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사회 간호과정

  • 1
  • 2
  • 3
  • 4
  • 5
  • 6
  • 7
  • 8
>
최초 생성일 2024.08.28
7,500원
AI자료를 구입 시 아래 자료도 다운로드 가능 합니다.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지역사회 간호과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지역사회 간호사정
2.1. 자료 사정 방법
2.2. 지리적 특성
2.3. 인구구조
2.4. 지역사회 간호사정 내용
2.5. 간호사가 확인해야 할 법적기준과 지침

3. 지역사회 간호진단

4. 지역사회 간호문제 우선순위

5. 지역사회 간호계획 목표설정

6. 간호 방법 및 수단

7. 수행 계획

8. 사업 추진 일정표

9. 평가계획

10. 결론

11.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강동구는 면적 24.58km2의 서울특별시 남동부에 위치해있는 행정구역이다. 앞서 학교에서는 지역사회간호학에 대한 이론적인 내용을 학습하였다면, 이번 실습은 스스로 지역사회 간호의 실무와 이론을 접목시켜 보는 기회를 가지는 것에 의의가 있다. 실습지역인 강동구의 전반적인 문제와 현황 등을 직접 파악하여 우선순위를 세우고, 가장 요구되는 사업에 대해 구체적으로 구상해볼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보고서에서 직접 강동구라는 지역사회에 대한 간호사업을 수립해보고자 한다.


2. 지역사회 간호사정
2.1. 자료 사정 방법

'자료 사정 방법'은 강동구의 전반적인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해 사용된 다양한 자료 수집 방법이다. 강동구 보건소 직원과의 면담, 지역 시찰, 그리고 강동구청 홈페이지와 통계자료 조사 등의 방법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먼저, 지역지도자 면담을 통해 보건소 직원들과 질문하고 대화를 나누어 강동구의 현황과 문제점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였다. 이를 통해 실제 현장의 생생한 정보를 파악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지역시찰을 실시하여 강동구 보건소와 주변 시설, 환경 상태, 교통, 문화시설 등을 직접 관찰하였다. 이를 통해 실제 지역사회의 물리적인 환경과 인프라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기존자료조사를 실시하였다. 강동구청 홈페이지에 게시된 행정구역도, 인구통계자료, 시민만족지수, 걷기 운동 실천율 등 다양한 통계자료와 강동구 보건소의 자료를 조사하였다. 이를 통해 정량적인 데이터를 확보하고 지역사회의 전반적인 현황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다각도의 자료 수집 방법을 통해 강동구의 지리적 특성, 인구구조, 건강 수준, 환경 특성, 교통 및 통신 공공시설, 오락 및 휴식 시설, 그리고 지역사회 자원 등 다양한 영역에 대한 정보를 종합적으로 수집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강동구의 구체적인 간호사정을 실시할 수 있었다.


2.2. 지리적 특성

'강동구'는, 24.58km2의 면적을 가지며 서울특별시의 남동부에 위치해있는 행정구역이다. 한강을 사이에 두고 북쪽을 구리시, 서쪽은 광진구와 마주하고 남서쪽에는 송파구, 낭동쪽으로는 경기도 하남시와 경계를 이룬다. 한강의 동쪽에 위치해 서 강동이라는 이름을 얻었다. 강동구의 지형은 북동부에 용마봉, 아차산 등의 산지가 솟아 있으며, 남동부 지역으로 갈수록 낮고 평탄한 모습을 보인다. 주요 교통로로는 상일IC, 올림픽대로, 중부고속도로 등이 있어 서울 동부의 교통요충지 역할을 하고 있다. 전체 면적 중 녹지가 44.3%를 차지하여 자연과 인간이 공존하는 건강한 생태도시로 평가받고 있다. 행정 구역은 18개의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2.3. 인구구조

강동구의 인구구조는 다음과 같다.

