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혈액형의 종류와 이해
1.1. A, B, O 혈액형
A, B, O 혈액형이란 ABO식 혈액형의 3가지 기본 혈액형이다. ABO식 혈액형은 적혈구 표면에 존재하는 A, B 항원에 따라 구분되며, A형, B형, AB형, O형의 4가지 혈액형으로 나뉜다.
A형은 적혈구에 A 항원이 있고, 혈청에는 B 응집소가 존재한다. B형은 적혈구에 B 항원이 있고, 혈청에는 A 응집소가 존재한다. AB형은 적혈구에 A, B 항원이 모두 존재하고, 혈청에는 응집소가 없다. O형은 적혈구에 A, B 항원이 없고, 혈청에는 A, B 응집소가 모두 존재한다.
A, B, O 혈액형의 항원과 응집소 관계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A형은 적혈구 항원 A와 혈청 응집소 β를 가지며, B형은 적혈구 항원 B와 혈청 응집소 α를 가진다. AB형은 적혈구 항원 A와 B를 모두 가지나 혈청 응집소는 없다. O형은 적혈구 항원이 없고 혈청에 응집소 α와 β를 모두 가지고 있다. 이러한 ABO식 혈액형의 항원-항체 관계는 수혈이나 임신 시 수혈 부작용이나 적아세포증 등의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1.2. 혈액형의 종류
혈액형의 종류는 ABO식과 Rh식으로 크게 구분되며, 이외에도 다양한 희귀 혈액형이 존재한다.
ABO식 혈액형은 A형, B형, AB형, O형의 4가지로 구분되는데, 이는 적혈구 표면에 존재하는 A, B 항원의 유무에 따라 결정된다. A형은 A 항원만, B형은 B 항원만, AB형은 A, B 항원 모두, O형은 A, B 항원이 없다. 이와 함께 혈청 내에는 A, B 항체가 존재하여, A형에는 B 항체, B형에는 A 항체, O형에는 A, B 항체가 있다.
Rh식 혈액형은 D 항원의 유무에 따라 Rh+ 와 Rh- 로 구분된다. Rh+ 는 D 항원이 있고, Rh- 는 D 항원이 없다. Rh 혈액형은 임신과 관련하여 중요한데, Rh- 산모가 Rh+ 태아의 혈액에 노출되면 Rh 항체가 생겨 향후 Rh+ 태아에 용혈성 질환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이다.
ABO식과 Rh식 외에도 다양한 희귀 혈액형이 존재한다. 봄베이 O형은 A, B 항원이 결여된 경우이며, cis-AB 혈액형은 A, B 유전자가 한쪽 염색체에 몰려있는 경우다. 밀텐버거 혈액형은 태국, 대만, 홍콩 등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흔하며 신생아 용혈성 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 Weak A 또는 Weak B형은 적혈구 표면의 A, B 항원 수가 적은 경우이다. Rh null 혈액형은 C, D, E 항원이 모두 없는 경우로, 타인의 혈액을 수혈받을 수 있지만 자신은 Rh null 혈액만 수혈받을 수 있다.
이처럼 혈액형은 다양한 종류가 존재하며, 그 중에서 ABO식과 Rh식이 가장 중요하다. 하지만 드물지만 다른 희귀 혈액형들도 수혈이나 임신 시 문제를 일으킬 수 있어 관심을 가져야 한다.
1.3. 돌연변이 혈액형 종류
돌연변이 혈액형 종류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봄베이 O형은 A형 또는 B형 '유전자'를 가지고 있지만 적혈구에 A형 또는 B형 '항원'이 없는 경우로, 어떤 응집소와도 엉기지 않는다. 따라서 유전자형은 A 또는 B형이지만 표현형은 O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