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에어로빅
1.1. 에어로빅의 정의와 개념
에어로빅은 "산소를 이용한다"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하지만 이는 과거에 정의되었던 빈곤한 개념에 불과하다. 에어로빅 운동은 산소이용능력을 증진시켜 신체의 요구에 따라 오랫동안 활동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데 필요한 산소를 요구하는 행동을 말한다. 즉, 체내에 끊임없이 산소를 공급하여 심장과 폐의 기능을 자극하고 혈관조직을 강화하며 전반적인 신체기능을 촉진시켜주는 모든 유산소 운동을 의미한다. 이를 포괄적으로 "에어로빅스"라고 표현한다. 에어로빅에는 걷기, 달리기, 수영, 자전거 타기, 줄넘기 등의 기본 운동과 테니스, 스키, 아이스 스케이팅, 배구, 농구, 조정 등의 스포츠 경기가 포함된다. 또한 에어로빅 댄스는 에어로빅 운동과 같은 취지로 경쾌한 음악에 맞춰 춤을 추면서 에어로빅 효과를 얻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에어로빅의 개념은 내과의사 케네스 H. 쿠퍼에 의해 처음 제창되었다. 쿠퍼는 상이한 연령집단에 맞는 다양한 에어로빅 운동의 효용성을 등급화한 점수표를 사용하여 에어로빅을 체계화했다. 이를 통해 에어로빅을 하는 사람들은 자신들의 운동 개선 상태를 측정할 수 있게 되었다.
1.2. 에어로빅의 역사
에어로빅의 역사는 1960년대 미국에서 시작되었다. 당시 의사이자 생리학자였던 케네스 H. 쿠퍼(Kenneth H. Cooper)는 본격적으로 에어로빅을 알렸다. 쿠퍼는 그의 저서 "에어로빅(Aerobics)"을 통해 에어로빅 운동의 개념과 중요성을 대중에게 소개했다. 그는 에어로빅이 심폐기능 향상에 효과적이라고 주장하면서, 특정 심박수 범위 내에서 20분 이상 지속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1970년대에 들어서면서 에어로빅은 미국에서 큰 인기를 얻기 시작했다. 이 시기에 자신만의 에어로빅 프로그램을 개발해 선보인 자니 G.밀러와 같은 강사들이 주목받았다. 이들은 음악과 함께하는 안무 동작을 가미하여 에어로빅을 더욱 흥미롭게 만들었다. 또한 에어로빅 특유의 헤어밴드와 몸에 딱 붙는 옷들이 유행하면서 에어로빅의 대중화를 이끌었다.
1980년대에는 에어로빅이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었다. 특히 미국과 유럽에서 에어로빅 붐이 일면서 관련 산업이 급성장했다. 각종 에어로빅 대회와 에어로빅 인터내셔널 대회 등이 개최되었고, 에어로빅 인스트럭터 양성 프로그램도 생겨났다. 이후 1990년대에는 다양한 종류의 에어로빅 프로그램이 등장했는데, 대표적으로 스텝 에어로빅, 아쿠아로빅, 복싱 에어로빅 등이 있다.
2000년대에 접어들면서 에어로빅은 보다 세분화되었고, 댄스와 융합된 형태의 에어로빅이 등장했다. 2010년대 이후에는 체중 관리와 건강 증진을 위한 수단으로 에어로빅이 각광받으면서, 새로운 트렌드들이 지속해서 개발되고 있다. 현재 에어로빅은 단순한 유산소 운동을 넘어 전신 운동으로 자리 잡으며, 다양한 형태로 진화하고 있다.
1.3. 에어로빅의 종류
1.3.1. 밴드 에어로빅
밴드 에어로빅은 주로 수축성이 있는 탄력적인 고무 끈을 사용하여 실시하는 운동이다. 밴드의 사용이 용이하고 신체 어느 부위를 사용해도 운동이 가능하다는 점이 장점이다. 또한 난이도도 쉬운 편에 속해 많은 사람들에게 널리 알려져 있다. 밴드의 탄력을 이용하여 상체와 하체를 동시에 강화할 수 있으며, 특히 상체 근육 강화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밴드 에어로빅은 기구를 이용하면서도 동작이 비교적 간단해 운동 초보자들도 쉽게 따라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밴드 에어로빅은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어디서든 할 수 있어 편리성도 높다. 이처럼 밴드 에어로빅은 효과적인 근력 강화와 함께 접근성 및 편의성이 뛰어나 많은 이들에게 사랑받는 에어로빅 종목이다.
1.3.2. 바 에어로빅
바 에어로빅은 봉을 이용한 에어로빅 운동이다. 주로 팔의 근력을 이용하여 실시하지만, 봉의 무게에 따라 운동 방법이나 강도, 사용 부위가 달라진다. 바 에어로빅은 에어로빅 운동에서 실시하지 못하는 근력 운동에 이용될 수 있다.
봉은 에어로빅 운동에서 팔의 근력을 강화시키는 데 활용된다. 봉의 무게에 따라 팔을 들어올리거나 앞으로 뻗는 등의 동작을 통해 팔의 근육을 효과적으로 운동할 수 있다. 또한 팔뿐만 아니라 가슴, 어깨, 등 상체 전반의 근력도 강화할 수 있다. 바 에어로빅은 리듬감 있는 음악에 맞춰 이루어지므로, 신체 전체의 균형잡힌 발달을 도모할 수 있다.
특히 바 에어로빅은 에어로빅 운동에서 실시하기 어려운 근력 운동을 보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에어로빅 운동이 주로 유산소 운동에 초점을 맞추는 반면, 바 에어로빅은 봉의 무게를 이용한 근력 강화에 특화되어 있다. 따라서 두 운동을 병행하면 근력과 지구력을 골고루 향상시킬 수 있다.
바 에어로빅은 기구를 사용한다는 점에서 일반 에어로빅보다 조금 더 전문적인 기술이 요구된다. 하지만 난이도가 높지 않아 초보자도 쉽게 따라할 수 있다. 기구 사용에 익숙해지면 점차 더 복잡한 동작을 시도해볼 수 있다. 이처럼 바 에어로빅은 에어로빅 운동의 한계를 보완하고 운동의 다양성을 높일 수 있는 유용한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1.3.3. 덤벨 에어로빅
덤벨 에어로빅은 여러 중량의 아령을 사용하여 실시하는 운동이다. 기구의 사용이 용이하고 팔의 전완과 상완을 이용하여 각 주요 부위를 효과적으로 강화할 수 있으므로,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이용되는 기구 에어로빅 중 하나이다.
덤벨 에어로빅은 근력 운동의 성격과 유산소 운동의 성격을 모두 갖추고 있다. 덤벨을 이용하여 팔, 어깨, 등, 가슴 등의 근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격렬한 상체 움직임을 통해 심폐 지구력 향상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스텝 동작을 병행하여 하체 근력과 균형감각 향상에도 효과적이다.
특히 덤벨 에어로빅은 개인의 체력 수준에 따라 덤벨의 중량을 조절할 수 있어 다양한 연령층과 체력 수준의 사람들이 참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무게가 다른 여러 개의 덤벨을 준비하여 동작을 수행하면서 점진적으로 무게를 늘려나갈 수 있다. 이를 통해 신체 각 부위의 근력을 단계적으로 강화할 수 있다.
또한 덤벨 에어로빅은 꾸준한 음악 리듬에 맞춰 동작을 수행하므로 운동의 지루함을 덜어주고 재미와 흥미를 더할 수 있다. 특히 최근에는 K-pop 음악과 결합한 덤벨 에어로빅 프로그램이 인기를 끌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