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간경화증
1.1. 개요
1.1.1. 정의
간경화증은 만성적인 염증으로 인해 정상적인 간조직이 재생결절(작은 덩어리가 만들어지는 현상) 등의 섬유화 조직으로 바뀌어 간기능이 저하되는 것을 의미한다. 간경화증은 간세포의 파괴와 재생이 반복되는 과정에서 간의 정상적인 구조가 섬유화 되고 재생결절로 대치되며 혈관구조가 크게 뒤틀려 나타나는 병리조직학적 변화를 말한다. 즉, 만성적인 염증으로 인해 간이 경화되고 재생결절이 생겨나면서 정상적인 간 구조와 기능이 저하되는 것이 간경화증의 정의이다.
1.1.2. 병태생리
간세포의 파괴와 재생이 반복되는 과정에서 간의 정상적인 구조가 섬유화되고 재생결절로 대치되며 혈관구조가 크게 뒤틀려 나타나는 병리조직학적 변화를 말한다"".
간이 섬유화되면 간은 굳어져 쓸개즙의 흐름과 간으로 들어오는 혈류가 방해 받아 혈액이 간을 통과하기 어려워진다. 섬유화와 재생된 결절이 혈관과 쓸개즙 통로를 압박하고 혈관구조가 뒤틀려 혈액이 간을 통과하기 어려워져 굴모양 혈관이 상승하고 문맥압이 상승하게 된다"".
질병 초기에 간은 보통 커지고 단단하며 딱딱해지지만 병리적 과정이 진전됨에 따라 간의 크기는 위축된다"".
1.2. 원인
1.2.1. 알코올성 간질환
알코올성 간질환은 간경화증의 가장 흔한 원인 중 하나이다. 간경화증의 발생이 높은 국가에서 인구 당 알코올 소비가 높게 나타나 간경변증과 과다한 알코올 섭취와의 관계는 밝혀졌지만, 그 원인이 분명하게 규명되지는 않았다. 가족적인 경향과 함께 유전자적 소인이 알코올에 대한 과민성과 함께 알코올성 경변증에서 보인다.
알코올은 간세포에 직접적인 독성효과가 있어 간세포가 퇴행되고 지방, 백혈구와 림프구가 침투하여 간이 커진다. 영양부족과 반복적인 알코올 섭취로 상흔조직이 간 전체로 퍼지게 되어 간세포가 괴사되어 간에 섬유조직이 침윤이 된다. 이로 인해 정상적인 간조직이 재생결절 등의 섬유화 조직으로 바뀌어 간기능이 저하되는 것을 의미한다.
알코올성 간질환 환자들은 간암 발생의 위험도 높으며, 간기능 저하로 인한 다양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들 환자에 대한 적극적인 관리와 금주가 매우 중요하다. 금주를 통해 간의 섬유화를 개선시키고 문맥압을 낮출 수 있어 복수 및 식도정맥류 출혈 등의 합병증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
1.2.2. 바이러스성 간염
바이러스성 간염은 간경화증의 가장 흔한 원인이다. 간염 바이러스는 간세포에 감염되어 지속적인 염증을 일으키고, 이로 인해 간경화증이 발병하게 된다.
B형 간염은 간경화증의 가장 대표적인 원인이다. B형 간염 바이러스는 주로 혈액을 통해 전파되며, 만성 B형 간염 환자에서 간암이나 간경화증이 발생할 위험이 높다. B형 간염 바이러스에 의한 간 손상은 서서히 진행되어 수십 년에 걸쳐 간경화증으로 진행될 수 있다. 적절한 치료와 관리를 통해 B형 간염 환자의 간 손상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
C형 간염 또한 간경화증의 중요한 원인이다. C형 간염 바이러스는 대부분 혈액을 통해 전파되며, 수혈이나 주사기 공동 사용 등이 주된 감염 경로이다. C형 간염은 B형 간염에 비해 염증 반응이 더 심하고 진행 속도가 빨라 간경화증으로 진행되는 경우가 많다. 최근 개발된 새로운 C형 간염 치료제를 통해 간경화증 진행을 억제할 수 있게 되었지만, 여전히 간경화증의 중요한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 외에도 D형 간염, E형 간염 등 다양한 바이러스성 간염이 간경화증을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바이러스성 간염을 예방하고 적절한 치료를 통해 간 손상의 진행을 지연시키는 것이 간경화증 예방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1.2.3. 기타 원인
기타 원인으로는 담즙성 질환, 대사성/유전성 질환, 심혈관 질환 등이 있다.
담즙성 질환의 경우, 만성적인 담즙의 정체나 염증으로 인해 담관이 폐쇄되면 담즙성 간경화증이 발생한다. 이는 만성 담낭염이나 담관의 폐쇄 등으로 인해 발병한다. 담도계의 문제를 적절히 치료하는 것이 담즙성 간경화증의 위험을 감소시키는데 도움이 된다.
대사성 또는 유전성 질환으로는 혈색소침착증, 윌슨병, 알파1-항트립신 결핍증, 낭포성 섬유증 등이 있다. 이러한 질환들은 간세포가 손상되고 간에 비정상적인 물질이 축적되어 간경화증이 발생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심혈관 질환 또한 간경화증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만성 우심부전이나 심장 기능 상실로 인해 혈액이 충분히 공급되지 않으면 간에 정체되는 정맥혈의 양이 증가하여 울혈성 간경화증이 발생할 수 있다.
이처럼 간경화증의 원인은 다양하며,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고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
1.3. 임상 증상
1.3.1. 소화기계
간경화증 환자는 소화기계 증상으로 식욕부진, 소화불량, 오심, 구토, 설사 또는 변비 등의 배변양상 변화를 나타낸다"" 간경화증이 진행되면서 간의 염증, 간세포 손상, 간섬유화 및 결절, 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