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상업문화"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20세기 후반 중국의 국학과 전통문화
1.1. 새롭게 조명된 배경
1.2. 정치적 전용 양상
1.3. 상업적 전용 양상
2. 20세기 후반 중화주의의 발현 양상
2.1. 중화주의의 의미
2.2. 역사문화공정
2.3. 중국몽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20세기 후반 중국의 국학과 전통문화
1.1. 새롭게 조명된 배경
20세기 후반 중국의 국학과 전통문화가 새롭게 조명된 배경은 다음과 같다.
중국은 20세기 전반에 걸쳐 서구문명과 사회주의 이념의 영향 아래 전통문화와 국학을 배격하고 이를 타파하고자 하였다. 특히 마오쩌둥 시기에는 유교와 같은 전통을 낙후된 것으로 보고 문화대혁명을 통해 전통문화를 말살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개혁개방 이후 1980년대에 들어서면서 서구 자본주의와 자유주의 사상이 유입되었고, 이로 인해 중국 사회 내부에 분열이 일어나게 되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중국 당국은 전통문화와 국학을 새롭게 조명하게 되었는데,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마르크스주의와 서구 문명에 대한 실망감이 팽배해지면서 중국 지식인들이 자국의 전통문화와 국학에 눈을 돌리게 되었다. 둘째, 개혁개방에 따른 사회 분열을 극복하고 중국인들을 하나로 묶어낼 수 있는 새로운 이념적 대안이 필요했다. 셋째, 세계질서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해 중국은 전통문화와 국학을 활용하고자 하였다. 즉, 전통문화와 국학은 중국인들을 응집할 수 있는 강력한 '도구'였고, 이를 바탕으로 서구 문명과 접목시켜 국가경쟁력을 높이고자 하였던 것이다.
이에 따라 1990년대부터 중국 정부는 국학연구 진흥정책을 펼치고 유학과 같은 국학에 대한 관심을 증대시켰다. 이를 통해 중국은 전통문화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형성하고, 나아가 서구 문화와의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고자 하였다.
1.2. 정치적 전용 양상
중국 정부는 국학과 전통문화의 부흥을 통해 정치적 목적을 달성하고자 노력해왔다. 1990년대부...
참고 자료
경향신문 [중국의 ‘대국’ 이데올로기, 천안문의 집단 기억을 ‘획일화’하다]
한문화타임즈 [중국은 왜 역사공정을 계속할까?]
차이나 저널 [다원화시대에 들어선 중국문화 이해하기]
전인갑. (2013). ‘중국몽(中國夢)’과 문화주의 전통. 철학과 현실, (), 95-108.
스카이데일리 [“신제국주의 ‘중화(中華) 중국몽’은 중국의 악몽이다”]
다원화 시대에 들어선 중국문화 이해하기, China Journal, 2009.3.
천성림, 20세기 중국 민족주의의 형성과 전개, 동양정치사상사 제5권 제1호, 2006.3.
전인갑, 현대 중국의 문화보수주의와 '중국적 보편'의 재구성, 인천대학교,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