 / 2012
가족관계론 / 김익균, 고선옥 외 3명 저/ 정민사 / 2012
현대 가족관계학 / 이영숙, 박경란 저 / 신정 / 2010
가족문제와 복지 / 이영숙, 박경란 외 1명 저 / 신정 / 2008
가족치료 / 이영실, 이현우 외 3명 저 / 양서원 / 2017
가족학이론 : 관점과 쟁점 / 유계숙 외 저 / 하우 / 2013
현대사회와 가정 / 허혜경, 박인숙 외 1명 저 / 동문사 / 2017
가족생활교육 / 정현숙 저 / 신정 / 2016
가족, 사랑하는 법 / 선혜연 저 / 사계절 / 2018
가족과 젠더 / 정영애, 장화경 저 / 교문사 /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