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질문지 작성, 표집, 가설검정
1.1. 질문지 작성
1.1.1. 폐쇄형 질문과 개방형 질문
폐쇄형 질문은 질문에 대한 응답 범주가 제한되어 있는 유형의 질문이다. 이러한 폐쇄형 질문의 장점은 질문에 대한 응답이 어느 정도 구조화되어 있어 후에 자료 분석이 용이하다는 것이다. 또한 코딩 과정을 단축할 수 있고, 응답자가 대답을 피하기 어렵게 만들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반면 단점으로는 응답자에게 고정된 보기가 제공되어 응답자가 한정적인 판단을 하게 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연구자가 모든 가능한 응답을 제시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개방형 질문은 응답자가 자유롭게 자신의 의견을 서술할 수 있는 질문 유형이다. 개방형 질문의 장점은 연구자가 예측하지 못한 새로운 정보를 얻을 수 있고, 응답자가 자유롭게 자신의 의견을 피력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개방형 질문의 경우 응답의 범위가 매우 넓어 코딩이 어렵고, 교육 수준이 낮거나 참여 의지가 낮은 응답자의 경우 자유로운 진술에 어려움을 느낄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1.1.2. 좋은 질문의 속성
질문지를 작성할 때는 질문은 간결해야 하며, 질문은 명료해야 한다. 그리고 질문에 어떤 가치를 지향하고 있음을 드러내서는 안된다. 두 가지 이상의 질문을 하나의 문항에 기술하는 것처럼 복합적인 질문을 하여서는 안된다. 질문의 문항은 단어를 생략하지 않고 완전한 문장으로 작성한다. 마지막으로 응답자가 이해하기 어려운 질문이거나 불쾌한 기분이 들지 않도록 응답자를 배려하여 문항을 만든다.""
1.2. 표집
1.2.1. 전수조사와 표본조사
전수조사와 표본조사는 다음과 같다.
전수조사는 연구하고자 하는 대상이 되는 집단 중 일부를 추출하는 방식이 아닌 모집단에 해당하는 조사단위 전체를 조사하는 방법이다. 큰 규모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에는 시행 계획이 철저히 진행되어야 한다. 그렇지 못할 경우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다. 전수조사는 모집단 전체를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자료수집과 분석에 소요되는 비용이 크고 조사 기간이 길다는 단점이 있다.
표본조사는 대표성이 있는 표본을 확보한다는 전제 하에 이루어지는 방법으로, 표본조사는 전수조사에 비해 여러 측면에서 유용하다. 자료수집과 분석에 소요되는 비용이 적고 조사 기간을 단축함으로써 결과를 신속하게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조사의 범위를 더 넓히고 더 많은 질문들을 포함함으로써 심층적인 조사 결과를 얻을 수 있다. 하지만 표본이 모집단을 완벽하게 대표하지 못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1.2.2. 표본의 크기와 표집방법
표본의 크기를 결정할 때 중요한 요인은 다음과 같다"" 첫째, 표집오차를 얼마나 허용할 것인지를 고려해야 한다"" 둘째, 조사에서 다루는 변수가 가진 변동성을 고려해야 한다"" 셋째, 현실적인 의미에서 조사에 소요되는 비용도 고려해야한다""
표집방법의 유형으로는 확률표집과 비확률표집이 있다"" 확률표집은 모집단에서 표본으로 추출 될 수 있는 확률을 사전에 객관적으로 제시하는 방식으로 설계되는 표집방법이다"" 비확률표집은 과학적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확률표집이 적용되어야 하지만 실용적인 이유와 현실적인 한계로 사용된다"" 모집단 자체를 규명하기 어려운 경우나 탐색연구의 경우에는 비확률표집이 적절한 표집방법이 될 수 있다""
1.3. 가설검정
1.3.1. 가설 검정 방법
가설 검정 방법은 추론 통계와 확률분포를 활용하여 이루어진다. 추론 통계는 표본집단을 조사하여 알게 된 특성을 토대로 모집단의 특성을 추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확률분포는 모든 확률의 결과를 수집하고 정리하여 통계를 내는 것을 말한다. 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