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문맥순환"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혈액순환계
1.1. 대순환계
1.1.1. 체순환
1.2. 소순환계
1.2.1. 폐순환
1.3. 문맥순환계
1.3.1. 간의 혈액순환
1.3.2. 문맥 고혈압
1.4. 림프순환계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혈액순환계
1.1. 대순환계
1.1.1. 체순환
체순환은 심장의 좌심실 수축에 의해 좌심실을 나오는 혈액이 대동맥과 동맥을 지나 온몸의 조직과 기관에 있는 모세혈관에 이르러 산소와 영양을 공급하고 이산화탄소와 노폐물을 흡수하여 정맥혈이 되어 정맥과 대정맥을 거쳐 우심방으로 되돌아오는 과정이다. 즉, 좌심실→ 대동맥→ 전신의 머리와 가슴 팔의 세동맥→ 위대.아래대정맥→ 우심방까지의 경로를 거치는 혈액순환이다.
체순환은 심장의 좌심실이 수축하면서 시작된다. 좌심실에서 나온 혈액은 대동맥을 거쳐 전신으로 흘러나간다. 대동맥은 여러 갈래의 동맥으로 나누어져 온몸의 모든 조직과 기관으로 혈액을 보낸다. 이 동맥들은 점점 가늘어져 모세혈관이 되고, 모세혈관에서는 산소와 영양분이 조직 세포로 전달되며 이산화탄소와 노폐물이 모세혈관으로 흡수된다. 이렇게 변화된 혈액은 모세혈관에서 점점 굵어져 정맥으로 모이게 된다. 정맥혈은 상대정맥과 하대정맥을 거쳐 최종적으로 우심방으로 들어오게 된다.
체순환의 기능은 온몸의 모든 조직과 기관에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하고 이산화탄소와 노폐물을 제거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우리 몸의 대사 활동을 원활하게 유지할 수 있다. 체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으면 장기적인 장애와 병변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심장 기능 저하로 인한 울혈성 심근증은 혈액 공급이 원활하지 않아 여러 장기에 문제가 발생하는 대표적인 사례이다.
1.2. 소순환계
1.2.1. 폐순환
소순환계 ...
참고 자료
1. 성인 간호학 3 수문사 p939~945 서문자 외9
2. 최신 임상간호 매뉴얼 현문사 p741~745
핵심 병리학 제2판 [JMK]
핵심 인체의 구조와 기능 [수문사]
세브란스 순환계 해부생리 및 구조의 교육정보
위키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