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주제 : “인간이라는 존재는 사회관계 속에서 살아가며 그 때문에 공공선을 추구하는 공동체적 삶을 살아야 한다.” 라는 말에 관하여 11주차 강의내용을 정리하고, 학습자의 경험이나 실 생활등에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주관적으로 서술 하시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2.1. 인간의 공동체적 삶
2.1.1. 아리스토텔레스의 관점
2.1.2. 교육에서의 공동체의식
2.1.3. 공동체의식의 철학적 근거
2.1.4. 공동체의 역사적, 사상적 배경
2.1.5. 공동체를 위협하는 요인들
2.1.6. 대안 공동체 운동
2.2. 실생활에의 적용
2.2.1. 민주주의 사회에서 법을 지키며 살아가기
2.2.2. 가족 공동체 내에서의 조화로운 삶
2.2.3. 자녀 양육과 공동체 의식
3. 결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인간이라는 존재는 누구나 주위 사람들과 뒤섞여 살아간다. 이들은 홀로 살아갈 수 없는 존재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혹여 30일간 그 누구와 대화 한마디 없이 살아간다면 이들은 그 이후 실어증에 걸리며 각종 정신 질환에 시달리게 된다. 그 정도로 인간은 사회적 동물인 것이다. 사회 속에서 살아가며 공동체를 구성하며 공동체 속에서 살아가며 이들은 화목함을 도모하며 안도하게 된다. 이들이 느끼는 소속의 욕구는 생리적 욕구만큼이나 강인한데 이는 매슬로우의 욕구 5단계 중 3단계인 소속의 욕구를 말하는 것이기도 하다. 아무쪼록, 나는 이런 인간의 공동체적 삶에 대한 욕구에 관해 지금부터 11주 차 강의내용을 정리하며 내 경우를 우선으로 내 의견을 서술해보고자 한다.
2. 본론
2.1. 인간의 공동체적 삶
2.1.1. 아리스토텔레스의 관점
아리스토텔레스는 "인간은 사회적 동물(political animal)"이라고 주장했다. 그에 따르면 인간은 본성적으로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살아가는 존재이며, 개인의 삶은 사회적 관계 속에서 이루어진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인간이 사회적 관계 속에서 상호작용하며 공동체를 이루어 살아가는 것이 가장 자연스럽고 바람직한 삶의 형태라고 보았다.
인간은 홀로서는 살아갈 수 없으며 필연적으로 다른 사람들과 관계를 맺게 된다. 아리스토텔레스에 따르면 인간은 가족, 마을, 도시국가 등 다양한 수준의 공동체에 소속되어 살아가며, 이를 통해 자신의 정체성을 형성하고 자아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타인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공동체의 이익을 위해 노력하고 덕성을 함양하게 된다. 이처럼 아리스토텔레스는 인간이 본질적으로 사회적 존재라고 보았으며, 공동체 속에서 더욱 풍요롭고 행복한 삶을 살 수 있다고 주장했다.
2.1.2. 교육에서의 공동체의식
교육에서의 공동체의식이란 교육을 통해 구성원들이 공동체 의식을 함양하고, 이를 바탕으로 더욱 조화로운 공동체를 형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인디언의 교육과 핀란드의 교육은 이러한 공동체의식을 기반으로 한다고 볼 수 있다. 인디언 교육에서는 개인의 발전보다는 공동체의 발전을 우선으로 하며, 협력과 배려를 강조한다. 핀란드 교육 또한 개인의 성취보다는 공동체 전체의 균형 잡힌 발전을 추구한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자연스럽게 공동체 의식을 내면화하게 된다.
누스바움 역시 학교는 시장이 아니며, 갈등과 대립을 대화와 소통을 통해 해결해나가는 공간이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시민사회의 일원으로서 자신의 권리를 요구하...
참고 자료
행복한 가족관계 위한 자녀이해 연구 - 알프레드 아들러 개인심리학의 관점을 중심으로 --2015, 윤경숙, 학술논문-
가족, 사회, 그리고 평화적 변화-2016, 이용수, 학술논문-
사회. 두산백과. http://www.doopedia.co.kr
공동체. 한국민족문화대백과 http://encykorea.aks.ac.kr/
교안, 성찰의인문학
최병두 저, 삶의 질로서 공간의 유형화와 공동체, 대한지리학회, 321~340, 2000
정성훈, 현대 도시의 삶에서-친한 공동체의 의의, 서울대학교사상연구소,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