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승무의유래"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우리나라 전통무용의 이해
1.1. 승무
1.1.1. 승무의 유래
1.1.2. 이매방류 승무의 형성과정
1.1.3. 이매방류 승무의 구성
1.2. 농악무
1.3. 한량무
1.4. 강강술래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우리나라 전통무용의 이해
1.1. 승무
1.1.1. 승무의 유래
승무는 우리나라 전통예술성의 정수를 드러내는 한국 전통춤이며, 예술적 가치를 인정받아 중요무형문화제 제27호로 지정된 한국의 민속춤이다. 우리나라의 민속춤은 제천의식에서 시작되는 것으로 유래를 파악하고 있다. 그러나 구전을 통해 전승되어온 만큼 정확한 창작 연대나 기원을 알기가 어렵고, 승무 역시 그 기원을 정확하게 꼽기 어렵다. 다만, 승무의 기원 논의에 있어 불교의식무 기원설, 민속무용 기원설, 기방 무용설 이 세 가지가 가장 유력한 설로 거론되고 있다.
첫째, 불교의식 기원설은 승무라는 명칭에서 알 수 있듯, 승(僧)은 불가의 승려를 지칭하는 것으로 승려들이 의식을 위하여 춘 춤이 승무(僧舞)라고 할 수 있다는 설이다. 불교의식무는 성문을 빌어 부처님의 공덕을 몸으로 표현하고 찬탄하는 신업공양(身業供養)이며 포교의 한 방법으로 일컬어진다. 고려시대 왕성했던 불교는 조선시대 숭유억불 정책을 인하여 민속춤의 하나로 전승되며 현재까지 이어오게 되었다는 것이다.
1.1.2. 이매방류 승무의 형성과정
이매방류 승무의 형성과정은 다음과 같다.
승무의 정확한 기원에 대해서는 확인하기 어렵지만 오랜 세월의 형성과정을 거치며 전승되면서 승무는 지역별로 계승자가 나뉘면서 중부류 승무는 한성준으로부터 한영숙으로 전승되었고, 호남류 승무는 이대조로부터 이매방으로 전해지면서 현재 승무는 이 두 부류로 구분되고 있다.
이매방의 본명은 규태, 1927년 5월 5일 전남 목포에서 태어났다. 매방이라는 이름은 중국 경극 배우 매란방에서 따온 예명이다. 어릴 때부터 예기들의 가무, 입춤, 굿거리를 볼 수 있는 환경에서 자라면서 놀 듯이 춤을 익혔고 뛰어난 재주를 선보였다. 15세 때 임방울 명인 명창대회에서 승무를 춘 것을 계기로 전국적으로 공연을 시작하였다. 이후 1970년대 말 서울의 여러 극장무대에서 승무와 살풀이춤을 추면서 명무자로 이름을 알리기 시작하였고, 국내 공연은 물론이고 해외공연을 통해 우리 춤을 전 세계에 알리는데 많은 기여를 하였다. 1987년 중요무형문화재 27호 승무 예능보유자로 인정받으며 1990년에는 중요무형문화재 97호 살풀이 춤 예능보유자로 인정받았고, 1996년부터 용인대 무용과 교수로 재직하며 ...
참고 자료
김정기, 『이매방(승무) 장삼자락에 담긴 예술혼』, 민속원, 2020.
사단법인 한국전통춤협회, 『전통춤 4대 명무 한영숙 강선영 김숙자 이매방』, 민속원, 2019
김천홍·홍윤식,⌜승무⌟,『무형문화재 보고 조사서 7편』제44호, 문화재관리국, 1968.
김진구, 「이매방류 승무의 호흡분석에 의한 춤특성 연구」, 성균관대학교일반대학원 무용학과 석사학위논문, 2009.
권영심, 「이매방 승무 춤사위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문화예쑬대학원 한국음악전공 석사학위논문, 1998.
백현순, 「이매방 승무의 춤동작 분석을 통한 사상에 관한 연구」,경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9.
손영미, 「승무 춤사위에 내재된 공간 구성미에 관한 연구 - 정재만류 승무를 중심으로-」 , 숙명여자대학교 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이정아, 「한영숙 승무의 춤사위 구조적 특성에 관한 고찰」.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홍은주, 「LMA를 통한 승무 분석 연구- 이매방류를 중심으로 -」,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공연영상학과 무용전공 석사학위논문, 2010.
김은희우리춤움직임원리연구회 유튜브채널, 「이매방 승무 1993년 연강홀 공연」, 2018. 12. 9.
광주MBC 유튜브 채널, 「명인 우봉 이매방」, 2019. 12. 4.
광주MBC 유튜브 채널, 「[왕종근의 초대] 평생 우리 춤에 빠져 살아온 하늘이 내린 춤꾼 이매방, 2019. 10. 18.
국립무형유산원, 「승무 - 한영숙」, 1972.
김정기, 『이매방(승무) 장삼자락에 담긴 예술혼』, 민속원, 2020.
사단법인 한국전통춤협회, 『전통춤 4대 명무 한영숙 강선영 김숙자 이매방』, 민속원, 2019
김천홍·홍윤식,⌜승무⌟,『무형문화재 보고 조사서 7편』제44호, 문화재관리국, 1968.
권영심, 「이매방 승무 춤사위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문화예쑬대학원 한국음악전공 석사학위논문, 1998.
백현순, 「이매방 승무의 춤동작 분석을 통한 사상에 관한 연구」,경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9.
홍은주, 「LMA를 통한 승무 분석 연구- 이매방류를 중심으로 -」,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공연영상학과 무용전공 석사학위논문, 2010.
김진구, 「이매방류 승무의 호흡분석에 의한 춤특성 연구」, 성균관대학교일반대학원 무용학과 석사학위논문, 2009.
김은희우리춤움직임원리연구회 유튜브채널, 「이매방 승무 1993년 연강홀 공연」, 2018. 12. 9.
광주MBC 유튜브 채널, 「명인 우봉 이매방」, 2019. 12. 4.
광주MBC 유튜브 채널, 「[왕종근의 초대] 평생 우리 춤에 빠져 살아온 하늘이 내린 춤꾼 이매방, 2019. 10.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