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브룸의 기대이론 개념 분석"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동기부여이론
1.1. 아담스의 형평성(공평성) 이론
1.2. 브룸의 기대이론
1.2.1. 1차 및 2차 수준결과
1.2.2. 유인성(유의성)
1.2.3. 수단성
1.2.4. 기대감
1.2.5. 힘(동기부여)
1.2.6. 능력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동기부여이론
1.1. 아담스의 형평성(공평성) 이론
아담스의 형평성(공평성) 이론은 개인이 자신의 투입 대비 산출의 비율이 타인과 비교하여 공평하지 않다고 인지하면 동기부여가 감소한다는 이론이다.
구체적으로 아담스의 형평성이론(equity theory)은 사회적 비교이론에 기초를 두고, 개인이 받는 보상(산출)과 자신이 기울인 노력(투입) 사이에서 차이가 있다고 판단되면 이러한 차이를 줄이려는 동기가 생긴다고 설명한다. 조직의 구성원들은 자신의 공헌에 대한 정당하고 공평한 대가를 바라게 되며, 그 공정성의 기준은 자신이 받은 보상만을 보는 절대적 기준이 아니라 다른 사람들의 것과 비교하여 판단하는 상대적 기준이다.
즉, 형평성이론은 사람들이 인지하는 형평성이 동기에 영향을 미친다고 보는 이론이다. 비교를 통해 자신이 받은 보상이 적다고 판단되거나 노력을 덜 투입한 동료와 동등한 보상을 받았다고 판단하면 노력을 줄이는 방향으로 부정적 동기화가 이루어진다. 반대로 다른 사람들의 보상보다 크다고 인식되면 긍정적으로 동기화된다.
형평성을 추구하는 방법으로는 자신의 투입이나 산출을 조정하거나 준거 인물을 조정하고 극단적으로 조직을 이동하는 방법, 타인과 보상이 동등하다고 판단을 다시 하는 방법 등이 있다. 이를 통해 조직은 공정한 보상시스템을 구축하고 구성원들의 형평성 인지를 높여야 한다.
1.2. 브룸의 기대이론
1.2.1. 1차 및 2차 수준결과
브룸의 기대이론에서 1차 및 2차 수준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1차 수준결과(first level outcomes)는 "일 자체와 관련된 것"으로 직무성과, 생산성 등이 포함된다. 이는 조직의 목표와 관련된다. 반면 2차 수준결과(second level outcomes)는 "1차 수준결과에 대한 보상"으로서 금전, 승진, 인정 등과 같은 것이다. 여기서 2차 수준결과는 개인의 목표와 관련이 있다.""
즉, 1차 수준결과는 개인이...
참고 자료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조직이론과 설계 : Richard L. Daft 저 / 김광점 역 / 한경사 / 2016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인간관계와 의사소통의 실제 / 이광자 저 / 신광출판사 / 2019
조직문화 통찰 : 김성준 저 / 클라우드 나인 / 2019
조직문화가 전략을 살린다 : 안근용, 조원규 외 1명 저 / 플랜비디자인 / 2019
인간관계 심리학 / 김종운 저 / 학지사 / 2017
인간관계와 의사소통 / 안효자 저 / 수문사 / 2018
조직문화가 경쟁력이다 : 로저 코너스, 톰 스미스 저 / 서상태 역 / 2013
인간관계와 커뮤니케이션 / 도복늠 저 / 정담미디어 / 2016
학습하는 조직 : 피터 센게 저 / 강혜정 역 / 에이지21 / 2014
교육심리학 : 학습심리학 / 이웅 저 / 한국교육기획 / 2009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발달심리학 / 곽금주 저 / 학지사 / 2016
심리학개론 / 이명랑 저 / 더배움 / 2017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상담심리학 / 이수연 저 / 양성원 / 2017
성격심리학 / 권석만 저 / 학지사 / 2017
학습하는 조직 : 피터 센게 저 / 강혜정 역 / 에이지21 / 2014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