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이러닝의 개념과 발전
1.1. 이러닝의 등장 배경과 정의
이러닝(e-Learning)의 등장 배경과 정의는 다음과 같다.
이러닝의 개념은 2000년을 전후로 등장하였다. 2000년대 초반 인터넷 혹은 웹을 활용하여 학습자들의 학습을 가능하게 하는 소프트웨어나 프로그램을 의미하게 되었다. 전통적인 면대면 교육훈련을 대신하는 대안적인 방식의 교육 혹은 인터넷을 활용하는 온라인 교육을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웹 기반 수업, 온라인 교육, 사이버 교육, 가상 교육 등과 비슷한 의미를 포함하고 있는 또 하나의 개념으로 출현하였다. 초기에는 학교보다 기업 교육에서 빠르게 받아들여졌으나, 이후 2004년 'e-러닝 활성화를 통한 국가인적자원개발 추진전략'을 제안하면서 본격적으로 학교교육에서의 이러닝 도입이 추진되었다. 이후 관련 기술의 발전에 따라 m-러닝, u-러닝, 스마트 러닝 등 다양한 용어로 불리게 되었다.
여러 학자들의 이러닝에 대한 정의를 종합해보면, 이러닝은 기본적으로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하며, 인터넷의 표준 기술을 활용하여 개별 학습자에게 최종적으로 수업이나 정보가 제공되는 방식이다. 단순히 전통적인 교육, 훈련, 연수 이상의 폭넓은 학습에 대한 관점을 포함하고 있다. 즉, 이러닝은 인터넷 네트워크 기술을 바탕으로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여, 시간과 장소, 수준의 제약 없이 학습자가 다른 학습자, 교수자, 학습내용과 활발한 상호작용을 하면서, 다양한 학습 경험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체제라고 할 수 있다.
1.2. 이러닝의 유형
1.2.1. 활용 테크놀로지
이러닝의 활용 테크놀로지는 다음과 같다.
웹 기반의 이러닝은 초기 단계에서 기존의 컴퓨터 보조수업(CAI)이 웹 기술을 통해 구현되는 것을 의미한다. 간단한 하이퍼텍스트 방식의 텍스트 자료를 온라인으로 제공하거나, 연습문제와 같은 기본적인 교수전략과 메시지 설계가 반영된 이러닝, 그리고 애니메이션 기술을 활용한 플래시 기반의 이러닝 등이 해당된다.
동영상 강의 기반의 이러닝은 실제 강의가 동영상 형태로 온라인상에서 구현되는 "가상교실" 형태의 이러닝을 말한다. 무선통신 기술과 인터넷 통신망의 발전으로 대용량의 영상 자료를 스트리밍이나 다운로드 방식으로 손쉽게 제공할 수 있게 되면서, 동영상 강의 기반의 이러닝이 가장 지배적인 형태로 자리잡고 있다. 대표적인 예로 인터넷 기반 강의, 대학의 온라인 강좌, 사이버 대학 및 기업의 이러닝 등이 해당된다.
m-러닝(또는 스마트 러닝)은 무선 통신 기술을 기반으로 태블릿PC,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기술을 활용하는 이러닝 형태이다. 2005년 이후 디지털 교과서 개발과 적용을 통해 학교 교육에서 다뤄지기 시작했으며, 2011년 이후에는 스마트 폰이나 태블릿PC와 같은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다는 측면을 강조해 "스마트 교육"으로 불리기도 한다.
u-러닝은 유비쿼터스(Ubiquitous) 컴퓨팅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이러닝으로, "어디에나 존재하는" 컴퓨팅 환경 속에서 이루어지는 학습을 의미한다. 기존의 다양한 정보화 기기와 일상생활 도구가 무선네트워크에 연결되어 "편재된" 상태에서, 교실 밖의 자연 환경에서도 실제적인 체험을 하면서 자연스럽게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다.
1.2.2. 면대면 학습 활동 유무
이러닝의 유형 중 '면대면 학습 활동 유무'에 따른 분류는 다음과 같다.
일반 이러닝은 교수자와 학습자가 분리된 상태에서 콘텐츠와 상호작용하면서 이루어지는 경우이다. 예를 들어 EBS 인터넷 강의, 사이버 가정학습 지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