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사회 간호과정 자료수집

  • 1
  • 2
  • 3
  • 4
  • 5
  • 6
  • 7
  • 8
  • 9
>

상세정보

소개글

"지역사회 간호과정 자료수집"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지역사회 자료수집
2.1. 지역적 특성
2.2. 인구학적 특성
2.3. 환경적 특성
2.4. 건강상태
2.5. 지역사회 자원

3. 지역사회 간호사정
3.1. 분류단계
3.2. 요약단계
3.3. 확인단계
3.4. 결론단계

4. 지역사회 간호진단

5. 지역사회 간호계획

6. 지역사회 간호수행

7. 지역사회 간호평가

8. 결론

9.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지역사회간호과정은 지역사회간호활동이 효과적인 간호행위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하기 위한 대상자 중심의 문제해결과정이다. 개인을 대상으로 하는 간호과정과는 같지만 지역사회는 좀 더 포괄적이고 집단을 대상으로 한 프로그램 방식이 이루어진다. 경기도 남양주시를 지역으로 선정하고 그 곳의 간호문제를 도출하여 건강문제와 건강요구를 사정하여 진단하고 프로그램을 만들어 대상자가 더 나은 삶을 살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간호과정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지역사회 간호 실무에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2. 지역사회 자료수집
2.1. 지역적 특성

서울의 동남쪽에 위치한 송파구는 13개의 법정동과 27개의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북쪽으로는 한강을 경계로 광진구와 접하고, 서쪽으로는 탄천을 경계로 강남구와 인접해 있다. 동쪽으로는 강동구 및 남한산성을 배경으로 경기도 하남시와 남쪽으로는 경기도 성남시와 인접해 있는 지리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송파구의 총 면적은 33.8㎢이며, 면적당 인구 밀도는 19,729명/㎢로 서울시 평균 인구 밀도인 17,255명/㎢ 보다 높은 수준이다. 송파구는 크게 잠실, 방이동, 신천동, 가락동 등 다양한 지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요 교통축이 잘 발달되어 있는 편이다. 올림픽로, 양재대로, 송파대로, 위례성대로, 강동대로 등 서울 내에서도 손꼽히는 넓은 도로들이 주요 간선축 역할을 하고 있으며, 이를 보조하는 지선 도로망 또한 체계적으로 구축되어 있다. 또한 2호선, 5호선, 8호선, 9호선, 3호선 등 다양한 지하철 노선이 지나가고 있어 전반적인 교통편의성이 높은 편이다. 다만 마을버스가 운행되지 않고 있어 일부 교통 소외 지역이 존재하며, 이에 대한 개선 방안이 2019년 말부터 검토되고 있다. 그 외에도 송파구 내에는 한강, 성내천, 탄천 등 다양한 수변공간과 석촌호수, 올림픽공원, 아시아공원 등 대규모 공원 및 녹지공간이 위치하고 있어 쾌적한 환경을 갖추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종합적으로 송파구는 서울의 동남부에 위치한 규모 있는 도시로, 교통 인프라와 자연환경이 양호한 편이라고 할 수 있다.


2.2. 인구학적 특성

남양주시의 인구학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2019년 9월 기준으로 274,459세대 총 699,326명으로 이는 경기도 31개 시·군 중 7번째로 인구가 많은 시이다. 연령대별로 보면 41~50세가 128,590명으로 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는 51~60세가 110,028명으로 많아 40~60대의 장년층의 인구가 많은 도시형 분포를 보인다. 2018년 남양주시 노인인구의 비율은 12.71%로 경기도 노인인구비율보다 0.84%높다. 2016년부터 해마다 노인인구는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 남양주시의 노인인구 증감률은 2017년에 비해 2018년 12.28에서 12.71로 0.43% 증가하였다. 또한 출생률보다 사망률이 4.8배정도 높으며, 전입율이 전출율보다 0.2배정도 높다. 가구 당 2.6명이 거주하며 경기도 인구의 4.5%가 거주하고 있다. 65세 이상 인구가 꾸준히 증가하며 고령화 사회로 옮겨가고 있다."


2.3. 환경적 특성

송파구의 환경적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송파구는 한강을 비롯하여 성내천, 탄천의 수변과 공간을 가지고 있으며, 석촌호수, 올림픽공원, 오금공원, 아시아 공원 등의 다양한 녹지 공간을 보유하고 있다. 면적대비 공원 부지 비율은 4.68㎢(13.8%)이며, 녹지 부지 비율은 9.79㎢(28.8%)로 서울시 평균보다 높은 편이다.

한편, 질병관리청의 지역사회 건강조사 건강프로파일에 따르면 송파구의 지역 안전 등급 중 범죄는 3등급, 교통은 4등급으로 평가되었다. 3등급의 범죄 부문과 관련하여 송파구의 강력범죄 지표가 인접 구역인 강동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편임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송파구의 2020년 절도 건수는 2,431건으로 강동구의 1,636건에 비해 795건이 많았고, 살인 8건, 강도 13건, 방화 9건, 성폭력 414건 등으로 강동구에 비해 2배 가까이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송파구 지역주민의 안전을 위한 대책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4등급을 받은 교통 분야와 관련하여, 송파구에는 마을버스가 운행되지 않고 주로 지하철과 지선버스가 주민들의 교통수단을 담당하고 있다. 이는 타 자치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교통 편의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2019년 말부터 송파구청에서는 마을버스 신설을 추진하고 있어 이를 통해 교통 소외지역과 지하철역을 연결하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볼 수 있다.

한편, 송파구의 환경적 요인 중 미세먼지(PM10) 기준 초과지역의 인구밀도가 20,114명/㎢로 서울시 평균 16,866명/㎢에 비해 높은 편이어서 대기오염 문제가 상대적으로 심각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주민 1인당 생활폐기물 배출량이 1.2kg으로 서울시 평균 1kg보다 많은 편이며, 송파구의 1일 1인당 급수량이 329L로 서울시 평...


참고 자료

남양주시청, “남양주시청”, https://www.nyj.go.kr/main/1 (2019.10.30.)
KOSIS 국가통계포털, “국가통계포털”, http://kosis.kr/index/index.do (2019.10.30.)
남양주 보건소, “남양주보건소”, https://www.nyj.go.kr/main/1671 (2019.10.22)
최선하 외 10명, 『21C 지역사회보건간호학, 신광출판사, 2018
2018년 제7회 남양주시 사회조사보고서
이상영, 우리나라 자살예방 대책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보건복지포럼,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지역사회보건간호학(Ⅱ)(주), 유광수 외 공저, 정담미디어
2020 지역사회건강통계- 서울-인제대 보건대-송파구
제6기_송파구_지역보건의료계획
제7기 지역보건의료계획 3차년도 시행계획
제7기 지역보건의료계획 1차년도(2019년) 시행계획
제7기 지역보건의료계획 1차년도 시행결과 및 2차년도 시행계획
https://blog.naver.com/shine126/222132192485 - 송파구 지역 위치 그림 출처
주민등록 인구통계 행정안전부 홈페이지
서울시 생활권계획 홈페이지 – 2030 서울생활권 계획
서울특별시 서울 열린데이터 광장
서울시 주거실태조사 통계보고서 – 2017년도 12월
https://kosis.kr/index/index.do
의료기관 시군구(서울, 인천, 경기, 강원)별 진료실적 현황 – 입원 [지역별의료이용통계, 국민건강보험공단]
https://safe.gen.go.kr/lecture.php?id=14&uk=2&lno=10&mode=lv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