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나르시시즘 개관
1.1. 나르시시즘의 정의와 유래
나르시시즘(Narcissism)은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나르키소스(Narkissos)의 이야기에서 유래한 개념이다. 나르키소스는 강(江)의 신 케피소스(Cephisus)가 그의 어머니 레이리오페(Leirioape)를 강간해서 태어났다. 태어날 때부터 눈에 띄게 아름다웠기 때문에, 그렇게 아름다운 피조물이 오래 살 수 있느냐는 질문을 티레시아스(Tiresias)에게 할 정도로 시기심 어린 험담들이 무성했다. 티레시아스는 "그가 자신을 알게 되지 않는다면" 오래 살 수 있을 것이라는 역설적인 답변을 한다. 나르키소스는 멋진 젊은이로 성장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그를 사랑하게 되지만 그는 그들을 멀리한다. 결국 자신의 모습에 푹 빠져 다른 사람과 교류하지 못한 채 죽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나르키소스의 신화에서 유래하여 "나르시시즘"이라는 용어가 만들어졌으며, 이는 자기 자신을 지나치게 사랑하거나 자신이 훌륭하다고 여기는 것을 의미한다""
1.2. 건강한 나르시시즘과 병적인 나르시시즘
건강한 나르시시즘과 병적인 나르시시즘은 구분되는 개념이다. 건강한 나르시시즘은 자기 자신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와 자아실현을 위한 동기부여로 작용하지만, 병적인 나르시시즘은 지나친 자아도취와 타인에 대한 관심 결여로 이어지는 부적응적 특성을 가진다.
건강한 나르시시즘은 자기 자신을 가치 있게 여기고 자신감을 갖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유아기에 부모로부터 충분한 사랑과 관심을 받아 안정적인 자아상을 형성한 결과이다. 건강한 자기애를 지닌 사람은 타인에 대한 공감능력이 있고, 유머 감각과 창의성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자신과 타인의 경계를 구분하며, 상황에 맞게 욕구를 조절할 줄 아는 등 건강한 대인관계를 맺을 수 있다. 이처럼 건강한 나르시시즘은 개인의 정신적 성장과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반면 병적인 나르시시즘은 지나치게 자기 자신에게 몰두하고 타인에 대한 공감능력이 결여된 특성을 보인다. 이러한 병적 나르시시즘은 주로 유아기에 부모로부터 충분한 관심과 애정을 받지 못해 건강한 자아상을 형성하지 못한 경우에 발생한다. 병적 나르시시스트들은 자신의 뛰어난 능력과 특별한 자격을 과도하게 강조하며, 타인에 대한 착취적인 태도를 보인다. 또한 공감 능력이 결여되어 타인의 감정을 이해하지 못하고, 자신보다 뛰어난 사람을 질투하는 경향이 있다.
결과적으로 건강한 나르시시즘은 긍정적인 자아상과 대인관계 형성에 도움이 되지만, 병적인 나르시시즘은 대인관계 문제와 정신적 부적응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건전한 자기애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유아기부터 부모의 충분한 관심과 사랑이 필요하며, 성인이 된 이후에도 타인에 대한 공감능력을 기르는 것이 중요하다.
1.3. 자기애성 성격장애
자기애성 성격장애는 자신의 중요성에 대한 과장된 지각, 무한한 성공과 공상에의 집착, 자신의 특이성에 대한 믿음, 과도한 찬사 요구, 특권의식, 착취적인 대인관계, 감정이입 결여, 타인에 대한 질투심 등 아홉 가지 특징을 가지고 있는 인격장애이다.
자기애성 성격장애의 근본적인 원인은 바람직하지 못한 모녀관계에서 찾을 수 있다. 갓난아기 시절 충분한 엄마의 사랑과 공감을 받지 못하거나, 지나친 과잉보호로 인해 자신의 모습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지 못하고 고립감을 느끼게 되면 건강한 자아 발달이 이루어지지 못한다. 이로 인해 자기 소외, 불안, 자신감 부족 등의 정서적 문제가 발생하고, 거짓 자아를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거짓 자아는 유년기 생존을 위해 필요했지만, 성인이 되어서도 자신의 감정을 솔직히 드러내지 못하게 한다.
또한 어린 시절 엄마가 아이의 몸을 다루는 방식에 따라 자신의 신체에 대한 긍정적 개념 형성에 영향을 준다. 엄마가 지나치게 청결을 강요했다면 자신의 몸에 대해 부정적인 시각을 가지게 된다. 이는 나르시시스트들이 자신의 신체에 집착하면서도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모순적 행동의 원인이 된다.
자기애성 성격장애는 여성에게서 더 많이 나타나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외모와 성공을 강조하는 사회적 분위기와 관련이 깊다. 여성들은 타인의 인정을 통해 자존감을 얻으려 하는 경향이 강해, 자신의 한계를 인정하지 않고 완벽함을 추구하게 된다.
나르시시스트들은 자기 힘으로 무언가를 이루어내는 것이 어렵고, 대신 완벽함에 대한 환상, 타인에 대한 시기심, 자신의 부족함에 대한 두려움에 사로잡혀 있다. 그들에게는 진정한 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