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상담 분야의 국가자격증과 민간 자격증
우리나라의 상담분야는 국가자격증과 민간자격증으로 나뉜다. 국가자격증은 청소년상담사, 직업상담사와 같이 일정 요건을 갖춘 사람을 대상으로 필기 또는 실기시험, 면접 등 검정과정을 거쳐 자격을 부여하는 검정형 자격과 전문상담교사, 건강가정사와 같이 법률로 정한 교육을 이수하면 자격이 주어지는 과정 이수형 자격이 있다. 현재 직업상담사는 국가직무능력표준에 기반한 교육훈련과정을 이수하고 평가를 거쳐 취득하는 과정 평가형 자격시험이 도입되어 시행 중이다. 국내 상담관련 자격에는 여성가족부의 청소년상담사, 보건복지부의 정신보건임상심리사, 산업인력공단의 임상심리사 등이 있다.
이러한 국가자격을 제외하면 대부분은 법인, 단체 또는 개인이 발급하는 민간자격이다. 2020년 7월 기준으로 '상담'을 키워드로 검색하면 5093개의 민간 상담관련 자격이 등록되어 있다. 대표적인 민간자격증으로는 (사)한국상담심리학회의 상담심리사, (사)한국상담학회의 전문상담교사 등이 있다.
1.2. 상담 분야의 자격증 취득의 중요성
상담 분야의 자격증 취득은 상담 분야에 종사하는 전문가들에게 매우 중요하다. 첫째, 상담 분야의 자격증은 전문성과 신뢰성을 보여줌으로써 내담자들에게 안전하고 전문적인 상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해준다. 상담 분야의 자격증을 취득한 상담사들은 이론과 실무 능력을 검증받았다는 점에서 내담자들의 신뢰를 얻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담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둘째, 상담 분야의 자격증은 상담사 개인의 경력 개발과 전문성 향상에 도움을 준다. 상담 분야의 자격증을 취득함으로써 상담사들은 자신의 전문성을 인정받을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더 나은 진로 기회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자격증 취득을 위한 교육과 훈련은 상담사의 역량을 강화시키는 데 기여하며, 이를 통해 상담 실practice에서의 전문성과 효과성을 높일 수 있다.
셋째, 상담 분야의 자격증은 전체 상담 분야의 발전과 체계화에 기여한다. 상담 분야에서 전문성을 갖춘 상담사들이 증가함에 따라 상담의 질적 향상과 함께 상담 분야 전반의 위상 제고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상담 관련 자격증의 체계화와 표준화는 상담 분야의 전문성을 제고하고, 상담 분야의 사회적 인식을 높이는 데에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