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약물중독과 관련 장애
1.1. 코카인 관련 장애
1.1.1. 코카인 관련 문제
DSM-III에서는 코카인 남용의 진단만 포함되지만, DSM-III-R에는 코카인 의존을 포함하고 있으며, 사회적 혹은 직업적 문제들을 포함한다. DSM-IV에서는 코카인 중독, 금단, 의존, 남용과 관련하여 코카인 관련 문제들을 다루고 있다. 코카인을 구입하는 비용이 비싸기 때문에 재정적 곤란 때문에 저지르게 되는 법적 문제나 매춘 등은 코카인 의존이라는 오명이 생기기 전에 코카인 문제를 예고하는 경고의 표시가 될 수 있다. 약물에 대한 통제의 상실과 계속되는 시용은 코카인 의존에 대한 진단적 준거들이다."
1.1.2. 코카인 중독의 진단기준
코카인 중독의 진단기준은 DSM-IV에 따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최근 코카인을 사용했음이 확인된다.
둘째, 코카인 사용 중 또는 직후에 임상적으로 심각한 부적응적 행동이나 심리적 변화가 나타난다. 예를 들어 다행감 또는 정서적 둔마, 사교성 변화, 경각심, 대인관계 민감성, 불안·긴장·분노, 상동증적 행동, 판단력 장애, 사회적·직업적 기능장애 등이 관찰된다.
셋째, 코카인 사용 중 또는 직후에 다음 9가지 증상 중 2개 이상이 나타난다. 빈맥 또는 서맥, 동공산대, 혈압상승 또는 하강, 발한 또는 오한, 오심 또는 구토, 체중감소, 정신운동성 초조 또는 지연, 근육약화·호흡억제·흉통·심부정맥, 의식혼란·경련·운동실조·근긴장이상증·혼수 등이다.
넷째, 이러한 증상이 일반적인 의학적 상태나 다른 정신장애로 잘 설명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진단기준에 따르면, 코카인 중독은 코카인 사용으로 인한 심각한 부적응적 행동 및 심리적 변화, 그리고 생리적 증상이 특징적이며, 다른 원인으로 설명될 수 없는 경우에 진단될 수 있다.
1.1.3. 코카인 중독
코카인 중독은 코카인 사용 중 또는 그 직후에 발생되는 임상적으로 심각한 부적응적 행동변화나 심리적 변화가 필수 증상이다. 코카인 중독은 통상적으로 "기분고조상태"의 느낌으로 시작되며, 이후 증가된 활기, 사교성, 과다활동, 안절부절못함, 지나친 경각심, 예민한 대인관계, 말이 많아짐, 불안, 긴장, 기민성, 과대성, 상동증적 및 반복적 행동, 분노, 판단력장애를 동반하는 다행증이 나타난다. 만성 중독의 경우 피로 또는 슬픔과 사회적 위축이 동반되는 감정둔마 등의 증상이 동반될 수 있다. 급성이든 만성이든 코카인 중독은 흔히 사회적, 직업적 기능장애를 수반한다. 심한 중독은 의식의 혼수상태를 유발할 수 있다. 코카인 중독을 진단하기 위해서는 증상이 일반적인 의학적 상태에 의한 것이 아니어야 하고, 다른 정신장애에 의해 잘 설명되지 않아야 한다.
1.1.4. 코카인 금단
코카인 금단은 장기간 반복적으로 고용량의 코카인을 투여한 후 코카인 투여를 중단할 때 나타나는 증상이다. 코카인 금단의 필수 증상은 코카인 사용을 중단한 후 몇 시간 내지 며칠 내에 발생하는 금단 증후군의 발현이다. 금단 증후군은 불쾌한 기분과 함께 증가된 식욕, 피로, 불면 또는 수면과다, 정신운동성 지연 또는 초조, 우울한 기분 등이 특징적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증상들은 사회적, 직업적 또는 다른 중요한 기능영역에서 임상적으로 심각한 고통이나 장애를 일으킨다. 증상은 일반적인 의학적 상태에 의한 것이 아니어야 하고, 다른 정신장애에 의해 잘 설명되지 않아야 한다.
급성 금단 증상은 반복적으로 고용량을 복용한 후에 흔히 나타난다. 이 기간에는 일반적으로 며칠 동안의 휴식과 회복을 필요로 하는 강렬하고 불쾌한 권태감이나 우울증이 생기는 것이 특징이다. 자살사고나 자살행동을 동반하는 우울 증상이 생길 수 있고, 가장 심각한 문제는 일반적으로 급성 금단 시기 또는 다른 형태의 코카인 금단 시기에 나타난다. 코카인 의존자 중 상당수는 복용 중단시 임상적으로 명백한 금단 증상이 거의 없거나 전혀 없다.
1.2. CNS 억제제의 효과, 중독, 금단 증상
1.2.1. 알코올
알코올은 중추신경계 억제제로 분류되며, 임상적으로 볼 때 다양한 효과와 부작용을 나타낸다. 알코올 섭취 시 신체는 이완되고 억압해제 효과가 나타나 집중력이 감소하며, 졸음과 수면이 유발된다. 알코올은 도파민 분비를 증가시켜 몰핀과 유사한 다행감을 일으킨다.
알코올 중독의 경우 중추신경계 억제 효과가 지속되어 동공수축, 짧은 기억상실, 사고기능·언어·운동조화·반응시간의 장애, 말초신경염 등이 나타난다. 중독 수준이 높아지면 알코...