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유산의 정의와 특징
유산(abortion)은 태아가 생존능력을 갖기 전에 임신이 종결되는 것을 의미한다. 태아의 몸무게는 500g 미만이거나, 재태기간이 20주 이하일 때를 유산으로 정의한다. 이는 생존력의 시점을 20주로 간주한 것이다. 유산에는 자연적인 원인에 의해 초래되는 자연유산, 의학적 이유로 의도적으로 임신을 중단시키는 치료적 유산과 개인적 이유로 시행되는 선택적 유산이 있다. 생존의 결정범위에 따르면 유산(abortion)은 체중이 500g 미만, 태아 신장 25cm 이하인 경우이고, 미숙아(immature)는 임신 24주 이전에 출생한 경우로 출생 시 체중이 500~999g, 조산아(premature)는 1000~2499g 체중인 경우를 말한다. 따라서 체중만으로 결정하기 어려우므로 신장과 발육 정도를 종합적으로 살펴봐야 한다.
1.2. 유산의 원인
자연유산의 빈도는 임신의 약 10~15%로 추정된다. 유산의 80% 이상은 임신 12주 전에 일어나는데, 임신 초기 유산의 주요 원인은 태아의 염색체 이상이다. 이는 수정란의 염색체 이상에 의한 발생으로 주로 6~8주 사이 유산된다. 또한 배아가 없는 경우(Blighted ovum)도 많으며, 이런 경우 약 25%로 비정상적인 염색체에 의해 발생된다.
임신 초기에 자궁내막에 이상이 있으면 착상이 잘 되지 않으며, 자궁내막이 진행기의 발육이 좋지 않은 경우에도 유산의 원인이 된다. 또한 모체의 영양 부족, 바이러스성 전염병, 내분비계 이상 등 태아 성장에 장애를 주는 모체 질병도 유산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자궁경관 무력증과 자궁내 기형 등의 해부학적 이상 또한 유산의 주요 원인이다. 그 외에도 과도한 자궁 확장, 정신적 충격 등도 유산을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자연유산의 주된 원인은 태아나 모체 관련 요인으로, 염색체 이상, 자궁내막 문제, 모체 질병, 해부학적 문제 등이 있다. 이러한 원인들로 인해 임신 초기 많은 유산이 발생하며, 보다 나은 예방과 관리를 위해서는 이들 요인에 대한 이해와 대응이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1.3. 유산의 분류
자연유산에는 절박유산, 불가피유산, 불완전유산, 완전유산, 계류유산, 습관성 유산, 패혈성 유산 등이 있다""
절박유산(threatened abortion)은 유산의 증세가 있으나 임신이 계속 유지될 가능성도 있는 상태이다. 소량의 출혈과 하부요통을 동반할 수 있으나, 자궁경관은 닫혀있다. 대부분의 경우 출혈이 멎고 임신이 유지될 수 있다""
불가피유산(inevitable abortion)은 유산 중이면서 태아가 아직 나오지 않은 상태이다. 출혈량이 많고 진통이 심해지며, 자궁경관이 열리고 있는 상태이다. 이 경우 즉시 수술적 처치가 필요하다""
불완전유산(incomplete abortion)은 태아는 만출되었으나 일부 부속물이 남아있는 상태이다. 출혈이 지속되고 통증이 있으며, 자궁경관이 아직 완전히 닫혀있지 않다. 이때도 수술적 처치가 필요하다""
완전유산(complete abortion)은 태아와 부속물 전체가 배출된 상태이다. 출혈과 통증이 멎고 자궁경관이 닫혀있으며, 더 이상의 처치가 필요하지 않다""
계류유산(missed abortion)은 태아가 사망했으나 자궁 내에 남아있는 상태이다. 임신 증상이 없어지고 태아 심박동이 들리지 않으며, 자궁 크기가 작아지는 특징이 있다. 이 경우 자연적으로 배출되거나 약물 또는 수술적 처치가 필요할 수 있다""
습관성 유산(habitual abortion)은 3회 이상 연속으로 유산되는 것을 말한다. 원인은 주로 염색체 이상으로 알려져 있으며, 치료와 관리를 통해 다음 임신에서 성공률을 높일 수 있다""
패혈성 유산(septic abortion)은 유산 후 발생하는 감염으로, 고열과 패혈증 증상이 나타난다. 즉각적인 항생제 투여와 수술적 처치가 필요하다""
2. 본론
2.1. 자연유산
2.1.1. 절박유산
절박유산(threatened abortion)은 유산의 증세가 있으나 임신이 계속 유지될 가능성도 있는 상태이다. 임신 초기에 나타나는 증상으로는 소량의 출혈과 경한 자궁수축이 있다. 출혈은 때로는 빨갛거나 까맣게 나올 수 있는데, 처음부터 까맣게 나오면 예후가 더 좋지 않다. 또한 허리와 아랫배가 약간 아프기도 한다. 자궁 크기는 월경기간과 동일하며, 자궁경관은 닫혀 있다.
이러한 절박유산의 경우, 조산이나 저체중아 분만의 위험이 증가한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간호사는 소량의 출혈이라도 임신 중 출혈이 있을 때는 의사에게 즉시 알려야 한다. 왜냐하면 자궁외 임신인지 감별진단을 해야 하기 때문이다. 또한 내진이나 하제 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