강동구의 전체 인구는 427,573명으로, 남자가 211,816명(49.5%), 여자가 215,757명(50.5%)이다. 연령별로는 0-9세가 31,791명(7.4%), 10-19세가 39,228명(9.2%), 20-29세가 58,212명(13.6%), 30-49세가 136,164명(31.8%), 50-64세가 103,509명(24.2%), 65세 이상이 58,669명(13.7%)이다.

따라서 강동구의 인구 구조는 별형으로, 30-49세의 생산연령층이 전체 인구의 약 50%를 차지하고 있다. 한편 총 부양비는 29.9%이며, 노년부양비는 12.8%, 노령화지수는 75.2%로 나타났다. 이는 노인 인구 비율이 점차 증가하고 있음을 보여주는데, 65세 이상 인구 비율이 2008년 7.2%에서 2013년 9.3%, 2016년 13.7%로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다.

이러한 강동구의 인구 구조와 특성은 노인 인구 증가와 함께 노년부양비 증가, 노령화 정도 심화 등의 현상을 보이고 있어, 향후 노인 대상 보건·복지 정책 수립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2.4. 지역사회 간호사정 내용

강동구의 지역사회 간호사정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리적 특성에 있어서 강동구는 서울특별시의 남동단에 위치한 행정구역이다. 구의 북동부에는 용마봉, 아차산 등의 산지가 솟아있으며, 남동부 지역으로 갈수록 평탄한 지형을 이루고 있다. 주요 교통시설로는 상일IC, 올림픽대로, 중부고속도로가 있으며, 전체 면적은 24.58km²로 그중 녹지가 44.3%를 차지하고 있어...


참고 자료

유광수 외, 『지역사회보건간호학』 , 정담미디어 (2016)
서울특별시 강동구 제6기 지역보건의료계획 (2015 ~ 2018)https://www.gangdong.go.kr/post/4000751346220621?currentPage=7&ap=B0007&bbsId=0007
강동구 보건소, http://health.gangdong.go.kr/web/portal/hlt.do
강동구 통계정보조회, http://stat.seoul.go.kr/host/gangdong/WWSDS8600.jsp
강동구청, http://www.gangdong.go.kr/web/portal/ko.do
2017년도 강동구 사회조사 보고서, http://www.gangdong.go.kr/post/41132513438106352
2014 서울시 치매관리사업 사업보고서
질병관리본부 / 지역사회 건강통계, https://chs.cdc.go.kr/chs/index.do
정운숙 외 공저, ‘보건사업 기획’, 정담미디어, 2008/03/05, p. 149~181, 295~327
삼성서울병원, ‘우울증 예방’, 우울증 센터, 질병상식-건강정보
박수현(영양사), ‘임신성 당뇨병의 식사요법’, 삼성서울병원, 삼성 당뇨 소식지Vol.248
군포시, ‘2016년 제 6회 군포시 사회조사 보고서’, 책나라 군포, 2016/12월
군포시, ‘군포소개’, 월별 인구 현황, 2017/12월
경기도 군포시 기본통계, ‘사망원인별 사망’, 통계청, 2016/11/30
통계청, ‘출생아수 및 조출생률(성/행정구역별)’,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7/0/30
유광수 외, 『지역사회보건간호학』 , 정담미디어 (2016)
서울특별시 강동구 제6기 지역보건의료계획 (2015 ~ 2018)https://www.gangdong.go.kr/post/4000751346220621?currentPage=7&ap=B0007&bbsId=0007
강동구 보건소, http://health.gangdong.go.kr/web/portal/hlt.do
강동구 통계정보조회, http://stat.seoul.go.kr/host/gangdong/WWSDS8600.jsp
강동구청, http://www.gangdong.go.kr/web/portal/ko.do
2017년도 강동구 사회조사 보고서,
http://www.gangdong.go.kr/post/41132513438106352
2014 서울시 치매관리사업 사업보고서
질병관리본부 / 지역사회 건강통계, https://chs.cdc.go.kr/chs/index.do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