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무진기행 소개
1.1. 책 개요
무진기행은 김승옥 작가의 대표작으로서, 주인공인 "나" 윤희중이 자신의 고향 무진으로 떠나며 그곳에서의 3일간의 일들과 그 곳에서 만난 사람들과의 감정적 교류를 담아내고 있는 소설이다"."이 소설은 유려한 문체와 감수성으로 크게 호평을 받은 바 있다".
1.2. 작품의 특징
무진기행 작품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소설 전반에 걸쳐 안개와 같은 축축하고 몽환적인 분위기가 지배적이다. 이는 작품 속 가상의 공간 "무진"이 현실도피처이자 인간 본연의 모습을 생각해볼 수 있는 공간으로 기능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안개"는 모호함과 불확실성을 상징하는데, 이를 통해 현실과 이상의 갈등, 과거와 현실의 대비가 잘 드러나고 있다.
또한 아내와 하인숙이라는 인물을 통해 서울의 세속적인 삶과 무진에서의 인간 본연의 삶에 대한 대비가 효과적으로 표현되고 있다. 주인공 윤희중이 아내의 전보를 받고 무진에서 느꼈던 부끄러움은 세속적인 것에 귀속되어 인간성을 점점 잃어가는 당시의 시대상을 잘 드러내고 있다.
종합적으로 볼 때, 무진기행은 산업화가 급진전되던 당대의 모순적인 현실 속에서 인간성을 상실해가는 모습들을 안개 속 가상의 공간 "무진"을 통해 은유적으로 표현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1.3. 줄거리 요약
주인공 윤희중은 제약회사 전무 자리로 승진을 앞두고 휴식차 고향 무진으로 내려간다. 무진은 윤희중의 어린 시절 기억과 어머니의 묘가 있는 곳이다. 그는 기차 안에서도 어린 시절의 자신의 모습을 떠올리며 창밖만 지켜본다.
무진에 도착한 윤희중은 옛 후배 박을 만나게 되고, 박의 소개로 조의 집을 방문한다. 조의 집에서 그는 음악 선생 하인숙을 만나게 되는데, 박이 추한 모습이라며 먼저 자리를 뜨고 윤희중과 하인숙만이 남게 된다. 하인숙은 윤희중에게 자신을 서울로 데려가 달라고 부탁하고, 두려워하며 집까지 함께 가달라고 한다. 이 과정에서 윤희중은 하인숙에게서 과거의 자신을 느끼게 되어 다음 날 다시 만나자는 약속을 한다.
다음 날, 윤희중은 어머니 묘소를 다녀오던 중 술집 여자의 시체를 목격하게 된다. 그 후 그는 과거에 자신이 폐병으로 요양했던 집에서 하인숙과 정사를 나누게 되는데, 그녀에게 사랑의 감정을 느끼지만 말하지 않는다. 하인숙 또한 그저 서울에 가고 싶을 뿐이라고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